'제주여행/제주오름' 카테고리의 글 목록
도심 속의 작은 오름, 제주 사라봉
도심 속의 작은 오름, 제주 사라봉..2024년 3월 14일, 도심 속의 작은 오름, 제주 사라봉~ 제주항 동쪽의 바닷가를 접해 위치한 사라봉( 紗羅峯 146.5m)은 제주시를 대표하는 오름이다.사라봉(沙羅峯, 紗羅峯)의 명칭이 어디에서 유래되었는지는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특히 사라(沙羅, 紗羅)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일설에는 사라봉의 한자명인 '사라(紗羅)'에 견주어 '해질 녘의 햇빛에 비친 산등성이가 마치 황색 비단을 덮은 듯하다'는 의미로 붙여졌다고 한다.또는 '사라'의 의미가 '동쪽' 내지는 '동쪽 땅'이라는 설, 그리고 '신성한 땅(神域)'이라는 의미에서 나왔다는 설 등이 있다.사라봉은 높이 146.5m, 비고 98m, 둘레는 1,934m, 폭은 647m이며, 모양..
2024. 3. 14.
복수초 활짝 핀 제주 거친오름(618.5m)에 오르다.
복수초 활짝 핀 제주 거친오름(618.5m)에 오르다.2024년 3월 14일, 복수초 활짝 핀 제주 거친오름(618.5m)에 오르다.노루생태관찰원이 있는 거친오름은 산체가 크고 산세가 험한 데다 숲이 어수선히 우거져 거칠게 보인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오름의 사면에는 낙엽수가 주종을 이루면서 해송이 부분적으로 자라고, 드문드문 상록 활엽수가 섞여 있는 자연림을 이루고 있다.높이는 618.5m, 비고 154m, 둘레는 3,321m, 폭은 936m로 되어 있으며, 모양은 말굽형의 북향이다. 『탐라지』, 『탐라순력도』, 『제주군읍지』의 「제주지도」 등에 '황악(荒岳)'으로 '거친오름'을 한자로 표기하였다.일부에서는 '거친악(巨親岳)', '거체악(巨體岳)' 등으로도 기재하였다.명림로의 제주 4·3 평화 공원 ..
2024. 3. 14.
제주올레 6코스가 지나는 제지기오름
제주올레 6코스가 지나는 제지기오름..2024년 3월 2일 , 제주올레 6코스 따라 제지기오름에 오르다.제지기오름은 서쪽에 보목동 마을이 위치해 있고, 남쪽은 바닷가에 접해 있다. 서남쪽 바다에는 섭섬(森島)이, 동남쪽 바다에는 직구섬(直歸島)이 있다.가파른 비탈로 이루어져 있고, 상록수와 활엽수 등이 촘촘하게 자라고 있다.이 오름 북쪽 기슭에서 꼭대기에 오르는 산책로가 마련되어 있고 제주올레 6코스에 포함되어 있다.둘레 1,102m, 높이 94.8m의 제지기오름은 예로부터 ‘저즈기 오롬’, ‘제지기 오롬’, ‘제제기 오롬’ 등으로 불러왔다.한자 표기로는 저즉악(貯卽嶽), 저좌지악(貯左只嶽), 저적악(儲積岳), 사악(寺嶽) 등으로 표기했다.'제지기'라는 이름 때문에 절(寺)이 있었다는 데서 그 명칭이 유..
2024.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