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의 섬 진도 동석산, 그리고 세방낙조와 다도해..
본문 바로가기
돌구름의 산행이야기/산행2014

보배의 섬 진도 동석산, 그리고 세방낙조와 다도해..

by 정산 돌구름 2014. 7. 21.

보배의 섬 진도 동석산, 그리고 세방낙조와 다도해..

 

 

○ 산행일자 : 2014년 7월 20일 (일)

○ 기상상황 : 구름 조금 맑음(맑고 무더운 날씨에 이따금 해무. 26~29℃)

○ 산행인원 : 두사람

○ 산행코스 : 천종사~종성골~종성바위~동석산~230.9봉~석적막산~가학재~작은애기봉~큰애기봉~전망대~세방낙조(전남 진도)

○ 거리 및 구간별소요시간 : 약 5.72km(GPS), 3시간25분 소요

  천종사주차장(13:30)~천종사(13:32)~정자(13:37)~미륵좌상 암굴(13:45)~종성바위(13:50)~칼바위봉(14:05)~동석산

  (14:20~25)~230.9m봉(15:00~05)~석적막산(15:23)~헬기장(15:37)~가학재(15:41)~전망바위(15:55)~작은애기봉(16:00)

  ~세방낙조 갈림길(16:10)~큰애기봉(16:15~25)~갈림길(16:28)~임도(16:40)~정자(16:44)~세방낙조 쉼터(16:55)

○ 주요봉우리 : 동석산(219m), 삼각점봉(230.9m), 석적막산(164m), 작은애기봉(278m), 큰애기봉(283m)

○ 교통상황 : 광주~빛고을로~운수IC~12번고속~15번고속~목포IC~목포대교~49번~18번~801번 지방도~천종사 주차장

 

 

○ 산행지 소개

  동석산(銅錫山 219m)은 진도 남서쪽의 지산면 심동리 바닷가 근처에 위치해 있는 화산암 계열의 바위산이다.

  정상에서 남쪽으로 뻗은 1.5㎞의 주능선이 거대한 바위 능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풍광이 독특하고 아름답다.

  바다를 그리워하는 거대한 성곽과도 같은 동석산은 서남쪽의 조도에서 보면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자체가 거대한 성곽을 연상케하는 바위덩어리로 이루어진 산으로 암릉 중간마다 큰 절벽을 형성하고 있어 경관이 수려하다.

  산행을 하는 동안 주변의 봉암저수지·신동저수지와 서해바다 다도해의 섬들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심동저수지를 사이에 두고 서쪽으로 급치산이 해안을 바라보고 있고, 동석산은 그 건너편에 있다.

  산자락엔 천 개의 종을 매달았던 천종사라는 절이 있다.

  동석산의 동쪽 6부 능선쯤에는 마파람이 불면 은은한 종소리를 낸다는 동굴이 위치한 ‘종성골’이라는 골짜기가 있다.

  이 산에서 바라보는 서해 일몰은 아름답기로 정평이 나 있다.

  진도의 숱한 매력 가운데에 가장 눈을 홀리는 것을 꼽으라면 단연 세방마을 바닷가의 황홀한 낙조이다.

  해질 무렵 섬과 섬 사이로 빨려 들어가는 일몰의 장관은 주위 파란 하늘을 단풍보다 더 붉은 빛으로 물들인다.

  ‘한반도 최남단 제일의 낙조 전망지’로 선정된 자연이 빚은 예술품 세방낙조 전망대가 있다.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일몰을 볼 수 있는 곳 진도 해안도로 <세방낙조 전망대>에서 내려다보는 다도해의 경관은 압권이다.

  해질 무렵 섬과 섬 사이로 빨려 들어가는 일몰의 장관은 주위의 파란 하늘을 단풍보다 더 붉은 빛으로 물들이고, 낙조는 환상적인 풍경이다.

  기상청이 한반도 최남단 <제일의 낙조 전망지>로 선정했을 정도이다.

  이 해안도로는 다도해의 아름다운 섬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최고의 다도해 드라이브 코스다..

○ Prologue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거제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섬인 진도..

진도군은 서해와 남해가 만나는 한반도 서남쪽 바다의 230여 개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섬인 진도는 '1년 농사로 3년을 먹고산다'라는 말이 있을 만큼 농경지가 넓고 농산물이 풍부한 편이다.

섬 주변의 바다에서는 어류와 해조류가 많이 나서 섬 이름도 ‘보배의 섬’이란 뜻의 '진도'라 붙여졌으며, 다양한 역사유적지가 산재해 있다.

그중 용장산성과 남도석성은 고려시대 삼별초의 항몽유적지이고, 명량해협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왜군을 크게 무찌른 전승지이다.

진도에는 8경과 3보가 있다.

진도 8경은 명량대첩지인 울돌목해안, 신비의 바닷길, 관매도의 관매 8경, 남도석성, 운림산방, 용장산성 등을 가리킨다.

진도 3보는 진돗개, 구기자, 자연산 돌미역을 말한다.

또, 해마다 음력 2월 그믐께에는 고군면 회동리와 바다 건너 의신면 모도 사이에 폭 40여m, 길이 2.8km의 신비의 바닷길이 열린다.

한국판 모세의 기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 신비의 바닷길이 열릴 즈음이면 영등제가 개최되어 수많은 외지 관광객이 몰려든다.

진도읍에서 7㎞ 떨어진 곳에 쌍계사라는 절이 있으며, 인근에 천연기념물 제107호로 지정된 상록수림과 조선 말기 남종화의 대가인 소치 허련이 기거하던 곳을 그의 손자 남농 허건이 유품 전시관으로 복원시켜 놓은 운림산방이 있다.

진도와 해남 사이의 울돌목에는 지난 1984년10월18일에 진도대교(484m)가 완공됨으로써 육로를 통해 진도에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다.

아직도 세월호 참사의 상처와 슬픔이 가시지 않은 진도..

세월호(世越號) 침몰사고는 2014년4월16일 오전8시48분경 전남 진도군 조도면 부근 맹골수도 해상에서 청해진해운 소속의 인천발 제주행

국내선 여객선 세월호가 전복, 침몰한 사고이다.

세월호에는 단원고등학교 2학년 학생 325명과 선원 30명 등 총 476명이 탑승하였다고 알려졌다.

이 사고로 172명은 구조되었으나, 294명이 사망하고 10명이 실종되었다.

한편,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맹골수도(孟骨水道)는 진도군 조도면 맹골도와 거차도 사이에 있는 수도(水道)를 말한다.

우리나라 해역 중 울돌목 다음으로 조류가 센 곳으로 유속은 최대 6노트,

맹골수도라는 이름은 맹골도(孟骨島)에서 유래했는데, 맹골도와 거차도의 지명은 이곳의 거칠고 빠른 물살에서 유래했다.

맹골도는 당초 '맹수처럼 사나운 바다에 떠 있는 섬'이라는 뜻에서 '매응골도(每鷹骨島)'라고 불렸는데,

1789년 인구조사 때 주변에 뾰족 바위가 많아 맹골도로 개칭했다. 거차도는 '거친 바다'라는 뜻이다..

 

 

 

13시30분, 뜨거운 햇볕 아래 천종사 주차장을 출발한다...

 

주차장에는 세방낙조등산로 안내도가 있다..

 

동석산 암릉 아래 천종사가 자리잡고 있다..

 

아담한 사찰, 천종사..

천종사가 있던 곳에는 초라한 암자가 있었지만 1993년 지금의 대웅전을 세웠다고 한다. 

한때 천개 종을 모아 천종각을 완성하면 국가 안녕과 평화통일, 소원을 이룬다하여 1천개 종을 매달 계획을 세워 천종공원운동을 펼쳤다.

 

절 옆길로 오르면 일붕 통일기원시비(統一祈願詩碑)가 있다..

일붕 서경보(一鵬 徐京保)스님(1914년10월10일~1996년6월25일)는 승려이며 불교 지도자로, 본관은 이천, 법명은 일붕(一鵬)이다.

1932년 제주도에서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템플 대학교에서 비교종교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를 비롯하여 여러 대학의 교수를 역임했고 불국사 주지도 거쳤다.

제4공화국의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제5공화국의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으로 참가하여 두 정권을 지지했다.

1988년, 자신이 원로의원까지 지냈던 조계종에서 나와 대한불교 일붕선교종을 새로 설립해 종정에 올랐다.

1992년에는 세계불교법왕청을 설립하고 초대 법왕이 되었다. 전국 757곳에 남북의 평화통일기원시비를 건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여받았으며, 1995년과 1996년에 2년 연속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된 바 있다..

 

종성골로 오르는 부드러운 숲길을 지나..

 

정자쉼터가 있는 곳에 이른다..

 

종성골에는 나무계단길이 길게 이어져 가파르게 오른다..

 

종성골은 722년(불기 1226년) 신라 승려 김대비가 육조 혜능대사의 머리를 받들고 하동의 쌍계사로 탑을 세우러 물길을 저어 갈 때

이곳의 작은 암자에 잠시 머물렀던 때가 있었다.

그 날 천개의 봉우리가 일시에 종소리를 토해 내어 골짜기에는 서기로 가득했다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동석산 골짜기를 종성골로

불러 후세의 풍수리리에서 천종하강지지(千鍾下降之地)로 알려지게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종성골 정상에는 갈림길 이정표..

 

바로 우측, 미륵좌상 암굴에 오른다.

이 암굴은 마파람이 불 때면 바람이 이 굴을 돌아 나가는 힘에 따라 은은한 종소리를 내는데 그래서 이 산 골짜기를 '종성골'이라 한다..

 

종성굴에서 바라본 능선.. 종성교회에서 오르는 위험한 암릉구간이다..

 

남쪽으로는 하천을 따라 송호리 고남들판이 펼쳐지고, 외로운 섬 마구도 너머로 세월호 참사 현장 텐트가 있는 팽목항도 한눈에 들어온다..

 

동남쪽으로는 봉암저수지와 오류리들판, 멀리 해남 달마산 능선..

 

종성바위 전망대.. 

 

종성바위에서 바라본 가야할 능선봉의 풍경..

 

하심동 마을과 고남들..

 

종성바위 정상..

 

종성바위를 지나 아슬아슬한 암릉을 따라간다.. 

 

아래로는 천종사, 그 뒤로 봉암저수지..

 

가야할 칼날능선..

 

칼날봉을 배경으로..

 

잠시 머무른다..

 

험준한 길의 연속이다..

 

지나온 능선..

 

남쪽 아래로는 심동저수지, 서해바다 너머로 조도군도.. 

 

지나온 능선을 다시한번 바라본다..

 

동쪽방향으로는 봉암저수지와 멀리 달마산 자락..

 

북동쪽으로는 멀리 지력산 줄기, 좌측의 검망산..

 

가야할 칼날능선..

 

건너편의 석적묘산..

 

심동저수지와 급치산..

 

칼날능선 좌측으로 우회한다..

 

다시 올라선 능선..

 

뒤돌아본 칼날능선..

 

직벽의 능선이다..

 

팽목항은 운무에 잠기고..

 

가야할 동석산..

 

좌측 끝에 가야할 작은애기봉과 큰애기봉, 검망산, 해산봉, 그리고 지력산이 바라보인다.. 

 

당겨본 암봉..

 

건너편의 동석산, 그 너머로 석적막산..

 

동석산 정상에 올라선다..

 

시원스런 조망의 동석산 정상에서..

 

땀을 식히며 잠시 쉬어간다.. 

 

가야할 암릉, 그 너머로 230.9m봉과 작은애기봉, 큰애기봉..

 

아래로는 봉암저수지, 지력산 너머로 멀리 해남 달마산 줄기..

 

봉암저수지는 1966년 팽목방조제 건설로 약 400ha의 농경지가 새로 간척되었는데 이곳에 농업용수를 공급할 목적으로 1979년 확장하였다.

 

솟아오른 암봉들이 아름답다..

 

가야할 암릉, 좌측의 석적묘산..

 

또한번 우회하여 넘어야 할 칼날능선, 그 너머로 230.9m봉이 바라보인다..

 

처음 우회길에서 좌측으로 가지 않고 30m가량 진행하여 우측으로 우회한다..

 

다시 능선으로 올라선다..

 

우회하여 올라선 칼날 능선, 그 뒤러 동석산..

 

가야할 길, 역시 좌측으로 우회하여 230.9m봉에 오른다..

 

석적묘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암릉 좌측으로 우회하는 숲길을 따라간다..

 

다시 가파른 암릉을 올라..

 

암릉에 올라선다..

 

지나온 능선..

 

가로막는 암봉..

 

삼각점(조도 404)이 있는 230.9m봉이다..

 

230.9m봉에서 바라본 지나온 능선..

 

동쪽으로 트이는 조망..

 

북쪽 방향, 검망산과 해망봉, 지력산..

 

북서쪽으로는 가야할 석적막산, 그너머로 곡섬..

 

가야할 작은애기봉과 큰애기봉은 운무에 잠겨있다..

 

지나온 칼날능선을 향하여..

 

잠시 쉬어간다..

 

험준한 암릉..

 

스릴 만점인 동석산 줄기이다..

 

잠시 내려섰다가 다시 오른다.. 지나온 230.9m봉과 동석산..

 

조망이 트이는 능선봉..

 

가야할 석적막산..

 

지나온 능선..

 

지금까지의 암릉은 이제 부드러운 흙길로 바뀐다..

 

부즈러운 능선을 따라가면..

 

헬기장을 지난다..

 

내려선 가학재..

 

잠시 가파르게 올라서면 조망이 트이고..

 

가야할 작은 애기봉, 그 너머로 가사도..

 

조망이 트이는 능선봉..

 

좌측으로 트이는 전망대 바위..

 

바로 아래로는 곡섬과 잠두도, 불도, 길게 이어지는 가사도..

 

가사군도(加沙群島)는 가사도, 주지도(손가락섬), 양덕도(발가락섬), 혈도(활목섬, 공도), 송도(솔섬), 광도(광대섬, 사자섬) 및

무인도인 외공도, 가덕도, 접우도, 마도, 대소동도, 소소동도, 돈도, 방구도 등 크고 작은 섬들의 무리를 가리킨다.

이름처럼 불교적 색채가 많은 섬으로 살생을 금지하는 불교적 전설도 얽혀 있다.

1896년 이전에는 전남 진도군 제도면에 속했다가, 1896년 행정구역 개편 때 가사면으로 독립했다.

그 후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평사리, 고사리를 합쳐 가사도리라 해서 조도면에 편입되었다.

1964년7월31일 군 조례 제87호에 따라 가사 출장소가 개설되었다.

1983년 고사도, 평사도는 신안군 신의면에 편입되었다..

 

가학리와 선착장, 그 앞에 좌측의 각흘도, 우측에 곡섬, 그 뒤에 불도..

 

작은애기봉.. 

 

동쪽으로는 지산면 가치리, 멀리 지력산..

 

작은애기봉에 올라선다..

 

아무런 상징도 없는 작은애기봉..

 

작은애기봉에서 내려다본 풍경.. 좌측에 곡섬과 잠두도, 우측에 장도, 그 너머에 주지도, 그리고 길게 뻗어있는 가사도..

 

당겨본 장도와 주지도..

주지도(主之島)는 손가락섬 또는 솥뚜껑섬이라고도 한다.

가사도에 동쪽에 위치하며 양덕도·외공도·접우도·가덕도 등과 함께 가사군도(加沙群島)를 형성한다.

섬은 대부분이 산지로 소나무가 섬 전역을 뒤덮었으며, 농지가 없고 주민들이 모두 노령이라 근해에서의 고기잡이가 주업을 이룬다고 한다.

멀리서 보면 사람의 손가락처럼 보이는 화강암 바위 하나가 산 정상에 솟아 있어 일몰 때면 신비한 광경을 연출한다..

 

건너편의 큰애기봉..

 

작은애기봉에서 내려서면 칡넝쿨이 길을 막는다..

 

세방낙조 갈림길을 지나 직진의 큰애기봉을 오른다..

 

큰애기봉 정상의 전망데크..

 

동석산은 천하제일 등산로?

 

큰애기봉에서 바라보는 조망은 압권이다..

완도, 보길도, 구자도, 추자도, 조도, 우이도, 그리고 날씨가 청명할 때는 흑산도와 제주도까지 볼 수 있다고 한다..

 

건너편 북쪽으로는 금노항, 운무에 잠긴 바위산...

 

중앙에는 바위산인 해산봉..

 

당겨본 금노항..

 

발가락섬으로 불리는 양덕도(兩德島..

섬의 형상이 발가락, 거북이를 닮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곳에 낙조가 떨어질 때면 달마섬이라고도 부른다.. 

 

지산면의 섬들..

 

장도와 주지도..

 

점점이 떠있는 가사군도의 섬들..

 

작은애기봉과 지나온 능선...

 

동남방으로 고개를 돌리면 진도의 산하, 그리고 멀리 해남 달마산이 하늘금을 긋는다...

 

다시 세방낙조 갈림길로 되돌아온다.. 

 

가파른 통나무계단길...

 

관리가 되지 않아 뒤엉킨 내리막이 위험스럽다...

 

가파름이 완만해지며 숲길이 나타난다...

 

길을 뒤덮은 칡넝쿨과 잡초...

 

임도에 내려선다...

 

길을 가로질러 세방낙조 전망대로...

 

전망대에서 바라본 큰애기봉과 작은애기봉 능선...

 

바로 앞 장도와 소장도, 그 뒤로 가사도,  운무에 잠긴 주지도와 양덕도..

 

당겨본 양덕도..

 

장도와 그 뒤편의 손가락섬 주지도...

 

전망대를 내려서면...

 

긴 나무데크 내리막 계단이 이어진다...

 

뒤돌아본 전망대...

 

노을 풍경이 아름다운 펜션...

 

해미랑펜션...

 

세방노을...

 

해미랑펜션을 지나 내려서면...

 

세방낙조 전망대...

 

그 섬에 가리...

 

바로 앞 잠두도와 곡섬, 각흘도..

지산면의 부속도서는 장도(長島)·불도佛島)·거도(巨島)·잠두도(蠶頭烏)·곡도(曲島)·각흘도(角屹島) 등이 있으나 유인도는 장도뿐이다..

 

세방낙조 해변..

 

세방낙조는 세방리 앞바다에 점점이 떠 있는 섬들의 모습이 다양하고 특이하여 더욱 유명하다...

 

 

낙조 전망대에서 바라다 보이는 섬으로는 양덕도(발가락섬), 주지도(손가락섬), 장도, 소장도, 당구도, 사자섬, 혈도, 가사도, 불도,

가덕도, 상갈도, 하갈도 등 20여 개 정도이다..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지, 우리나라 최고의 일몰지 세방낙조..

다도해의 푸른 바다가 붉은색으로 물들며 장도, 양덕도, 주지도, 가사도, 그 섬들 사이로 넘어가는 일몰의 황홀경을 꼭 한번 보고 싶다...

<김원중 / 바위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