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따라 트레킹'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길따라 트레킹3240

천년고찰, 대구 비슬산 유가사(瑜伽寺).. 천년고찰, 대구 비슬산 유가사(瑜伽寺)2025년 4월 23일, 천년고찰, 대구 비슬산 유가사(瑜伽寺)를 찾아서~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로 신라 흥덕왕 2년(827년) 도성(道成)이 창건하였다. 진성여왕 3년(889년) 원잠(垣岑)이 중창하였으며, 고려 문종 1년(1047년) 학변(學卞)이, 조선 문종 2년(1452년) 일행(逸行)이 각각 중수하였다. 전성기에는 3천 명의 승려가 머물렀다고 하나 1592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탔다. 숙종 8년(1682년) 도경(道瓊)이 대웅전을 보수하였고, 영조 5년(1729년) 취화(就和)와 파봉(巴峰), 1760년 보월(寶月), 1776년 밀암(密庵), 1797년 낙암(洛巖)이 각각 중수 또는 중창한 바 있다. 1976년부터 대대적인 불사를 일으켜 오.. 2025. 4. 24.
낙동강 물줄기를 품고 있는 함안 용화산 능가사 낙동강 물줄기를 품고 있는 함안 용화산 능가사2025년 4월 18일, 낙동강 물줄기를 품고 있는 함안 용화산 능가사를 찾아서..용화산 기슭에 낙동강을 바라보며 자리하고 있는 능가사(楞伽寺)는 1900년대 초에 한국불교 태고종 용주사로 창건되었다.1973년에 능가사로 개칭되었고,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가 되었다. 이천복(李千福)이 2013년에 지은 용화산 능가사사적비에 따르면, 1984년부터 1986년까지 대웅전(大雄殿)과 관음전(觀音殿)을 증축하였으며, 1995년에 요사채를 준공하였다고 한다. 입구의 석조 약사여래 입상은 1999년에 봉안한 것이다. 능가사 칠성탱은 2006년 4월 6일에 경남도 문화재자료 제396호로 지정되었다. 치성광여래를 위시한 칠성여래와 일광보살·월광보살.. 2025. 4. 18.
창녕 남지 낙동강변 유채꽃 풍경 속으로~ 창녕 남지 낙동강변 유채꽃 풍경 속으로~2025년 4월 18일, 창녕 남지 낙동강변 유채꽃 풍경 속으로~제20회 창녕 낙동강 유채축제가 4월 18일~20일, 자연과 사람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남지체육공원에서 열리고 있다. 창녕군 남지읍 낙동강 유채단지는 전국에서 단일면적으로 최대 규모인 33만여평으로 낙동강의 절경과 어우러진 한 폭의 풍경화이다.2006년 1회를 시작으로 낙동강 유채축제를 개최하여 5년 연속 경상남도 우수축제로 선정되었으며, 2019년 경남도 문화관광 대표축제에 선정되었다. 거대한 유채꽃과 튤립,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경이다.~^^~ 2025. 4. 18.
창녕 남지 개비리길 따라 마분봉-낙동강 유채꽃길 트레킹 창녕 남지 개비리길 따라 마분봉-낙동강 유채꽃길 트레킹4월 셋째주 금요일 아침, 2개월 만에 광주산들애힐링산악회를 따라 산행에 나선다.8시15분, 각화동을 출발한 버스는호남고속도로를 달리다가 주암휴게소에서 아침식사를 한다.칠원JC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에 접어들어 남지IC를 빠져나와 창녕 남지체육공원에 도착한다.11시10분, 남지수변공원 창나루주차장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남지 개비리길을 따라간다.옥관자바위와 옹달샘쉼터를 지나 대나무숲이 가득한 죽림쉼터 정자에서 점심식사를 한다.야생화쉼터를 지나 영아지주차장에 이르러 숲길로 들어서 잠시 가파르게 올라 영아지전망대에 이른다.삼거리봉을 지나 오늘의 최고봉인 마분봉(180m)에 올라서 잠시 인증샷을 하고 내려선다.중봉(160m), 아곡봉(136m), 창나루전망대를 지.. 2025. 4. 18.
고요한 제주 표선해비치해변에 머물다. 고요한 제주 표선해비치해변에 머물다.2025년 3월 23일, 고요한 제주 표선해비치해변에 머물다. 성읍민속마을을 둘러보고 다시 표선해변으로 돌아와 자리를 잡는다.일요일이지만 한가로운 표선해비치해변, 해변에 자리를 잡고 소맥 한잔으로 하루의 피로를 달랜다.제주한달살기 4일차, 오늘밤은 여기에 마문다. ~^^~ 2025. 3. 24.
성벽과 유채꽃이 아름다운 성읍민속마을 성벽과 유채꽃이 아름다운 성읍민속마을2025년 3월 23일, 성벽과 유채꽃이 아름다운 성읍민속마을 ~제주올레길 3코스를 마치고 유채꽃을 보기 위해 성읍민속마을로 향한다.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에 위치한 성읍마을은 옛 제주 마을의 모습이 그대로 유지되어 있는 곳이다. 중산간 도로인 1163호선과 번영로가 마을 안을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로 방문하기 편리하며, 다른 민속촌들과 다르게 마을 내에 사람들이 실제 거주하고 있다. 이곳은 조선 태종 16년 성산읍 고성리에 설치된 정의현청이 세종 5년 이곳으로 옮겨진 후 500여년간 현청 소재지였던 유서 깊은 마을이다. 정의현성 안에는 110호에 달하는 가옥이 있고 성 밖으로도 많은 가옥들이 존재한다. 수백 년 동안 도읍지였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유산들이 있다. 정의향.. 2025. 3. 24.
제주 캠핑 여행의 성지, 표선해수욕장에 머물다 제주 캠핑 여행의 성지, 표선해수욕장에 머물다.2025년 3월 22일, 제주 캠핑 여행의 성지, 표선해수욕장에 머물다. 드넓은 백사장을 자랑하는 표선해수욕장은 캠핑여행의 성지답게 주말을 맞아 이미 캠퍼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어둠이 내리니 해변은 고요함이 감돌고 오가는 사람들도 없다.제주한달살기 3일차, 오늘밤은 고요한 표선해수욕장에 머문다.표선해수욕장은 백사장이 아름다운 해수욕장으로 유명하다. 넓은 모래톱은 썰물시엔 둥근 백사장처럼, 밀물시엔 수심이 낮은 애매랄드빛 원형 호수처럼 보여 경관이 아름답다. 뿐만 아니라 낮은 수심 때문에 아이들과 물놀이를 즐기기에도 좋은 해수장이다. ~^^~ 2025. 3. 23.
작지만 아름다운 포구, 성산읍 온평포구에서 작지만 아름다운 포구, 성산읍 온평포구에서2025년 3월 22일, 작지만 아름다운 성산읍 온평포구에서~ 전통 등대인 ‘도대’가 남아있는 온평리 마을의 포구는 제주올레 2코스의 종점이자 3코스의 시작점이다.온평포구는 과거에는 주민들의 터전으로 자리했지만 현재는 서쪽에 규모가 조금 더 큰 항을 만들어 현재는 올레길을 찾아오는 올레꾼의 조그만 쉼터의 역할을 하고 있다. 온평포구에는 현무암으로 쌓아 올려 뱃길을 나간 어부들이 생선 기름들을 이용하여 불을 밝혔던 전통 등대인 ‘도대’가 아직도 보존되고 있다.현재 제주에는 7개밖에 남지 않은 도대는 어려운 시절 마을 사람들과 함께하고, 마지막 불이 꺼진 후 지금까지 한 번도 불을 밝히지 않았다고 한다. 제주 시조신인 고,양,부와 혼인한 벽랑국 세공주가 이 포구로 입.. 2025. 3. 23.
탐라시조 삼신인 혼례 전설, 제주 혼인지 탐라시조 삼신인 혼례 전설, 제주 혼인지(婚姻池)2025년 3월 22일, 탐라시조 삼신인 혼례 전설, 제주 혼인지에서~혼인지(婚姻池)는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마을 서쪽 숲에 자연적으로 생성된 약 500평 정도의 큰 연못이다.이 연못에는 제주의 삼성신화에 등장하는 3신인(神人)과 3공주(公主)가 혼인하였다는 전설이 있다.설화에 따르면, 아득한 옛날 모흥(毛興)이라는 곳에서 고을나(高乙那), 양을나(梁乙那), 부을나(夫乙那)라는 3신인(神人)이 솟아 나왔다.이들은 수렵과 어로를 하며 생활 하였다.하루는 이들이한라산에 올라가 멀리 바라보니 동쪽 바다 위에서 오색찬란한 나무상자가 떠내려와 해안에 머물러 있는 것이 보였다.3신인이 내려가서 목함을 열어 보았더니 그 안에는 알 모양으로 된 둥근 옥함(玉函)이 있고 .. 2025. 3. 23.
제주 성산 신양섭지해변의 아침 풍경~ 제주 성산 신양섭지해변의 아침 풍경2025년 3월 22일, 제주에서 3일차, 신양섭지해변의 아침 풍경 ~신양섭지해변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아침을 맞는다.신양섭지해수욕장에서 바라본 일출 풍경, 구름 사이로 떠오르는 붉은 해가 망망대해와 어우러져 아름답다.일출 풍경은 언제 보아도 가슴을 설레게 한다.~^^~ 2025. 3. 23.
제주 성산읍 신양섭지해수욕장에 머물다. 제주 성산읍 신양섭지해수욕장에 머물다.2025년 3월 21읽, 제주 성산읍 신양섭지해수욕장에 머물다.광치기해변에서 유채꽃 풍경을 보고 인근 신양섭지해수욕장에 자리를 잡는다.바로 앞 성산일출봉, 섭지코지가 있고, 멀리 한라산이 바라보인다.석양이 물들고 어둠이 내린 해변은 또다른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낸다.제주여행 2일차, 오늘밤은 파도도 잠들은 고요한 신양섭치해변에 머문다. 섭지코지 입구의 신양 섭지해수욕장은 널리 알려지지 않아 때묻지 않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둥그런 초승달 같은 반원형의 이 해수욕장은 돌, 자갈이 거의 없는 대신에 가늘고 고운 연갈색의 모래가 깔려 있다.백사장 길이 300m, 너비 80m, 평균수심 1m로 파도가 잔잔하고 아늑해서 어린이와 노약자들이 안심하고 해수욕을 .. 2025. 3. 21.
제주 성산 광치기해변의 유채꽃밭에서 제주 성산 광치기해변의 유채꽃밭에서2025년 3월 21일, 제주 성산 광치기해변의 유채꽃밭에서~제주올레길 1코스를 끝내고 광치기해변의 활짝 핀 유채꽃밭에서 잠시 쉬어간다.성산일출봉에서 섭지코지로 향하는 길목에 있는 광치기해변은 제주올레 1코스의 마지막이자 2코스가 시작되는 곳이다. 펄펄 끓던 용암이 바다와 만나 빠르게 굳어지며 형성된 지질구조가 특징이며, 특히 썰물 때는 바닷물에 가려있던 비경들이 속속들이 들어나 숨은 비경을 선사한다. 용암 지질과 녹색 이끼가 연출하는 장관은 전 세계 어디서도 볼 수 없는 풍경을 자아내어 많은 사진작가들이 찾는 사진명소이기도 하다. 특히 성산일출봉 옆으로 뜨는 일출을 한 프레임에 담을 수 있어 연말연시에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광치기해변의 모래는 현무암의 풍화작용으로 오.. 2025.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