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씨의 기원
우리나라에서 김(金), 이(李), 박(朴)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성씨인 최(崔)씨는 신라 6부에게 사여한 여섯 성씨에서 기원한다.
<삼국유사> 권1 기이1, 신라시조 혁거세왕조에 의하면, 신라 6부에는 급량부(及梁部), 사량부(沙梁部), 본피부(本彼部),
점량부(漸梁部), 한기부(漢歧部), 습비부(習比部)가 있었으며, 노례왕(弩禮王) 9년(32년)에 6부의 이름을 고치고,
또 여섯 성을 주었다고 전해진다.
<삼국사기> 권1 신라본기1,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9년(32년)조에 6부의 이름을 바꾸고 그에 따라 성을 내려주었다
(改六部之名 仍賜姓)는 기록이 전해진다.
이 기록들로 보아 노례왕(유리이사금) 9년에 양부(梁部)는 이(李)씨, 사량부(沙梁部)는 정(鄭)씨, 본피부(本彼部)는 최(崔)씨,
점량부(漸梁部)는 손(孫)씨, 한기부(漢歧部)는 배(裵)씨, 습비부(習比部)는 설(薛)씨의 성을 사여(賜與)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6성을 사여받은 이 집단들이 후일 6두품으로 편제되었다고 한다.
최씨는 신라시대 6부 촌장 중 하나인 돌산 고허촌 소벌도리공이 그 시조다.
후손들이 세운 경주 최씨 득성 시조 소벌도리공 기념비는 경주시 탑동에 있다.
옛날 조선유민이 동해변 산곡간(山谷間)에 흩어져 살면서 6촌(六村)을 이루고 있었는데 이를 진한 6부(辰韓六部)라 하였다.
이 중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 촌장은 소벌(蘇伐)도리 공(公)이었고 하늘에서 형산(兄山)으로 내려왔다.
그 당시 임금은 없고 여섯 촌장만 있었으므로 공께서는 모든 촌장들과 함께 유덕(有德)한 임금을 세울 것을 결의한 후,
높은 곳에 올라 남쪽을 바라보고 있었는데 양산(楊山) 및 나정(蘿井) 곁에 이상한 기운이 땅 위에 서려 있어 가보니 붉은 알
하나가 있었고 이를 쪼개어 보니 알 속에서 사내아이(童男)가 나왔다.
알이 매우 커서 박과 같다 하여 성을 박(朴)이라 하였다.
공께서는 천자의 탄생으로 생각하고 동천(東泉)에 목욕시켜 정성껏 양육하여 13세가 되던 한선제오봉원년(漢宣帝五鳳元年,
BC 57년) 갑자(甲子)년 4월 병진(丙辰)에 5촌장과 더불어 왕으로 추대하니 이가 곧 신라 개국 시조왕인 박혁거세이다.
신라 유리왕 9년(32년) 임진년에 공에게 개국좌명(開國佐命)의 공(功)이 있다하여 고허촌(高墟村)을 사량부(沙梁部)라 하고
촌장을 대인(大人)이라 하였으며, 6부에 성씨를 사성(賜姓)할 때 사량부에는 최씨를 주었다.
법흥왕 3년(516년) 병신에 휘를 충선군(忠宣君)이라 하였으며, 태종 무열왕3년(656년) 병진에 문열왕으로 추대하였다.
소벌도리공은 신라의 첫 임금인 박혁거세 거서간의 양 아버지이기도 하다.
<삼국유사>에서는 성을 정씨, <삼국사기>에서는 최씨라 하지만 사기에 따라 최소벌도리로 부른다.
2. 최씨의 분관
최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신라 말기의 대문장가이며, 소벌도리의 24세손인 최치원(崔致遠 857년생)이다.
최치원의 윗대에서 개성, 삭녕, 동주(철원), 전주 등의 본관이 나눠지고, 최치원을 1세조로 하는 경주 최씨는 최치원의 손자인
최승로(崔承老)의 후손에서 함양, 청주, 충주, 영흥, 용강, 수원, 부안, 강릉, 강화, 화순, 통천, 양천, 원주 등으로 분관 되었다.
지손에서 해주, 진주, 탐진, 전주 등으로 분관했다.
최씨는 경주 최씨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해주, 우봉 최씨 등도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고, 전주 최씨와 동주 최씨도 상당한
세력을 펼쳤으나 최씨는 조선시대보다 신라, 고려시대에 세력을 떨쳤다.
그밖에 김씨에서 최씨로 성을 하사받은 수성 최씨와 중국의 귀화 성씨인 충주 최씨가 있다.
이후 본격적인 파가 분화된 것은 고려시대 과거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문종 때이다.
최씨는 문헌에 326본으로 나와 있으나 현재는 125개의 본만 전하고, 그중에서도 시조가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40여개이다.
2013년 기준, 전주 최씨는 약 39만3천여명으로 286개 전통성씨 4,179개 전통본관 중 20위에 해당하는 숫자이다.
191만여명의 최씨중 약 97만7천명의 경주 최씨에 이어 2번째다.
3. 전주최씨의 계파
전주 최씨 연원보(全州崔氏淵源譜)>에 의하면 전주 최씨는 계보를 달리하는 4개 종파로 나누어진다.
1. 고려 정종(定宗) 때 문과에 급제하여 숙종(粛宗) 때 병부상서(兵部尙書)와 신호위상장군(神號衛上將軍)을 지내고
완산부개국백(完山府開國伯)에 봉해진 최순작(崔純爵)을 시조(始祖)로 하는 문열공파(文烈公派),
2. 고려 때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내고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봉해진
최군옥(崔群玉)을 시조로 하는 문충공파(文忠公派),
3. 고려 인종(仁宗) 때 문과에 급제한 후 1174년(명종 4년) 동북로 도지휘사(東北路道指揮使)로 서경유수 조위총의 난에
순절하여 완산군(完山君)에 추봉된 최균(崔均)을 시조로 하는 사도공파(司徒公派) 또는 복야공계(僕射公系),
4. 완산부개국백 최순작의 7세손으로 충숙왕(忠肅王)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라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진 최아(崔阿)를
시조로 하는 문성공파(文成公派)가 있다.
전주최씨는 조선시대에 상신(相臣) 3명, 대제학(大提學) 2명, 청백리(淸白吏) 3명, 문과급제자(及第者) 109명을 배출하였다.
대표적 인물은 최명길(崔鳴吉)인데, 그는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1등공신으로 대제학·영의정을 역임했다.
그의 손자 최석정(崔錫鼎 숙종 때 영의정)·최석항(崔錫恒 경종 때 좌의정) 형제도 정승을 지냈다.
특히 석정은 당시 소론(少論)의 영수로서 당론의 소용돌이 속에서 6차례나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문충공 최군옥의 후손으로는 고려 말기의 절신(節臣)으로 <두문동(杜門洞) 72현록(賢錄)>에도 들어 있는 최양(崔瀁)이 있다.
그밖의 인물로는 고려 말기의 좌참찬 최부(崔府), 태종 때의 예문관 직제학 최덕지(崔德之), 선조 때의 황해도 관찰사를 역임한
최철견(崔鐵堅) 등이 있고,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크게 활약한 최기필(崔琦弼)·최균(崔均)·최경행(崔敬行) 등도 있다.
전주최씨는 경기 화성(華城), 전북 남원(南原)·김제(金堤)·부안, 전남 영암(靈巖) 등에 동족부락을 이루고 있다.
4. 전주최씨 문열공파
문열공파 시조 완주백(完州伯) 최순작(崔純爵 1020~1108)은 고려 정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문하시중으로 완주(현 전주)
개국백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최순작을 1세조로 하고 본관을 전주로 하였다.
1세, 완주백 최순작은 숭(崇)과 공(崆) 두아들을 두었다.
2세, 예부상서(禮部尙書) 숭(崇)은 3세는 문강공(文康公) 남부(南敷)로 이어져 전(佺), 선(善), 건(建)을 낳았다.
4세, 비서소윤(秘書小尹) 전(佺)은 정신(正臣), 직신(直臣), 양신(良臣)으로 이어진다.
5세, 병부시랑(兵部侍郞) 정신(正臣)은 6세 득평(得枰), 직평(直枰), 입평(立枰)으로 이어진다.
6세, 선부전서(選部典書) 득평(得枰)은 7세 문정공(文貞公) 완산군(完山君) 감찰대부(監察大夫) 재(宰)로 이어진다.
7세, 문정공 최재(崔宰) 자손 3형제는 사미(思美), 덕성(德成), 유경(有慶)으로 판서공 최사미(判書公 崔思美)는 판서공파를,
평도공 최유경(平度公 崔有慶)은 평도공파를 세웠다.
8세, 평도공파 중시조 최유경은 조선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청백리(淸白吏)이며,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냈다.
9세에 이르러 평도공파는 장남 판윤공 최사위(判尹公 崔士威)가 판윤공파를, 차남 양도공 사의(襄度公 士儀)가 양도공파를,
3남 지평공 사규(持平公 士規)가 지평공파를, 4남 경절공 사강(敬節公 士康)이 경절공파를, 5남 첨추공 사용(僉樞公 士庸)이
첨주공파, 6남 감무공 사흥(監務公 士興)이 감무공파로 나뉘어져 전주최씨 문열공파는 예의판서공파를 포함하여 총 7개파로
분파되었다.
최재의 아들 최유경은 고려말 조선초 전주 최씨를 중흥시킨 인물로 조선조의 전주 최씨 3정승 2대제학이 모두 그의 후손이다.
조선 개국후 중추원사 판한성부사를 역임했으며, 태종조에는 청백리에도 뽑혔다.
평도공은 사위, 사의, 사규, 사강, 사용, 사흥 여섯 아들을 두었으며, 최사위는 한성판윤을 지냈고, 최사의는 판돈녕부사,
최사규는 사헌부지평, 최사강은 우찬성, 최사용은 첨지중추원사를 지냈으며, 최명길은 최사강의 후손이다.
문열공파는 현재 전주, 김제, 익산, 곡성, 경기도 용인, 의정부 충북 청원, 진천 충남 천안에 집성촌을 이루고 거주하고 있다.
<8세 평도공 최유경(1343~1413)의 묘역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좌측이 최유경과 첫째, 둘째부인의 합장묘이고, 우측이 셋째부인 고성이씨 묘역이라고 한다.
천(天), 지(地), 인(人) 3혈(穴)이 고루 갖추어진 명당이라고 한다.
5. 판윤공파의 태동
전주를 본관으로 한 문열공파 시조 최순작(崔純爵)에서 9세 판윤공 최사위(崔士威)까지의 변천사를 보면,
1世 시조, 문열공(文烈公) 최순작(崔舜爵)은 고려 정종 때 벼슬에 나가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중서시랑 평장사가 되었다.
최순작은 고려 문종 때에 시랑(侍郞)을 역임하면서 병부상서(兵部尙書)겸 신호위상장군(神虎衛上將軍)이 되고,
여진(女眞)정벌에 수차례 큰 공을 세웠다.
남경 설치를 반대하는 상소에 앞장섰고, 기자(箕子)의 사당을 짓는 데에 그가 극력 찬동하여 세우게 했다.
후에 추충좌리평융척지진국공신(推忠佐理平戎拓地鎭國功臣)이 되고 검교대부(檢校大夫)를 거쳐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겸
정당좌복좌사(政堂左僕射), 보문각태학사(寶文閣太學士)로 역임하다가 숙종 15년 벼슬을 내놓고 귀향하자 완주부개국백
(完州府開國伯)에 봉작하였다.
완산(完山)에 낙향하여 처사(處士) 곽여(郭與)와 더불어 학문을 논하는 벗이 되었으나 곽여(郭與)는 다시 조정의 부름을 받고
‘도사의 복’으로 항상 임금의 좌우에서 있었으나 최순작(崔純爵)은 한번 물러난 후 일체의 벼슬을 하지 않고 붉은 옷에 은청색
(銀靑色) 푸른 띠를 두른 높은 사람 의복으로 산수간(山水間)을 한적하게 거니시니 당시 사람들은 곽처사(郭處士)는 대궐안의
신선이요, 최완주백(崔完州伯)은 선경의 재상(宰相)이라 칭송하였다 한다.
이는 전주읍지(全州邑誌)에 “최순작(崔純爵)은 옥동(玉洞) 재상(宰相)이요, 곽여(郭與)는 금문우객(金門羽客)”이라고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도 잘 알 수 있다. 1108년(예종 3년) 9월 별세하니 시호(諡號)를 문열(文烈)이라 하였다.
2世, 상서공 최숭(尙書公 崔崇)은 최순작의 장자로 고려 숙종때(1095~1105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종때(1105~1122년)
이부시랑을 역임한 후 판예부상서 겸 예문제학을 지내고 1151년에 돌아가셨다.
개성소윤공(開城小尹公) 최공은 문열공의 둘째 아들이다.
3世, 문강공 최남부(文康公 崔南敷)는 상서공 최숭의 장남이다.
고려 의종때(1146~1170년) 문과에 급제하여 공부상서를 지내고 대장군으로 수문전 태학사를 겸했다.
1200년에 돌아가셨고, 시호는 문강공이며, 전주백(全州伯)에 봉해졌다.
4世, 소윤공 최전(小尹公 崔佺)은 고려 희종때(1205~1211년) 비서소윤을 지냈다.
5世, 시랑공 최정신(侍郞公 崔正臣)은 1226년 문과에 급제 좌우위 정언, 전중어사, 중정시랑을 거쳐 김해부사를 지냈다.
원종때(1259~1274) 임연의 독재를 타도하려 하다가 실패하여 10여년간 귀양살이를 하고 더 이상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6世, 전서공 최득평(典書公 崔得枰)은 전주최씨 문정공계 중시조 문정공 최재의 아버지이다.
선부전서를 지냈으며, 성품이 청렴하고 강직하여 여러 사람의 공경을 받았으나 강직한 성품으로 여러차례 사람들의 미움을
사서 조정에 참소(讒訴)되기도 했다.
최득평의 형제인 시랑공 최직평(侍郞公 崔直坪)은 예부시랑을 지냈다고 하나 후손은 전해오지 않는다.
7世, 문정공 최재(文貞公 崔宰)는 1303년에 태어나 1330년 문과에 급제 지평이 되었고 1352년 집의가 되었다.
성산군(星山君)의 존호를 받았으며, 중광대문하시중을 지냈고 1378년 10월에 돌아가셨다. 자는 재지(宰之) 호는 문정이다.
8世, 판서공 최사미(判書公 崔思美)는 전주최씨 문정공계 예의판서공파의 파조로 고려 공양왕 때 예의판서를 역임했다.
8世, 최덕성(삼사좌윤)은 최재의 둘째아들이다.
8世, 평도공 최유경(平度公 崔有慶)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자는 경지(慶之), 호는 죽정(竹亭), 시호는 평도공(平度公)이다.
부는 감찰대부 재(宰)이며, 모는 무안군부인(務安郡夫人) 박씨(朴氏)로 군부정랑(軍簿正郎) 윤류(允鏐)의 딸이다.
1372년(공민왕 21년) 판도사좌랑(版圖司佐郎)이 되어 각 도의 의염(義鹽)의 염분(鹽盆)이 염창(鹽倉)에 속하게 하였다.
이어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이 되어 왕의 총애로 교만방자하게 불법을 자행하던 환관(宦官) 윤충좌(尹忠佐)를 탄핵하였다.
1375년(우왕 1년) 전법사총랑(典法司摠郎)을 거쳐 1388년 양광도안렴사(楊廣道按廉使)가 되어 전민(田民)의 폐단을 고찰
하여 바로잡았다. 동년 여름 요동정벌 때 서북면전운사 겸 찰방(西北面轉運使 兼 察訪)으로 있으면서 위화도회군이 감행되자
우왕에게 고변하였다. 최영(崔瑩)이 실각한 뒤에도 창왕의 즉위와 함께 밀직부사(密直副使)로 발탁되었다.
1392년에 이성계가 즉위하여 개국공신에 이어 원종공신을 녹훈할 때, 위화도회군을 우왕에게 고변했다하여 일부 반대자가
있었으나 이성계가 그 충의를 칭찬,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서훈되었다.
1395년 경상도도관찰사, 1397년에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로서 경기·충청도 도체찰사(都體察使)가 되어 지방을 순유하였다.
1396년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로서 왕명을 띠고 서북면도순문찰리사(西北面都巡問察理使) 최영지(崔永沚)에게 궁온(宮醞)
과 관교(官敎)를 전하여 선위(宣慰)하였다. 같은 해 개성유후사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서 경기우도도관찰출척사(京畿右道都
觀察黜陟使)로 나가는 등 태조의 두터운 신임을 얻어 여러 차례 왕의 특사로 중임을 수행하였다.
1401년(태종 1년) 대사헌(大司憲)이 되었고,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로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돌아왔다. 1404년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로서 치사(致仕)하였다.
태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청주의 송천서원(松泉書院)에 제향되었다. 또, 조선 초기 축성도감(築城都監)의
도제조(都提調)로 서울의 성곽(城郭)과 남대문(南大門)을 세웠으며, 남대문의 상량문(上樑文)은 공의 친필(親筆)로서
1962년 지하철(地下鐵) 1호선 건설을 위해 남대문을 해체(解體) 작업 중 발견되어 중요한 문화재가 되었다.
9世, 첫째 판윤공 최사위(判尹公 崔士威 1361~1450)는 전주최씨 문정공(최제)계 판윤공파의 파조로 태종때 우군동지총제
개성부사, 황해도관찰사, 세종때 자헌대부, 한성판윤을 지냈다.
최사위는 고려 말기에 관직이 중랑장(中郎將)에 이르렀지만 조선이 개국되는 과정에서 아버지 유경을 따라 낙향하였다.
아버지가 이성계의 개국을 도와 개국원종공신이 되면서 최사위도 벼슬을 하게 되었다.
1393년(태조 2년)에 다시 벼슬길에 나아가 도관좌랑(都官佐郎)·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사간원좌윤(司諫院左尹)·병조참의
(兵曹參議) 등을 역임하였고, 1404년(태종 4년)에 안변부사 조사의(趙思義)가 난을 일으키자 이순(李淳)·김우(金宇) 등과
함께 평정하였다. 곧이어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로 임명되었으며, 이때에 왕이 지켜보는 가운데 군사훈련을 잘하여
관대(冠帶) 일령(一領)을 하사받았다. 다음해에는 우군동지총제사(右軍同知總制使)로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24년(세종 6년)에 북쪽 변방을 오랑캐가 침략하자 김계지(金繼之)와 함께 물리쳤으며, 이 공으로 자헌대부
(資憲大夫)에 봉해졌다. 이후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서울시장)이 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리에 있다.
9世, 둘째 양도공 최사의(襄度公 崔士儀)는 문정공계 양도공파 파조로 조선 세종 때 문신으로 이조참의, 예조참판 등을 지냈다.
자는 범숙(凡叔), 시호는 양도(襄度)이다.
9世, 셋째 지평공 최사규(持平公 崔士規)는 문정공계 지평공파 파조로 조선 태종 때 사헌부 지평을 지냈다.
9世, 넷째 경절공 최사강(敬節公 崔士康)은 문정공계 경절공파 파조로 세종 때 병조참판, 호조참판, 이조참판을 지냈다.
자는 안국(安國), 시호는 경절(敬節)이다.
9世, 다섯째 첨추공 최사용(僉樞公 崔士庸)은 문정공계 첨추공파 파조로 자는 관중(貫中)이다. 세종 때 첨지중추부사를 지냈다.
9世, 여섯째 감무공 최사흥(監務公 崔士興)은 문정공계 감무공파 파조로 모친이 병들어 백약이 무효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였으나 효과가 없자 허벅지 살을 베어내어 모친께 드려 병이 나았다고 한다.
이에 나라에서 대흥감무(지금의 군수) 벼슬을 주었다.
6. 판윤공파의 흐름
문열공파 9세 판윤공 최사위(判尹公 崔士威)의 아들은 4형제이다.
1) 처사조파(處士肇派) : 소시조 최조(肇) - 벼슬하지 않았으며, 전주최씨 10세 장손이다.
2) 학생계파(學生啓派) : 소시조 최계(啓) - 전주최씨 10세, 사직, 단종복위에 연루되어 귀양을 갔다.
3) 예판원파 : 소시조 최달(達) - 전주최씨 10세,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단종복위에 연루되어 귀양을 갔다.
4) 학생파 : 소시조 최원세(元世) - 전주최씨 10세, 단종복위에 연루되어 귀양을 갔다.
10세 조(肇)는 전주최씨 판윤공파 장손으로 처사조파 시조이며, 양천허(許)씨와 혼인, 선민(善敏), 득위(得緯) 형제를 두었다.
형조판서를 역임하고, 후에 이조판서를 제수 받았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묘소는 원래 과천시 막계동에 있었으나, 1979년에 용인시 남사면 완장리로 이장하였다.
11세 선민(善敏)은 정부인 창녕성(成)씨와 혼인, 옥순, 옥호(玉浩), 옥명(玉明) 3형제를 두었으며, 묘역은 용인 남사면에 있다.
공조좌랑(工曹佐郞)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참의(吏曹參議) 함경도관찰사 겸 순찰사(咸鏡道觀察使 兼 巡察使)를 지냈다.
12세 옥순(玉筍)은 진주유(柳)씨와 혼인, 정(瀞), 결(潔), 빈(濱), 자(滋) 4형제를 두었다.
1473년(성종 4년) 충청도사(忠淸都事)를 지냈으며, 1481년(성종 12년) 경차관(敬差官)이 되어 평안도와 황해도를 살폈다.
1483년(성종 14년) 사복시판관(司僕寺判官)을 역임하였으며, 예빈시첨정(禮賓寺僉正)이 되어 영안도(永安道 함경도)를
순시하였다. 이듬해 안성군수(安城郡守)를 거쳐 나주목사(羅州牧使)를 지냈다.
묘소는 원래 과천시 막계동에 있었으나, 1979년 과천서울대공원 조성 때 용인시 남사면 완장리 산 77-1로 이장하였다.
13세 장남 정(瀞)은 숙부인 순흥안(安)씨와 혼인하였으나 손이 없어 차남 결(潔)의 2남 사윤(斯胤)을 자계(子繼)하였다.
청도군수(淸道郡守)를 지냈고, 묘역은 경기도 과천 서울대공원 공사로 신안 지도읍 적거리로 이장하였다.
14세 사윤(斯胤)은 생부 13세 결(潔)의 차남으로 통덕랑 병절교위(通德郞 秉節校尉)를 지냈다.
고령신(申)씨와 혼인 덕봉(德峯), 덕윤(德崙) 형제를 두었으며, 묘역은 13세와 함께 적거리로 이장되었다.
15세 덕봉(德峯)은 1579년(己卯생)으로 자는 덕유(德裕)이며, 기계유(兪)씨와 혼인 독자 대인(大仁)을 두었다.
기일은 1월26일로 묘역은 전주 송강동에서 지도읍 적거리로 이장, 합폄(合窆)되어 있다.
16세 대인(大仁)은 경자생(1600년)으로 자는 의화(義化)이며, 광산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치현(致鉉)을 두었다.
기해(1635년)4월14일 사망, 묘역은 전주 송강동에서 지도읍 적거리로 이장, 합폄(合窆)되어 있다.
9세 |
10세 |
11세 |
12세 |
13세 |
14세 |
15세 |
16세 |
17세 |
사위(士威) |
조(肇) |
선민(善敏) |
옥순(玉筍) |
정(瀞) |
사윤(斯胤) |
덕봉(德奉) |
대인(大仁) |
치현(致鉉) |
|
|
|
|
|
|
덕륜(德崙) |
|
|
|
|
|
|
결(潔) |
사입(斯立) |
덕린(德嶙) |
숙(塾) |
극인(克認) |
|
|
|
|
|
|
|
|
극성(克誠) |
|
|
|
|
|
|
|
|
극해(克諧) |
|
|
|
|
|
|
|
|
극심(克諶) |
|
|
|
|
|
|
|
|
극량(克諒) |
|
|
|
|
|
|
덕순(德峋) |
出系 彦英 |
|
|
|
|
|
|
|
덕준(德峻) |
연동(延同) |
수장(壽長) |
|
|
|
|
|
사유(斯胤) |
出系 瀞 |
|
|
|
|
|
|
빈(濱) |
자영(自英) |
형(衡) |
진강(進綱) |
명해(明海) |
|
|
|
|
|
언영(彦英) |
出系 沆 |
|
|
|
|
|
|
자(滋) |
광우(光佑) |
응성(應星) |
부민(膚敏) |
금(嶔) |
|
|
|
|
|
|
|
수민(秀敏) |
율(嵂) |
|
|
|
|
|
|
|
|
억(嶷) |
|
|
|
|
|
광서(光瑞) |
응태(應台) |
익(翼) |
수진(樹鎭) |
|
|
|
|
|
|
|
상(翔) |
|
|
|
|
|
|
광국(光國) |
|
|
|
|
|
|
|
|
광복(光福) |
응기(應箕) |
흡(翕) |
수립(樹立) |
|
|
|
|
|
|
|
|
회(會) |
|
|
|
옥호(玉浩) |
항(沆) |
언영(彦英) |
덕순(德峋) |
도(塗) |
극창(克昌) |
|
|
|
|
|
|
|
|
극형(克亨) |
|
|
|
|
|
|
|
|
충율(充律) |
|
|
|
|
|
|
|
숙(塾) |
정수(貞秀) |
|
|
|
|
|
|
|
기(基) |
극충(克忠) |
|
|
|
|
|
|
|
|
극효(克孝) |
|
|
|
|
|
|
|
기(墍) |
극관(克寬) |
|
|
|
|
|
|
|
|
극영(克寧) |
|
|
|
|
|
|
|
|
극준(克寯) |
|
|
|
옥명(玉明) |
흡(洽) |
사원(斯元) |
덕곤(德崑) |
승열(承烈) |
근(謹) |
|
|
|
|
|
사정(斯貞) |
경수(慶壽) |
|
|
|
|
|
|
|
|
흥수(興壽) |
|
|
|
|
|
|
|
|
명수(明壽) |
윤필(潤弼) |
|
|
|
|
|
|
|
곤수(昆壽) |
만휘(萬暉) |
태흥(泰興) |
|
|
|
|
|
|
|
종남(終男) |
길현(吉賢) |
|
|
|
|
|
|
|
|
|
|
|
|
|
연(漣) |
사인(斯仁) |
덕기(德豈) |
몽룡(夢龍) |
|
|
|
|
|
|
|
|
몽성(夢成) |
|
|
|
|
|
|
|
덕민(德岷) |
승연(承延) |
성(誠) |
|
|
|
|
|
|
덕률(德嵂) |
승유(承裕) |
속(謖) |
|
|
|
|
|
|
|
|
심(諶) |
|
|
|
|
|
|
|
승우(承祐) |
원(謜) |
|
|
|
|
|
사의(斯義) |
덕수(德峀) |
승종(承宗) |
겸(謙) |
|
|
|
|
|
|
|
|
성(誠) |
|
|
|
|
|
|
|
승서(承徐) |
량(諒) |
|
|
|
|
|
|
|
|
흘(訖) |
|
|
|
|
|
|
|
|
눌(訥) |
|
|
|
|
|
|
|
승성(承聖) |
근(謹) |
|
|
|
|
|
|
|
|
집(諿) |
|
|
|
|
|
|
덕륜(德崙) |
승선(承善) |
영길(榮吉) |
|
|
|
|
|
|
|
승형(承亨) |
속(謖) |
|
|
|
|
|
|
|
승국(承國) |
성(誠) |
|
|
|
|
철(澈) |
사홍(斯弘) |
석순(錫巡) |
후선(厚善) |
인활(仁活) |
|
|
|
|
|
|
|
|
상준(尙俊) |
|
|
|
|
|
|
|
|
의준(義俊) |
|
|
|
|
|
|
|
후택(厚澤) |
보(甫) |
|
|
|
|
|
|
의관(義寬) |
빈민(瀕旻) |
우경(佑敬) |
|
|
|
|
|
|
|
현민(賢旻) |
일석(日碩) |
|
|
득위(得緯) |
은정(殷靖) |
운성(雲成) |
수만(壽萬) |
지감至瑊) |
덕룡(德龍) |
경인(景仁) |
|
|
|
|
|
|
|
|
경린(景麟) |
|
|
|
|
|
|
|
|
경기(景麒) |
|
계(啓) |
호덕(好德) |
위(緯) |
지숙(之淑) |
함(咸) |
원세(元世) |
숙량(叔良) |
선지(善之) |
|
|
|
|
|
|
|
|
응렴(應濂) |
|
|
|
찬(纘) |
우전(佑顓) |
|
|
|
|
|
|
|
|
식(寔) |
처정(處汀) |
수윤(秀潤) |
순(洵) |
|
|
|
|
|
|
|
|
담(湛) |
아향(蛾香) |
|
|
|
|
|
|
연(演) |
|
|
|
|
|
|
|
|
흡(洽) |
산해(山海) |
흥한(興漢) |
|
|
|
|
|
|
|
봉해(峯海) |
경호(景灝) |
|
|
흡(洽) |
향휘(鄕揮) |
득수(得壽) |
|
|
|
|
|
|
|
|
득천(得泉 |
습(濕) |
|
|
|
|
|
|
|
|
전(澱) |
대호(大浩) |
덕록(德祿) |
택(澤) |
|
달(達) |
제하(湜河) |
자호(自豪) |
석봉(碩奉) |
덕철(德喆) |
응만(應萬) |
승규(承圭) |
성기(成基) |
|
|
|
자종(自宗) |
석근(碩根) |
덕수(德粹) |
|
|
|
|
|
|
|
|
해(海) |
응식(應寔) |
승남(承男) |
|
|
|
|
|
|
|
|
몽남(夢男) |
진보(振寶) |
|
|
|
|
|
|
|
|
득보(得寶) |
|
|
|
자건(自建) |
백(伯) |
방(邦) |
경남(景南) |
대충(大忠) |
한식(翰湜) |
|
|
|
|
|
|
|
|
한필(翰弼) |
|
|
|
|
|
|
|
|
한훈(翰訓) |
|
|
|
|
|
|
|
|
한문(翰文) |
|
|
|
|
|
|
석남(錫南) |
대현(大玄) |
신표(信豹) |
|
|
|
|
|
|
석립(錫立) |
철상(喆祥) |
성원(成遠) |
|
|
|
|
|
|
|
|
성만(成萬) |
|
|
|
|
|
|
|
기승(奇承) |
|
|
|
|
|
|
응성(應成) |
덕남(德南) |
무지(茂芝) |
|
|
|
|
|
춘학(春鶴) |
수(秀) |
천로(天老) |
|
|
|
|
|
|
무준(武俊) |
방절(邦節) |
인립(仁立) |
|
|
|
원세(元世) |
숙량(叔良) |
인홍(仁弘) |
일남(逸嵐) |
개(個) |
|
|
|
|
|
|
|
|
윤(倫) |
|
|
|
|
|
|
|
지해(至海) |
준천(峻天) |
|
|
|
|
|
|
|
|
준극(峻極) |
|
|
|
|
|
|
|
|
준성(峻成) |
시장(時藏) |
승호(承昊) |
흥경(興慶) |
|
|
|
|
|
|
시호(時皥) |
|
|
7. 판윤공파의 지도읍 정착
전주최씨 시조인 1세 최순작부터 16세 최대인까지 약 620여년(1016~1636년)간 한성판윤공파 장손 집안은 도성인 철원,
한성과 전주, 청원 등 지금의 수도, 충청권을 중심으로 거주하였다.
병자호란(1636년)이 일어나 17세손 최치현이 신안 지도읍 적거리에 들어온 1637년3월30일부터 현재까지 약 387년간을
신안군 지도읍 적거리, 오룡, 자서리, 무안 해제 등지에 번창하여 후손들이 살고 있다.
최치현의 손자인 19세 최응홍 장손이 지도읍 자동리 오룡으로 분가 지금까지 오룡동에서 장손 집안이 이어지고 있다.
전주에 살던 전주최씨 15세 최덕봉(德奉)은 1635년 독자 16세 최대인(大仁)을 병으로 잃고(36세) 며느리 김씨, 손자 17세손
최치현(18살), 손자며느리 박씨, 증손자 18세 최영귀(3살), 증손자 18세 최영후(1살)와 함께 어렵게 살아가고 있었다.
1637년1월30일, 병자호란(1636년)으로 삼전도에서 인조가 청태종에게 무릎을 꿇고 항복하여 조선이 청나라에 복속됨으로써
청나라 군사들이 노략질과 부녀자들을 잡아가고 한성 이남 각 성에도 청군이 파견하여 온다는 급박한 상황이 진행되고 있었다.
이에 덕봉은 1637년2월10일, 58세에 16세손 최대인의 처인 며느리 김씨만 전주에 남아 집안을 지키기로 하고,
당시 19살인 손자 17세 최치현, 손자며느리 박씨, 4살인 18세 증손 장손인 최영귀, 2살인 18세 증손 차남인 최영후 등 4명을
피난길에 오르게 하면서 최대한 남쪽으로 멀리 내려가서 청나라가 철수할 때까지 숨어서 살아 남도록 당부하였다.
17세 최치현은 처와 어린 두아들과 함께 전주에서 나주를 거쳐, 무안 해제반도를 지나 양월리나루를 건너 지도에 이르렀다.
1937년3월30일, 섬지역으로 위험 부담이 적은 무안군 지도면 적거리에 도착하면서 당분간 그곳에서 거주하기로 하였다.
병자호란 후 다시 고향 전주로 돌아가리라 생각하였지만 이곳에서 두 아들이 무탈하게 잘 자라나는 것을 보면서 이곳 적거리가
정이 들었고, 2년후인 1639년 전주의 조부 15세 최덕봉이 세상을 떠남으로써 지도읍 적거리에 계속 정착하게 되었다.
<신안군 지도읍 적거리 전주최씨 판윤공파 묘역>
<17세 최치현 묘역 뒤편으로 전주에서 이장한 15세, 16세 묘가 있다.>
<좌측은 15세 최덕봉(德奉)과 부인 기계유(兪) 합폄 묘, 우측은 16세 최대인(大仁)과 부인 광산김(金)씨 합폄 묘>
<지도 입도조(入島祖) 17세 최치현(致鉉)과 부인 반남박(朴)씨 합폄 묘>
<18세 장남 최영귀(榮貴)와 부인 양성이(李)씨 합폄 묘>
<19세 차남 최창홍(昌泓)과 부인 밀양박(朴)씨 합폄 묘>
<19세 삼남 최응발(應鉢)과 부인 김해김(金)씨 합폄 묘>
7. 지도읍 판윤공파 최씨 집안
17세 치현(致鉉)은 두아들 18세손 영귀(榮貴 1634년)와 영후(榮候 1636년), 그리고 부인 박씨와 열심히 가세를 일으켰다.
18세 장손 영귀(榮貴, 자 尹候)가 18살 때(1652년) 양성이씨(陽城李氏)와 혼례를 치루고 세 아들을 두었다.
19세 장손 응홍(應泓 1653~1689년)은 오룡동으로 분가 오룡동 29세 최종암, 최기호, 최광선 집안이 되었고,
19세 둘째 창홍(昌泓 1655생)은 오룡동 27세 영주, 병남, 28세 창규, 완규, 완석 집안으로 이어졌으며,
19세 셋째 응발(應鉢 1657생)은 오룡동 현섭, 용섭, 종두, 적거리 집안을 이루게 되었다.
18세 차남 영후(榮候 1636년)도 1658년 22살 때 인동정씨와 결혼 1659년 두아들을 두었는데,
19세 첫째 시홍(時泓 1659년)은 오룡동 옥천, 명욱, 재락, 기수, 자서리 집안을,
19세 둘째 직홍(直泓 1662년)은 해제쪽으로 분가하여 집안을 일으켰다.
17세 치현의 손자 19세 장손 응홍이 신안 지도읍 오룡동으로 분가 지금까지 오룡동에서 장손 집안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적거리로 들어온 지 40여년이 지나자 자손들이 성장 각자 오룡동, 자서리, 해제 등으로 분가 오늘의 판윤공파로 번창한 것이다.
1678년3월30일, 판윤공파 장손 19세 최응홍이 적거리에서 오룡동으로 처 제주고(高)씨와 함께 최초 분가하였다.
19세 응홍(응승 1653~1689년)이 조부 17세 최치현, 부친 18세 최영귀와 함께 적거리에서 거주하다가 25살 때인 1678년,
자동리 효지 거주하는 고효직의 딸 제주 고씨와 혼례를 치루고 처가집 옆 골짜기인 지금의 오룡동 감나무골로 분가하였다.
다섯마리 용의 형상을 하고 있는 지세를 살펴 마을이름을 오룡이라 짓고 마을 앞 우물가에 전나무 한그루를 기념식수하였으니,
이때가 바로 오룡동의 마을 형성 기초가 되었다고 한다.
최응홍은 1679년 독자인 20세 최무조를 오룡동에서 출산, 최무조가 10살 때인 1689년 36세 나이로 사망하였다.
묘역은 태천 넘어 가는 길 선황산 고개 넘어 왼편에 위치한다.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치현(致鉉) | 영귀(榮貴) | 응홍(應泓) | 무조(武祚) | 종빈(宗彬) | 효보(孝甫) |
효문(孝文) | |||||
효수(孝修) | |||||
효홍(孝洪) | |||||
효호(孝豪) | |||||
종걸(宗傑) | 효추(孝樞) | ||||
창홍(昌泓) | 문조(文祚) | 종순(宗順) | 효천(孝天) | ||
| 금빈(金彬) | 효원(孝元) | |||
문경(文璟) | 중빈(仲彬) | 효숙(孝淑) | |||
응발(應鉢) | 승조(承祚) | 종후(宗厚) | 효도(孝道) | ||
효율(孝率) | |||||
효동(孝東) | |||||
일조(逸祚) | 종석(宗石) | 효순(孝順) | |||
영후(榮候) | 시홍(時泓) | 신조(信祚) | 종경(宗庚) | 효태(孝泰) | |
| 효달(孝達) | ||||
태서(泰瑞) | 광언(光彦) | ||||
직홍(直泓) | 공조(恭祚) | 종극(宗極) | 효여(孝汝) | ||
중현(重炫) | 종상(宗相) | 효수(孝秀) |
□ 18세 장손 영귀(榮貴)의 집안
18세 장남 영귀(榮貴)는 17세 치현(致鉉)의 장손으로 갑술(1634년)생이며, 자는 윤후(尹候)이다.
1652년 처인 양성이씨(陽城李氏)와 혼인하여 응홍(應泓), 창홍(昌泓), 응발(應鉢) 3형제를 두고 을해(1695년)8월1일
사망하였다. 양성이씨는 임신생(1632년)이며, 갑술(1694년)10월8일 사망하였다.
묘역은 적거리(赤巨里) 중산촌(中山村)에 합폄(合窆)되었다.
(1) 19세 장손 응홍(應泓)의 집안
19세 응홍(應泓)은 영귀(榮貴)의 장남으로 초명은 응승(應承), 자는 언홍(彦泓)이다.
계사(癸巳 1653년)생으로 제주고(高)씨와 혼인하여 독자 무조(武祚)를 오룡동에서 출산하였다.
무조가 10살 때인 1689년 36세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오룡동 선황산(仙皇山)에 합폄(合窆)되었다.
제주고씨는 을미(1655년)생이며, 기일은 10월1일이다.
20세 무조(武祚)는 기미(1679년)생으로 초명은 무(武), 자는 상보(相保)이며,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지냈다.
밀양박(朴)씨와 혼인하여 종빈(宗彬), 종걸(宗傑) 형제를 두었다.
기미(1739년) 5월15일 사망하였으며, 묘역는 부친의 묘와 같이 선황산 마루에 있다.
21세 종빈(宗彬)은 무조의 장손으로 초명은 시빈(時彬), 자는 진한(振漢)이며, 부호군(副護軍)을 지냈다.
병자생(1707년)으로 부인 한산전씨(韓山田氏)와의 사이에서 22세인 효보(孝甫), 효문(孝文), 효수(孝修), 효홍(孝洪), 효호
(孝豪) 등 5형제를 두었으며, 을묘년(1764년) 8월16일 사망하여 묘역은 선황산 상봉에 있다.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종빈(宗彬) |
효보(孝甫) |
영여(榮汝) |
창인(昌仁) |
승봉(承鳳) |
|
|
|
|
|
|
|
창의(昌儀) |
갑봉(甲鳳) |
달관(達寬) |
|
|
|
|
|
치방(致芳) |
창륜(昌倫) |
태백(太白) |
|
|
|
|
|
효문(孝文) |
군여(君汝) |
상웅(相雄) |
학철(鶴澈) |
훈식(勛植) |
병채(炳彩) |
인재(仁載) |
종필(鍾弼) 종윤(鍾允) |
|
|
|
|
|
|
|
천재(千載) |
종문(鍾文) |
|
|
|
|
|
|
|
수재(秀載) |
종룡(鍾龍) 종학(壑) 종석(石) 종권(權) |
|
|
|
|
|
중식(仲植) |
병채(炳彩) |
|
|
|
|
|
|
|
|
병태(炳泰) |
문재(文載) |
종암(鍾岩) 종수(鍾洙) 종일(鍾日) |
|
|
|
|
|
|
병운(炳云) |
내술(來述) |
종복(鍾福) |
|
|
|
|
|
|
병수(炳秀) |
|
|
|
|
검여(儉汝) |
한웅(漢雄) |
윤철(允澈) |
항식(恒植) |
병천(炳千) |
|
|
|
|
|
|
|
|
병안(炳安) |
임재荏載) |
|
|
|
|
|
|
|
병숙(炳淑) |
|
|
|
효수(孝修) |
화여(華汝) |
한경(漢擎) |
연철(延澈) |
우식祐植) |
병권(炳權) |
익규(益奎) |
종삼(鍾三), 종철(鍾哲) |
|
|
|
|
|
|
병동(炳同) |
|
|
|
|
|
|
|
길식(吉植) |
병량(炳良) |
태규(太奎) |
종곤(鍾坤) 종열(烈) 종삼(三) 종풍(豊) |
|
|
|
|
|
|
병근(炳根) |
춘규(春奎) |
종국(鍾局) 종순 종영 종인 종충 종신 |
|
|
|
|
|
|
|
용규(龍奎) |
종호(鍾浩) 종혁(鍾赫) |
|
|
|
|
|
|
병필(炳弼) |
맹규(孟奎) |
|
|
|
|
|
|
|
|
차규(次奎) |
|
|
|
|
|
|
|
병홍(炳弘) |
갑규(甲奎) |
종만(鍾萬) 종천(鍾千) 종백(鍾百) |
|
|
광여(光汝) |
한표(漢標) |
흥철(興澈) |
황식(黃植) |
병추(炳秋) |
충규(忠奎) |
|
|
효홍(孝洪) |
치여(致汝) |
한두(漢斗) |
지철(芝澈) |
상식(祥植) |
병협(炳莢) |
원재(元載) |
종남(鍾南) 종희(喜) 종선(善) 종훈 종성 |
|
|
|
|
|
|
|
형재(亨載) |
종진(鍾振) 종신(鍾信) 종화(鍾和) |
|
|
|
|
|
|
|
이재(利載) |
종록(鍾錄) 종천(鍾千) 종철(鍾哲) |
|
|
|
|
|
|
|
정재(貞載) |
종환(鍾煥) 종태(鍾太) 종길(鍾吉) |
|
|
|
|
|
용식(龍植) |
병순(炳順) |
인재(仁載) |
종욱(鍾旭) |
|
|
|
|
|
|
|
길재(吉載) |
종광(鍾光) |
|
|
|
|
|
|
|
남재(南載) |
종일(鍾日) |
|
|
|
|
|
|
|
운재(云載) |
종복(鍾腹) 종삼(鍾三) |
|
|
|
|
|
|
|
성재(成載) |
종달(鍾達) 종연(鍾演) 종수(鍾壽) |
|
|
|
|
|
영식(英植) |
병주(炳柱) |
필규(弼珪) |
종호(鍾浩) 종방(邦) 종인(仁) 종보(普) |
|
|
|
|
|
|
|
선규(宣珪) |
종학(鍾學) 종제(鍾濟) 종철(鍾哲) |
|
|
|
|
|
|
|
남규(南珪) |
종택(鍾澤) 종민(珉) 종진(珍) 종관(寬) |
|
|
|
|
|
|
|
정규(正珪) |
종찬(鍾贊) 종풍(鍾豊) 종만(鍾晩) |
|
|
|
대두(大斗) |
원철(元澈) |
관식(寬植) |
|
|
|
|
효호(孝豪) |
읍여(邑汝) |
명선(明善) |
|
|
|
|
|
|
|
|
동재(東才) |
명철(明澈) |
영식(永植) |
병지(炳之) |
백규(白奎) |
종년(鍾年) 종철(鍾哲) |
|
|
|
|
|
각식(珏植) |
병광(炳光) |
화규(化奎) |
종용(鍾用) 종옥(鍾玉) |
|
|
|
동석(東石) |
창철(昌澈) |
희식(喜植) |
병귀(炳貴) |
중규(仲奎) |
종주(鍾周) 종진(鍾振) 종금(鍾金) |
종걸(宗傑) |
효추(孝樞) |
득봉(得鳳) |
창석(昌碩) |
|
|
|
|
|
- 21세 종빈의 장남 22세 효보(孝甫)의 집안
22세 장손 효보(孝甫)의 초명은 천보(天輔), 자는 자좌(子佐)로서 부인 나주나씨(羅州羅氏)와의 사이에서 영여(榮汝), 치방
(致芳) 형제를 두었다. 묘역은 효지 서당동에 있다.
23세 장손 영여(榮汝)의 초명은 치여(致汝)이며, 부인 김해김씨(金海金氏)와 사이에서 창인(昌仁), 창의(昌儀) 형제를 두었고,
묘역은 선황산에 있다.
24세 장손 창인(昌仁)의 자는 인원(仁元)이며, 순흥안(安)씨와 혼인, 승봉(承鳳)이 태어났지만 승봉은 대를 잇지 못하고,
24세 차남 창의(昌儀)는 순흥안(安)씨 사이에서 갑봉(甲鳳)이 태어났다.
25세 갑봉은 제주강(姜)씨와 혼인하여 달관(達寬)을 낳았다.
26세 달관(達寬)의 자는 연서(延瑞)로서 밀양박(朴)씨와 혼인하였지만 자손이 없었다.
22세 장손 효보의 차남 23세 치방(致芳)의 자는 춘경(春景)으로 부인 김해김씨와의 사이에서 24세 창륜(昌倫)이 태어났다.
24세 창륜(昌倫)의 자는 예원(禮元)으로 담양전(田)씨와 혼인하여 태백(太白)을 낳았고,
25세 태백(太白)은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였지만 대를 잇지 못하였다.
- 21세 종빈의 차남 22세 효문(孝文)의 집안
22세 차남 효문(孝文)의 초명은 문수(文修), 자는 백향(伯香)으로서 전주이(李)씨와 혼인하여 군여(君汝), 검여(儉汝) 형제를
두었다. 묘역은 오룡동 청룡등에 있다.
23세 군여(君汝)는 장남으로 자는 성겸(聖兼)이며, 진주강(姜)씨와 혼인, 독자 상웅(相雄)을 두고, 묘역은 효지 서당동에 있다.
24세 상웅(相雄)은 자가 희경(喜景)으로 병오년(1797년) 태어나 밀양박씨와 혼인 독자 학철(鶴澈)을 두었으며,
갑진년(1859년) 10월10일 사망하였다. 묘역은 오룡동 청룡등에 있다.
25세 학철(鶴澈)은 초명이 학환(鶴煥), 자는 명윤(明允)으로 임오년(1881년) 3월17일 출생하여 진원박(朴)씨와 혼인,
훈식(勛植)과 중식(仲植) 형제를 낳았으며, 갑술년(1949년) 5월8일 사망하였다. 묘역은 오룡동 청룡등에 있다.
26세 훈식(勛植)은 학철의 장남으로 자는 여진(汝振)이며, 경술생(1913년)으로 김해김씨와 혼인하였으나 대를 잇지 못해
동생 중식의 장남 병채(炳彩)를 출계(出系)하여 대를 잇고 정축년(1946년) 5월30일 사망하였다.
27세 병채(炳彩)는 26세 중식(仲植)이 생부이며, 자는 봉오(鳳吾)로서 신사년(1942년)8월24일 생이다. 진주강(姜)씨와 혼인
인재(仁載), 천재(千載), 수재(秀載) 등 3형제를 두었으며, 갑오년 9월9일 사망, 묘역은 오룡동 청룡등에 있다.
28세 인재(仁載)는 1968년2월13일생으로 밀양박(朴)씨와 혼인, 종필(鍾弼), 종윤(鍾允) 형제를 두었다.
28세 차남 천재(千載)는 을묘생으로 풍천임(任)씨와 혼인, 종문(鍾文)을 두었으며, 29세 종문(자는 祥文)은 광산김씨와 혼인
하여 30세 기락(基洛, 동기), 호락(鎬洛, 동호), 풍락(豊洛, 동열)을 두었다.
28세 3남 수재(秀載)는 우(禹)씨와 혼인, 종룡(鍾龍, 용기), 종학(鍾壑, 학순), 종석(鍾石, 일석), 종권(鍾權, 권순)을 두었다.
26세 중식(仲植)은 25세 학철(鶴澈)의 차남으로 초명은 조규(助珪), 자는 중진(仲振)이다.
계축년(1910년) 4월5일생으로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병채(炳彩), 병태(炳泰), 병운(炳云), 병수(炳秀) 4형제를 두었고,
장자 병채를 장손 훈식에게 출계(出系)하여 대를 이어주었다. 경자년(1983년) 12월7일 사망, 묘역은 오룡동 성항에 있다.
27세 병태(炳泰)는 자가 봉숙(鳳淑)으로 정해년(1936년)이며, 밀양박씨와 혼인하여 독자 문재(文載)을 두었다.
경인년(1993년) 8월21일 사망, 묘역은 오룡동 청룡등에 있다.
28세 문재는 초명이 맹호(孟浩)로서 신유년 9월2일생으로 취적표(表)씨와 혼인, 종암(鍾岩), 종수(鍾洙), 종일(鍾日) 3형제를
두었다.
27세 3남 병운(炳云)은 경인생으로 강릉유(劉)씨와 혼인, 갑자생 내술(來述)을 두었으나 전사하였다.
23세 검여(儉汝)는 효문의 차남으로 계해생(1780년)이며, 자는 현겸(賢謙)이다.
반남박씨와 혼인하여 독자 한웅(漢雄)을 두었으며, 묘역은 오룡동 석항(石項)이다.
24세 한웅(漢雄)의 자는 내경(乃景)이며, 광산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윤철(允澈)을 두었다.
25세 윤철(允澈)의 자는 대윤(大允)이며, 경주이(李)씨와 혼인, 독자 항식(恒植)을 두었다.
묘역은 효지리 적동에 있고, 부인의 묘는 임자면 삼두리 중항에 있다.
26세 항식(恒植)의 자는 재익(在益)으로 안동권(權)씨와 혼인, 병천(炳千), 병안(炳安), 병숙(炳淑) 3형제를 두었다.
묘역은 임자면 삼두리 중항에 있다.
27세 병천(炳千, 봉천)은 김해김씨와 혼인하였으며, 차남 병안炳安, 봉안)은 의령성(成)씨와 혼인하여 자녀 임재(荏載)를 두었다.
- 21세 종빈의 3남 22세 효수(孝修)의 집안
22세 3남 효수(孝修)의 자는 창수(昌修), 자는 자장(子長)으로서 부인 제주양씨(濟州梁氏)와의 사이에서 화여(華汝), 광여
(光汝) 형제를 두었다. 경술생(1793년)으로 을묘년(1848년)에 사망하여 묘역은 오룡동 청룡등에 있다.
23세 화여(華汝)의 자는 사중(士仲)으로 남양홍(洪)씨와 혼인, 독자 한경(漢擎)을 두었으며, 묘역은 오룡동 청룡등에 있다.
24세 한경(漢擎)의 자는 성서(成瑞), 초명은 상경(相擎)으로 인동장(張)씨와 혼인 독자 연철(延澈)을 두었으며,
묘역은 청룡등에 있다.
25세 연철(延澈)의 자는 원수(元守)로 김해김(金)씨와 혼인, 우식(祐植), 길식(吉植) 형제를 두었고, 묘역은 오룡동 청룡등이다.
26세 우식(祐植)의 초명은 우규(祐珪)로 밀양박(朴)씨와 혼인 병권(炳權), 병동(炳同) 형제를 두었고, 묘역은 오룡동 석항에 있다.
27세 병권(炳權)의 자는 의권(義權)으로 불갑이(李)씨와 혼인, 자손이 없어 3남 병필의 장남 익규(益奎 맹규)를 양자로 삼았다.
28세 익규는 김해김(金)씨와 종삼(鍾三, 용삼), 종철(鍾哲, 용철) 형제를 두었다.
26세 차남 길식(吉植)의 자는 덕현(德玄)으로 진주강(姜)씨와 혼인 병량(炳良), 병근(炳根), 병필(炳弼), 병홍(炳弘) 4형제를 두었다.
27세 병량(炳良)의 자는 양진(良振), 호는 농재(農齋)로서 밀양박(朴)씨와 혼인하여 태규(太奎), 갑규(甲奎)를 두었으며,
갑규는 출계(出系) 4남 병홍(炳弘)의 자손으로 이어갔다.
28세 태규(太奎)의 자는 맹섭(孟燮), 호는 용계(龍溪)이며, 밀양박(朴)씨와 혼인하여 종곤(鍾坤, 용호), 종열(鍾烈, 성오),
종삼(鍾三, 기호), 종풍(鍾豊, 석오) 4형제를 두었다.
27세 차남 병근(炳根)의 자는 양근(良根)으로 김해김(金)씨와 혼인 춘규(春奎), 용규(龍奎) 형제를 두었다.
28세 춘규(春奎)는 일면 맹석(孟,錫)으로 나주오(吳)씨와 혼인 종국(鍾局, 광호), 종순(鍾順, 순호), 종영(鍾英, 영호), 종인
(鍾仁, 인호), 종충(鍾忠, 충호), 종신(鍾臣, 신호) 6형제를 두었다.
28세 차남 용규(龍奎)의 자는 용술(龍述)로 강진유(劉)씨와 혼인 종호(鍾浩, 대호), 종혁(鍾赫) 형제를 두었다.
27세 3남 병필(炳弼)의 자는 양필(良弼)로 김해김(金)씨와의 사이에서 맹규(孟奎), 차규(次奎, 맹식) 형제를 두었다.
맹규는 병권의 양자로 출계(出系)하였다.
27세 4남 병홍(炳弘)의 자는 양운(良云)으로 능주구씨(綾州具氏)와 혼인, 자손이 없어 장손 병랑의 차남 갑규(甲奎)를 양자로
하였다.
28세 갑규는 초명이 맹성(孟成)으로 함평모(牟)씨와 혼인 종만(鍾萬 광호), 종천(鍾千 중호), 종백(鍾百 상호) 3형제를 두었다.
23세 광여(光汝)는 22세 효수(孝修)의 차남으로 자는 화중(華仲)이며,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한표(漢標)를 두었다.
24세 한표(漢標)의 자는 희지(希知)로서 진주강(姜)씨와 자손이 없어 김해김(金)씨와 사이에서 흥철(興澈)을 두었다.
25세 흥철(興澈)의 초명은 학흥(鶴興), 자는 문행(文行)으로 진주강(姜)씨와 혼인 독자 황식(黃植)을 두었다.
26세 황식(黃植)의 자는 덕신(德信)으로 능주주(朱)씨와 혼인하여 독자 병추(炳秋)를 두었다.
27세 병추(炳秋)의 자는 양선(良先)으로 김해김씨와 혼인 28세 충규(忠奎 윤재)를 두었다.
- 21세 종빈의 4남 22세 효홍(孝洪)의 집안
22세 4남 효홍(孝洪)의 초명은 홍수(洪修), 자는 천원(天元)이며, 갑진생(1799년)으로 부인 전주이씨(全州李氏)와 혼인독자
치여(致汝)를 두었고, 경자년(1863년) 6월9일 사망, 의금부사(義禁府事)에 추증(追贈)되었다. 묘역은 효지리 차봉에 있다.
23세 치여(致汝)의 자는 양숙(良淑)으로 김해김씨, 광산김씨와 혼인하여 한두(漢斗), 대두(大斗) 형제를 두었으며,
통정대부 호조참의(通政大夫 戶曹參議)에 추증되었다.
24세 한두(漢斗)의 자는 군상(君相)으로 순흥안(安)씨와 혼인 독자 지철(芝澈)을 두었다.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추증되었다.
25세 지철(芝澈)의 초명은 학지(鶴芝), 자는 명직(明直), 호는 흥례정(興禮亭)이다.
제주고(高)씨와 혼인하여 상식(祥植), 용식(龍植), 영식(英植) 3형제를 두었으며,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추증되었다.
26세 상식(祥植)의 자는 경팔(景八)로서 한양조(趙)씨, 능성박(朴)씨와 사이에서 독자 병협(炳莢)을 두었다.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지냈으며, 70세로 사망하였다.
27세 병협(炳莢)의 초명은 봉협(鳳莢), 자는 의성(義性), 호는 죽하(竹下)로 풍천이(李)씨와 혼인 원재(元載), 형재(亨載),
이재(利載), 정재(貞載) 4형제를 두었다. 의금부사(義禁府事)를 지냈으며, 묘역은 효지리 차봉에 있다.
28세 원재(元載)의 자는 윤철(允哲), 호는 매산(梅山)으로 금성나(羅)씨, 김해김(金)씨와의 사이에서 종남(鍾南), 종희(鍾喜),
종선(鍾善, 정부), 종훈(鍾勛, 정목), 종성(鍾聲) 5형제와 9녀를 두었다.
28세 차남 형재(亨載)의 자는 맹춘(孟春)으로 파평윤(尹)씨와 혼인 종진(鍾振 종근), 종신(鍾信), 종화(鍾和) 3형제를 두었다.
28세 3남 이재(利載)의 자는 맹집(孟執), 호는 정산(靜山)으로 인동장(張)씨와 혼인 종록(鍾錄), 종천(鍾千 천종), 종철(鍾哲
철종) 3형제를 두었다.
28세 4남 정재(貞載)의 자는 맹기(孟淇)로 전주이(李)씨, 안동권(權)씨와 혼인 종환(鍾煥), 종태(鍾太), 종길(鍾吉) 3형제를
두었다.
26세 용식(龍植)은 25세 지철(芝澈)의 차남으로 자는 옥현(玉現)이며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냈다.
밀양박(朴)씨와 혼인, 독자 병순(炳順)을 두었다.
27세 병순(炳順)의 자는 봉익(奉益), 호는 송당(松堂)으로 밀양박(朴)씨와 혼인 인재(仁載), 길재(吉載), 남재(南載), 운재
(云載), 성재(成載) 5형제를 두었다.
28세 장남 인재(仁載)의 자는 맹운(孟云)으로 김해김(金)씨와 혼인 자손이 없어 4남 운재(云載) 차남 종욱(鍾旭)을 자계(子繼)
하였다.
28세 차남 길재(吉載)의 자는 맹렬(孟烈)로 경주이(李)씨와 혼인하여 자손이 없어 5남 성재(成載)의 장남 종광(鍾光 광선)을
자계(子繼)하였다.
28세 3남 남재(南載)의 자는 맹추(孟秋)로 한양조(趙)씨와 혼인, 자손이 없어 5남 성재(成載)의 차남 종일(鍾日, 광남)을 자계
하였다.
28세 4남 운재(云載)의 자는 맹수(孟洙), 호는 정암(靜菴)으로 강릉유(劉)씨와 혼인하여 종복(鍾腹 종태), 종욱(鍾旭), 종삼
(鍾三 광태) 3형제를 두었으나 종욱은 장남 인재에 자계(子繼)하였다.
28세 5남 성재(成載)의 자는 맹철(孟哲), 호는 지산(智山)으로 진주강(姜)씨, 압해정(丁)씨와 사이에서 종광(鍾光), 종일
(鍾日), 종달(鍾達 선), 종연(鍾演 연), 종수(鍾壽 은수), 종일(鍾一 광일) 6형제를 두었다.
장남 종광을 차남 길재에게, 차남 종일을 3남 남재에게 출계(出系)하였다.
26세 영식(英植)은 25세 지철(芝澈)의 3남으로 자는 경로(景老), 호는 경암(景岩)이다.
파평윤(尹)씨와 혼인하여 독자 병주(炳柱)를 낳았다.
27세 병주(炳柱)의 자는 봉원(鳳元), 호는 임은(林隱)으로 전주이(李)씨와 혼인하여 필규(弼珪), 선규(宣珪), 남규(南珪), 정규
(正珪) 4형제를 두었으며, 묘역은 선황산 우류곡등에 있다.
28세 필규(弼珪)의 초명은 맹복(孟福), 자는 동원(東源), 호는 임촌(林村)으로 영일정(鄭)씨와 혼인하여 종호(鍾浩), 종방
(鍾邦), 종인(鍾仁), 종보(鍾普 은석)를 두었다.
28세 차남 선규(宣珪)의 초명은 수복(壽福), 호는 월호(月湖)이며, 병인(1926년) 8월8일생으로 미국하버드대학원(大學院)
철학정치학박사, 대학교수를 역임하였다. 한양조(趙)씨와 혼인 종학(鍾學), 종제(鍾濟 제훈), 종철(鍾哲 여훈) 3형제를 두었다.
28세 3남 남규(南珪)의 자는 삼규(三奎), 호는 심촌(心村)으로 나주오(吳)씨와 혼인하여 종택(鍾澤), 종민(鍾珉 종흥), 종진
(鍾珍 진호), 종관(鍾寬 흥호) 4형제를 두었다.
28세 4남 정규(正珪)의 자는 정규(正奎), 호는 성촌(省村)으로 초계변(卞)씨와 혼인하여 종찬(鍾贊 지훈), 종풍(鍾豊 지홍),
종만(鍾晩) 3형제를 두었다.
23세 치여(致汝)의 3남 24세 대두(大斗)의 자는 군두(君斗)로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원철(元澈)을 두었으며,
묘역은 오룡동 뒷산에 있다.
25세 원철(元澈)의 자는 원직(元直)으로 광산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관식(寬植)을 두었으며, 묘역은 오룡동 뒷산이다.
26세 관식(寬植)의 자는 관빈(寬彬)으로 전주이(李)씨와 혼인하였으나 자손은 전하지 않는다.
- 21세 종빈의 5남 22세 효호(孝豪)의 집안
22세 오남 효호(孝豪)의 초명은 순이(順伊)이며, 신묘생(1812년)으로 순흥안씨(順興安氏)와 사이에서 독자 읍여(邑汝)를
두었으며, 묘역은 고사리 남장등에 있다.
23세 읍여(邑汝)의 초명은 음산(音山)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지냈으며, 밀양박(朴)씨와 혼인하여 명선(明善), 동재
(東才), 동석(東石) 3형제를 두었다. 묘역은 용생동에 있다.
24세 장남 명선(明善)은 갑술생으로 손이 없었다.
24세 차남 동재(東才)는 정축생으로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명철(明澈)을 두었다.
25세 명철(明澈)의 초명은 봉술(鳳述)로 밀양박(朴)씨와 혼인 영식(永植), 각식(珏植) 형제를 두었고, 묘역은 고사 장등에 있다.
26세 영식(永植)은 갑인생으로 인동장(張)씨와 혼인하여 독자 병지(炳之)를 두었으며, 묘역은 봉동 명마암에 있다.
27세 병지(炳之)의 자는 치선(致先)으로 광산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백규(白奎)를 두었으며, 묘역은 용생동에 있다.
28세 백규(白奎)의 자는 일경(日京)으로 의령남(南)씨와 혼인하여 종년(鍾年 백순), 종철(鍾哲 백철) 형제를 두었으며,
묘역은 읍내리 회산에 있다.
26세 각식(珏植)은 25세 명철(明澈)의 차남으로 초명은 금옥(金玉), 인동장(張)씨와 혼인하여 독자 병광(炳光)을 두었다.
27세 병광(炳光)의 자는 광수(光修)로서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화규(化奎)를 두었으며,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지냈다.
28세 화규(化奎)의 자는 화율(化律)로 전주이(李)씨와 혼인 종용(鍾用 판용), 종옥(鍾玉 옥룡)을 두었고 묘는 고사 장등에 있다.
24세 동석(東石)은 23세 읍여(邑汝)의 3남이며, 경진생으로 나주정(鄭)씨와 혼인하여 독자 창철(昌澈)을 두었다.
25세 창철(昌澈)은 임신(壬申)생으로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희식(喜植)을 두었다.
26세 희식(喜植)은 갑인(甲寅)생으로 나주임(林)씨와 혼인하여 독자 병귀(炳貴)를 두었다.
27세 병귀(炳貴)는 병술(丙戌)생으로 안동권(權)씨와 혼인하여 독자 중규(仲奎)를 두었다.
28세 중규(仲奎)는 무진(戊辰)생으로 전주이(李)TL와 혼인하여 종주(鍾周 정강), 종진(鍾振), 종금(鍾金) 3형제를 두었다.
- 20세 무조의 차남 21세 종걸(宗傑)의 집안
무조의 차남 21세 종걸(宗傑)의 자는 진문(晉文)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지냈다.
나주나(羅)씨와 혼인하여 독자 효추(孝樞)를 두었다.
22세 효추(孝樞)의 초명은 천추(天樞)로 전주이(李)씨와 혼인하여 독자 득봉(得鳳)을 두었다.
23세 득봉(得鳳)의 자는 성의(聖儀)로 밀양박(朴)씨와 혼인하여 독자 창석(昌碩)을 두었다.
창석(昌碩) 이후의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2) 19세 차남 창홍(昌泓)의 집안
18세 최영귀(榮貴)의 차남 19세 창홍(昌泓)은 을미( 1655년)생으로 자는 녹보(錄甫)이다.
통정대부승정원좌승지(通政大夫 承政院左承旨)를 지냈고, 오룡동에서 밀양박(朴)씨 호(鎬)의 딸과 혼인하여 20세 문조
(文祚), 문경(文璟) 형제를 두었다. 경자년(1720년)8월5일 66세로 사망, 묘역은 중산촌(中山村)에 있다.
밀양박씨는 을미생(1655년)이며, 기해년(1719년)5월18일 65세로 사망하였다.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문조(文祚) |
종순(宗順) |
효천(孝天) |
행여(行汝) |
진홍(鎭洪) |
학철(鶴澈) |
금식(金植) |
병춘(炳春) |
민규(敏圭) |
|
|
|
|
|
|
|
|
|
근규(近圭) |
|
|
|
|
|
|
|
|
병추(炳秋) |
민규(玟圭) |
|
|
금빈(金彬) |
효원(孝元) |
수여(守汝) |
진상(鎭相) |
장철(長澈) |
인식(仁植) |
병갑(炳甲) |
창규(昌圭) |
종원(鍾元) 종문 종형 종헌 |
|
|
|
|
|
|
|
|
순규(純奎) |
|
|
|
|
|
|
|
|
병대(炳大) |
성규(成奎) |
|
|
|
|
|
|
|
|
|
완규(完奎) |
종제(鍾濟) 수선(秀善) 용구 |
|
|
|
|
|
|
|
|
광규(光奎) |
고봉(高鳳) |
|
|
|
|
|
|
|
|
옥규(沃圭) |
지광(智光) |
|
|
|
대여(大汝) |
진일(鎭一) |
- |
- |
- |
- |
- |
문경(文璟) |
중빈(仲彬) |
효숙(孝淑) |
준여(準汝) |
상화(相化) |
학연(鶴連) |
길식(吉植) |
병열(炳烈) |
길규(吉奎) |
|
|
|
|
|
|
|
평식(平植) |
병오(炳五) |
성규(成奎) |
|
|
|
|
|
|
|
|
|
상규(祥奎) |
|
|
|
|
|
|
|
순식(順植) |
병록(炳祿) |
양규(良奎) |
|
|
|
|
|
|
|
|
|
철규(鐵奎) |
|
|
|
|
|
|
|
|
병용(炳用) |
- |
|
- 20세 장남 문조(文祚)의 집안
19세 창홍(昌泓)의 장남인 20세 문조(文祚)는 을묘생(1675년)으로 초명은 문수(文秀)이다.
반남박(朴)씨 처권(處權)의 딸과 혼인하여 종순(宗順), 금빈(金彬) 형제를 두었고, 계묘년(1723년) 3월5일 49세로 사망하였다.
묘역은 하룡남록(下龍南麓)에 있다. 부인 반남박씨는 무오생(1678년)이며, 기일은 4월3일이다.
<문조의 장남 21세 종순(宗順)의 자손>
21세 종순(宗順)은 문조의 장남으로 갑술생(1694년)이며, 초명은 순빈(順彬)이다.
밀양박(朴)씨 영규(英圭)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효천(孝天)을 두었다.
임술년(1766년) 3월30일 73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백양동(白楊洞)에 합장되어 있다. 밀양박씨의 기일은 7월30일이다.
22세 효천(孝天)은 기해생(1719년)으로 초명은 천수(天修), 자는 일언(一彦)이다.
통훈대부(通訓大夫) 사복사정(司僕司正)을 지냈으며, 능성주(朱)씨 원형(元亨)의 딸과 혼인 독자 행여(行汝)를 두었다.
경자년(1780년)10월15일 62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오룡동 서재당산(西祭堂山)에 있다.
부인 능성주씨는 기미생(1739년)으로 정유년(1799년)11월13일 41세로 사망하였다.
23세 행여(行汝)는 갑인(1734년)3월18일생으로 자는 한익(漢翊)이며,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지냈다.
순흥안(安)씨 용택(用宅)의 딸, 천안전(全)씨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진홍(鎭洪)을 두었다.
정묘년(1807년)12월3일 74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백양동(白楊洞)에 있다.
순흥안씨는 갑인생(1734년)으로 을묘년(1795년) 5월27일 62세로 사망하고,
천안전씨는 무인생(1758년)으로 신사년(1821년) 2월15일 64세로 사망하였다. 묘역은 백양동(白楊洞)에 있다.
24세 진홍(鎭洪)은 자가 서홍(瑞洪)으로 기미생(1799년)이며,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지냈다.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학철(鶴澈)을 두고, 임술(1862년) 정월23일 64세로 사망, 묘역은 백양동(白楊洞)에 있다.
김해김씨는 병진생(1796년)이며, 기일은 4월29일이다. 묘역은 오룡동후 제당산(祭堂山)이다.
25세 학철(鶴澈)은 자가 동준(東準)으로 기묘생(1819년)이며, 제주양(梁)씨, 김해김(金)씨와 혼인 독자 금식(金植)을 두었다.
계유년(1873년)3월13일 65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오룡촌후 제당산에 있다.
제주양씨는 무인생(1818년) 10월12일생이며 기일은 7월5일이다. 묘역은 백양동(白楊洞)이다.
김해김씨는 무자생(1848년)이며, 기일은 8월21일이다. 묘역은 오룡동 제당산이다.
26세 금식(金植)은 계해생(1863년)으로 김해김(金)씨 천오(天五)의 딸(임술생, 1862년)과 혼인하여 병춘(炳春), 병추(炳秋)
형제를 두었다. 임진년(1952년) 7월12일 90세로 사망하여 묘역은 오룡촌 후 자서(自西)산에 있다.
27세 장남 병춘(炳春)은 임오(1942년) 9월19일생으로 자는 영채(永彩)이며,
장수황(黃)씨 종연(鍾淵)의 딸(갑신생 1944년6월10일생)과 혼인하여 민규(敏圭), 근규(近圭) 형제를 두었다.
28세 민규(敏圭)는 갑진(1964년) 12월17일생이며, 근규(近圭 기운)은 병진(1976년) 12월16일생이다.
27세 차남 병추(炳秋)는 무자(1948년) 8월22일생으로 풍천임(任)씨 판순(判淳)의 딸과 혼인 민규(玟圭)을 두었다.
28세 민규(玟圭)는 민철(敏喆)로 무오(1978년) 12월15일생이다.
<문조의 차남 21세 금빈(金彬)의 집안>
21세 금빈(金彬)은 문조의 차남으로 병자생(1696년)이며, 자는 윤빈(尹彬)이다.
나주오(吳)씨 석삼(碩三)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효원(孝元)을 두었다.
경오년(1750년) 3월10일 55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효지동 남록(南麓)에 쌍분으로 있다.
22세 효원(孝元)은 갑오생(1714년)으로 초명은 원수(元修), 자는 원형(元亨)이다.
김해김(金)씨 성추(成秋)의 딸과 혼인하여 수여(守汝), 대여(大汝) 형제를 두었다.
정유(1777년) 5월10일 64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오룡동에 있다.
김해김씨는 을미생(1715생)이며, 정해년(1767년) 6월12일 사망, 묘역은 효지 두무치(頭無雉)이다.
23세 수여(守汝)는 계유년(1753년)12월8일생으로 자는 인여(仁汝)이다.
밀양박(朴)씨 영성(連成)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진상(鎭相)을 낳았다.
임술(1802년) 2월12일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검무산(劍舞山)에 쌍분으로 되어있다.
밀양박씨는 계묘생이며, 신유년 12월23일 사망하였다.
24세 진상(鎭相)은 무신생(1788년)으로 자는 상백(相伯)이며, 김해김(金)씨와 혼인 독자 장철(長澈)을 두었다
병자(1876년) 3월15일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선황산(仙皇山) 동록(東麓)에 합폄(合窆)하였다.
김해김씨는 무신생(1788년)이며, 병자년(1876년) 4월5일 사망하였다.
25세 장철(長澈)은 임술(1862년)생으로 자는 장근(長根)이다. 밀양박(朴)씨와 혼인하여 독자 인식(仁植)과 2녀를 두었다.
기사(1929년) 12월3일 68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노룡산(老龍山)에 합폄(合窆)되어있다.
밀양박씨는 무진생(1868년)이며, 무인년(1938년) 7월4일 71세로 사망하였다.
26세 인식(仁植)은 신묘(1891년)생으로 자는 사윤(士允), 호는 죽헌(竹軒)이다.
밀양박(朴)씨 여화(汝化)의 딸과 혼인하여 병갑(炳甲), 병대(炳大) 형제와 3녀를 두었다.
임자(1972년) 7월4일 82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효지리 두무치(頭無雉)에 있다.
밀양박씨는 임진(1892년)생으로 정사(1977년) 3월22일 86세로 사망, 묘역은 노룡산에 있다.
27세 병갑(炳甲)은 을묘(1915년) 8월6일생으로 전주이(李)씨 춘권(春權)의 딸과 혼인하여 창규(昌圭), 순규(純奎) 형제와
3녀를 두었다. 1990년대 중반에 사망하였다. 전주이씨는 을묘(1915년)생으로 병오(1966년) 12월21일 사망하였다.
28세 창규(昌圭)는 을유(1945년) 12월26일생으로 밀양박씨와 혼인하여 종원(鍾元 원용), 종문(鍾文 원종), 종형(鍾亨 형종),
종헌(鍾憲 헌종)을 두었다. 2000년대에 사망하였다.
28세 순규(純奎)는 을미(1955년) 4월7일생으로 결혼을 하여 자손을 낳았으나 2000년대 모월모일 40대에 요절하였다.
27세 병대(炳大)는 인식(仁植)의 차남으로 초명은 생대(生大)이며, 계해(1923년) 12월6일생이다.
밀양박(朴)씨 사협(士俠)의 딸과 혼인하여 성규(成奎), 완규(完奎), 광규(光奎), 옥규(沃圭) 4형제와 5녀를 두었다.
기사년(1989년) 4월7일 67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읍내리 남산(南山)에 합폄(合窆)되었다.
밀양박씨는 임술(1922년) 12월27일생이며, 2002년 10월8일 81세로 사망하였다.
28세 성규(成奎)는 기축(1949년)생으로 대를 잇지 못하고 혼전(婚前)에 요절하였다.
28세 완규(完奎)는 초명이 용구(湧九)이며, 갑오년(1954년) 12월22일생으로 파평윤(尹)씨 귀배(貴培)의 딸과 혼인하여
종제(鍾濟 제선), 수선(秀善), 용구(湧九) 3형제를 두었다.
임진(2012년)년 59세로 사망하였고, 파평윤씨도 53세로 사망, 묘역은 읍내리 남산(南山)에 부인과 쌍분(雙墳)으로 있다.
28세 광규(光奎)는 정유년(1957년) 12월22일생으로 초명은 용석(容碩), 자는 완석(完石)이다.
경주정(鄭)씨 상식(相植)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고봉(高鳳)과 1녀를 두었다.
28세 옥규(沃圭)는 신축(1961년) 11월20일생으로 초명은 용복(容福), 자는 정석(正石)이다.
- 20세 차남 문경(文璟)의 집안
19세 창홍(昌泓)의 차남인 20세 문경(文璟)은 정사생(1677년)으로 자는 경성(璟成)이다.
김해김(金)씨 윤옥(尹玉)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중빈(仲彬)을 낳았으며 병진년(1736년) 10월17일 60세에 사망하였다.
묘역은 오룡 죽두간좌(竹頭艮座) 합폄(合窆)되었다.
김해김씨는 정사생(1677년)이며, 정사년(1737년) 6월4일 61세로 사망하였다.
21세 중빈(仲彬)은 정축생(1697년)으로 자는 종삼(宗三)이다.
김해김(金)씨 창옥(昌玉)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효숙(孝淑)을 두었다.
경진(1760년) 10월30일 64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효지리 서록자좌(西麓子坐) 합폄(合窆)되었다.
김해김씨는 기해생(1719년)이며, 임인년(1782년) 5월7일 64세로 사망하였다.
22세 효숙(孝淑)은 정미생(1727년)으로 초명은 숙수(淑修), 자는 양진(陽振)이다.
전주이(李)씨 수익(守益)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준여(準汝)를 두었다.
갑인년(1794년) 정월14일 68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오룡동 죽두간좌(竹頭艮坐) 쌍분(雙墳)이다.
전주이씨는 을사생(1725년)이며, 병인년(1806년) 2월21일 82세로 사망하였다.
23세 준여(準汝)는 갑자생(1744년)으로 자는 우여(于汝)이다.
남양홍(洪)씨 일수(一秀)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상화(相化)를 두었다.
신유년(1801년)5월24일 58세로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누동(樓洞) 북록오좌(北麓午坐)에 있다.
남양홍씨는 갑자생(1744년)이며, 임술년(1802년) 2월4일 59세로 사망, 묘역은 오룡동 동록손좌(東麓巽坐)에 있다.
24세 상화(相化)는 갑신생(1764년)으로 자는 문삼(文三)이며 평산신(申)씨 승옥(承玉)의 딸과 혼인 독자 학연(鶴連)을 두었다.
병자년(1816년) 12월30일 사망하였다. 묘역은 오룡동 동록을좌(東麓乙坐)에 있다.
평산신씨는 갑신생(1764)이며, 병신년(1836년) 정월21일 사망하였다.
25세 학연(鶴連)은 정묘년(1807년) 5월27일생으로 자는 원근(元根)이다.
장수황(黃)씨, 진주정(鄭)씨와 혼인하여 길식(吉植), 평식(平植), 순식(順植) 3형제를 두었다.
향년 70세로 사망하였으며, 오룡동 제당산(祭堂山) 건좌(乾坐)이다.
장수황씨는 갑자생(1864년)으로 기일은 5월5일이며, 묘역은 죽두간좌(竹頭艮坐)이다. 진주정씨는 신사생(1881년)이다.
26세 장남 길식(吉植)은 신축생(1901년)으로 장수황(黃)씨와 혼인하였으나 자손이 없었으며,
3남 순식(順植)의 장남 병열(炳烈)이 자계(自繼)하였다.
27세 병열(炳烈)은 갑신년(1944년) 8월6일생으로 금성오(吳)씨와 혼인하였다.
자손은 28세 길규(吉奎)로 자는 길중(吉中)으로 을묘년(1975년1월28일생이다.
26세 차남 평식(平植)은 무오년(1918년)2월15일생으로 자는 옥만(玉萬)이다.
밀양박(朴)씨와 혼인하여 독자 병오(炳五)를 두었으며 1990년대 사망하였다.
27세 병오(炳五)는 병술년(1946년) 5월21일생으로 자는 경수(庚洙)이다.
진주강(姜)씨와 혼인하여 성규(成奎), 상규(祥奎) 형제를 두었다.
28세 성규(成奎)는 1967년1월3일생으로 자는 길영(吉永)이며, 차남 상규(祥奎)는 1969년7월4일생으로 자는 민영(玟永)이다.
26세 3남 순식(順植)은 경신년(1920년) 3월21일생으로 신안주(朱)씨와 혼인하여 병열(炳烈), 병록(炳祿), 병용(炳用) 3형제를
두었으나 장남 병열은 길식에게 자계되었다.
27세 병록(炳祿)은 1948년1월5일생으로 자는 병남(炳南)이며, 장수황(黃)씨와 혼인하여 양규(良奎), 철규(鐵奎) 형제를 두었다.
28세 양규(良奎)는 1976년10월8일생으로 자는 길성(吉成)이고, 철규(鐵奎)는 1979년 12월20일생이다.
27세 병용(炳用)은 1954년9월17일생이다.
3. 19세 3남 응발(應鉢)의 집안
18세 최영귀(榮貴)의 3남 19세 응발(應鉢)은 정유생(丁酉生, 1657년)으로 자는 명태(明泰), 호는 해암(海菴)이다.
김해김(金)씨 태정(泰禎)의 딸과 혼인하여 20세 승조(承祚), 일조(逸祚) 형제를 두었다.
계해(1743년)10월19일 향년88세로 사망하였으며, 김해김씨는 기해생(1659년)이며, 을미년(1715년)7월27일 사망하였다.
묘역은 적거리 중산촌(中山村)에 합폄(合窆)되었다.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승조(承祚) |
종후(宗厚) |
효도(孝道) |
호여(瑚汝) |
상동(相東) |
주철(柱澈) |
철식(喆植) |
병칠(炳七) |
생규(生奎) |
종인(鍾仁) 종민(敏) 鍾連 |
|
|
|
|
|
|
|
|
차규(借奎) |
鍾洙 鍾贊 善 烈 哲 九 |
|
|
|
|
|
|
|
|
방규(芳奎) |
종복(鍾福) 종지(鍾只) |
|
|
|
|
|
조철(大汝) |
중식(仲植) |
병칠(炳七) |
生系 喆植 |
|
|
|
|
|
|
|
|
병순(炳順) |
연규(連奎) |
종만(鍾萬) 鍾千 鍾南 鍾鉉 |
|
|
|
|
|
|
|
|
사규(四奎) |
종원(鍾遠) 종관(寬) 鍾三 |
|
|
효율(孝率) |
인여(仁汝) |
한남(漢南) |
성철(聲澈) |
문식(文植) |
병우(炳祐) |
형규(亨奎) |
종필(鍾弼) |
|
|
|
의여(義汝) |
한익(漢翼) |
근철(根澈) |
윤식(尹植) |
병열(炳烈) |
원규(元奎) |
종일(鍾逸) 종화(華) 鍾佑 |
|
|
|
|
|
|
|
|
찬규(璨奎) |
종택(鍾澤) 종헌(鍾憲) |
|
|
|
|
|
|
|
|
민규(珉奎) |
종록(鍾錄) 종백(伯) 鍾賢 |
|
|
|
|
|
|
|
병연(炳連) |
덕규(德奎) |
종천(鍾天)-父 龍奎 |
|
|
|
|
|
|
|
|
용규(龍奎) |
종천(鍾天) 종성(聲) 鍾玉 |
|
|
|
예여(禮汝) |
상원(相源) |
천철(天澈) |
지식(智植) |
병태(炳泰) |
창규(昌奎) |
종림(鍾林) 종환(鍾煥) |
|
|
|
|
|
|
|
|
양규(亮奎) |
종열(鍾烈) |
|
|
|
|
|
|
중식(重植) |
병수(炳洙) |
복규(卜奎) |
종남(鍾男) |
|
|
|
|
|
|
|
|
영규(永奎) |
종봉(鍾奉) |
|
|
|
|
|
|
|
병용(炳龍) |
동규(東奎) |
종두(鍾斗) 종태(鍾太) |
|
|
|
|
|
|
|
|
남규(南奎) |
종풍(鍾豊) 八 赫 海 津 |
|
|
|
|
|
표철(標澈) |
익식(益植) |
병조(炳朝) |
백규(白奎) |
종구(鍾九) 鍾八 鍾文 鍾厚 |
|
|
|
|
|
|
|
|
징규(徵奎) |
종열(鍾烈) |
|
|
|
|
한진(漢軫) |
노철(老澈) |
인식(潾植) |
병윤(炳尹) |
녹규(祿奎) |
종순(鍾順) |
|
|
|
|
|
|
|
|
헌규(憲奎) |
|
|
|
|
|
|
|
|
|
용규(龍奎) |
|
|
|
|
|
|
|
|
|
호규(浩奎) |
|
|
|
|
|
|
|
|
|
인규(仁奎) |
|
|
|
|
|
|
|
|
병익(炳翊) |
일규(一奎) |
종신(鍾信) 종술(鍾述) |
|
|
|
|
|
|
명식(明植) |
出系 日澈 |
|
|
|
|
|
|
|
|
유식(裕植) |
병한(炳翰) |
부규(富奎) |
종국(鍾局) |
|
|
|
|
|
|
|
|
장규(長奎) |
종준(鍾俊) 종선(鍾善) |
|
|
|
|
|
선철(仙澈) |
욱각(旭珏) |
병관(炳寬) |
만규(萬奎) |
종주(鍾柱) 鍾仁 鍾津 鍾熙 |
|
|
|
|
|
|
|
|
천규(千奎) |
|
|
|
|
|
|
|
|
|
운규(云奎) |
종열(鍾烈) 元 出 信 伯 |
|
|
|
|
|
|
|
병래(炳來) |
윤규(允奎) |
종숙(鍾淑) 종근(根) 鍾文 |
|
|
|
|
|
일철(日澈) |
명식(明植) |
병직(炳直) |
석규(碩奎) |
종현(鍾鉉) 종섭(鍾燮) |
|
|
|
|
|
|
|
병동(炳東) |
은규(銀奎) |
종백(鍾伯) 종환(煥) 鍾基 |
|
|
|
|
|
문철(文澈) |
홍식(弘植) |
병기(炳祺) |
준규(準奎) |
종필(鍾弼) |
|
|
|
|
|
|
|
|
훈규(勳奎) |
종남(鍾南) |
|
|
|
|
|
|
|
|
채규(采奎) |
종창(鍾昌) 종남(南) 鍾太 |
|
|
|
|
|
|
|
|
석주(碩柱) |
종천(鍾千) 종학(學) 鍾福 |
|
|
|
|
|
|
진식(鎭植) |
병신(炳新) |
평규(平奎) |
鍾三 鍾吉 鍾興 有 赫 善 |
|
|
|
|
|
|
|
|
승규(承奎) |
종인(鍾寅) 종춘(鍾春) |
|
|
|
|
|
|
|
병고(炳高) |
석래(碩來) |
|
|
|
|
|
|
|
욱식(旭植) |
出系 仙澈 |
|
|
|
|
|
|
|
|
장식(章植) |
병정(炳貞) |
신규(信奎) |
태식(泰植) 泰暎 鍾泰 泰龍 |
|
|
|
|
|
|
|
|
홍규(洪奎) |
천수(千洙) 만수(萬洙) |
|
|
|
|
|
|
성식(晟植) |
병영(炳榮) |
판규(判奎) |
종민(鍾珉) |
|
|
|
|
|
|
|
|
경규(敬奎) |
종오(鍾五) 鍾正 鍾龍 鍾領 |
|
|
|
|
|
|
|
|
복규(福奎) |
종인(鍾仁) 종신(鍾信) |
|
|
|
|
|
|
|
|
배규(培奎) |
종필(鍾弼) |
|
|
|
|
|
|
|
병봉(炳鳳) |
出系 璟植 |
|
|
|
|
|
|
|
현식(顯植) |
병업(炳業) |
전규(全奎) |
종갑(鍾甲) |
|
|
|
|
|
|
|
|
종규(宗奎) |
종식(鍾植) |
|
|
|
|
|
|
|
|
백규(白奎) |
종순(鍾順) |
|
|
|
|
|
|
우식(禹植) |
병오(炳梧) |
환규(煥奎) |
영철(榮哲) 鍾奭 正閏 光伸 |
|
|
|
|
|
민철(旻澈) |
용식(瑢植) |
병준(炳俊) |
|
|
|
|
|
|
|
|
경식(璟植) |
병봉(炳鳳) |
옥규(玉奎) |
종선((鍾善) 종수(修) 鍾洪 |
|
|
|
|
상열(相烈) |
학철(鶴澈) |
준식(俊植) |
병주(炳周) |
정규(正奎) |
종만(鍾萬) 종오(鍾俉) |
|
|
|
|
|
|
복식(復植) |
병주(炳周) |
出系 俊植 |
|
|
|
|
|
|
|
|
병추(炳推) |
방규(芳奎) |
종문(鍾文) 종섭(燮) 鍾洙 |
|
|
|
|
|
|
민식(玟植) |
병균(炳均) |
가규(佳奎) |
종웅(鍾雄) |
|
|
|
|
|
|
|
|
명규(明奎) |
종성(鍾成) |
|
|
|
|
|
|
민식(敏植) |
병선(炳先) |
행규(行奎) |
鍾學 鍾坤 鍾龍 鍾德 德昌 鍾順 |
|
|
|
|
|
|
|
|
호규(浩奎) |
종윤(鍾允) 종운(云) 鍾必 |
|
|
|
|
|
|
|
병국(炳局) |
칭규(稱奎) |
종북(鍾北) |
|
|
|
|
|
|
|
|
판규(判奎) |
종섭(鍾燮) 종채(鍾彩) |
|
|
|
|
|
|
|
병일(炳日) |
한규(漢奎) |
종원(鍾源) 종욱(鍾煜) |
|
|
|
|
|
|
|
|
인규(寅奎) |
종대(鍾大) 종찬(燦) 鍾玉 |
|
|
|
|
|
|
|
|
생규(生奎) |
종인(鍾仁) |
|
|
|
|
|
|
|
|
복규(福奎) |
종기(鍾基) 종성(鍾城) |
|
|
|
|
|
|
|
|
안규(安奎) |
종혁(鍾赫) |
|
|
|
|
|
|
쟁식(崢植) |
병천(炳天) |
지규(芝奎) |
종근(鍾根) |
|
|
|
|
|
|
|
|
복규(福奎) |
종신(鍾新) 종우(鍾于) |
|
|
|
|
|
|
|
병필(炳弼) |
선규(善奎) |
종전(鍾田) 培 吉 佑 化 |
|
|
|
|
|
|
|
|
성규(成奎) |
종재(鍾才) 종천(鍾千) |
|
|
|
|
|
|
|
|
종규(鍾奎) |
|
|
|
|
|
|
율철(律澈) |
임식(林植) |
병석(炳碩) |
재규(在奎) |
종찬(鍾贊) 종업(鍾業) |
|
|
|
|
|
|
종식(宗植) |
병언(炳彦) |
사규(仕奎) |
종복(鍾福) |
|
|
|
|
|
|
|
병표(炳杓) |
재규(在奎) |
용호(容鎬) |
|
|
|
|
|
|
|
|
성규(聖奎) |
종신(鍾新) 종지(鍾智) |
|
|
|
|
|
|
|
병암(炳巖) |
학규(學奎) |
종봉(鍾奉) |
|
|
|
|
|
|
|
병옥(炳玉) |
남규(南奎) |
종욱(鍾旭) 종익(鍾益) |
|
|
|
|
|
|
|
|
인규(仁奎) |
종상(鍾相) 憲 熙 英 浩 |
|
|
|
|
|
|
|
|
춘규(春奎) |
종사(鍾思) 종녕(寧) 鍾煥 |
|
|
|
|
|
순철(淳澈) |
춘식(春植) |
병술(炳述) |
태규(泰奎) |
종실(鍾實) |
|
|
|
|
|
|
|
|
섭규(燮奎) |
종빈(鍾彬) 종주 鍾洙 |
|
|
|
|
|
|
|
|
형규(亨奎) |
종필(鍾弼) 鍾利 鍾淵 鍾在 |
|
|
|
지여(智汝) |
상해(相海) |
정철(鼎澈) |
영식(暎植) |
병문(炳文) |
판규(判奎) |
종철(鍾哲) |
|
|
|
|
|
|
|
|
두규(斗奎) |
종태(鍾太) 종진(鍾珍) |
|
|
|
|
|
|
|
병현(炳賢) |
선규(善奎) |
종양(鍾良) |
|
|
|
|
|
|
|
병호(炳鎬) |
득규(得奎) |
종조(鍾朝) |
|
|
|
|
|
|
|
|
판규(判奎) |
종기(鍾起) 종웅(鍾雄) |
|
|
|
|
|
|
|
|
원규(原奎) |
종성(鍾晟) |
|
|
|
|
|
경철(警澈) |
영식(暎植) |
出系 鼎澈 |
|
|
|
|
|
|
|
|
섬식(暹植) |
병기(炳奇) |
|
|
|
|
|
|
|
|
|
병양(炳良) |
천규(千奎) |
종석(鍾碩) 종필(鍾弼) |
|
|
|
|
|
|
원식(源植) |
병천(炳千) |
보규(甫奎) |
종백(鍾伯) 종석(鍾碩) |
|
|
|
|
|
|
|
병재(炳在) |
영규(永奎) |
|
|
|
|
|
|
|
|
병희(炳希) |
정규(正奎) |
|
|
|
|
|
|
|
숙식(淑植) |
병후(炳厚) |
양규(良奎) |
종현(鍾賢) 종락(洛) 鍾元 |
|
|
|
|
|
|
|
|
선규(善奎) |
종묵(鍾默) 종중(鍾中) |
|
|
|
|
|
|
|
|
장규(長奎) |
|
|
|
|
|
|
|
|
|
진규(辰奎) |
|
|
|
|
|
|
|
양식(亮植) |
병욱(炳郁) |
채규(彩奎) |
종혁(鍾赫) 종영(瑛) 鍾國 |
|
|
|
|
|
|
|
|
말규(末奎) |
종필(鍾弼) |
|
|
|
|
상복(相福) |
종철(宗澈) |
연식(延植) |
병두(炳斗) |
완규(完奎) |
종리(鍾利) |
|
|
|
|
|
|
|
|
방규(邦奎) |
出系 炳吉 |
|
|
|
|
|
|
|
|
배규(培奎) |
종술(鍾述) |
|
|
|
|
|
|
|
|
백규(白奎) |
상락(尙洛) 哲洛 准洛 昊洛 |
|
|
|
|
|
|
혁식(赫植) |
병길(炳吉) |
방규(邦奎) |
종추(鍾秋) 종계(鍾季) |
|
|
|
|
|
월철(月澈) |
경식(敬植) |
병행(炳涬) |
상규(相奎) |
종복(鍾福) 종기(鍾基) |
|
|
효동(孝東) |
희열(熙烈) |
병지(竝地) |
용철(鎔澈) |
광식(光植) |
병오(炳五) |
환규(煥奎) |
종광(鍾廣) 종율(律) 鍾陽 |
|
|
|
|
|
|
|
|
보규(寶奎) |
出系 炳理 |
|
|
|
|
|
|
|
|
준규(俊奎) |
出系 炳交 |
|
|
|
|
|
|
|
병교(炳交) |
준규(俊奎) |
종만(鍾萬) 鍾千 鍾實 |
|
|
|
좌열(佐烈) |
신지(辛地) |
남철(南澈) |
안식(安植) |
병리(炳理) |
보규(寶奎) |
종남(鍾南) 鍾珍 鍾滈 鍾熙 |
일조(逸祚) |
종석(宗石) |
효순(孝順) |
수여(壽汝) |
상중(相中) |
명철(鳴澈) |
태식(太植) |
병묵(炳默) |
용규(龍奎) |
종성(鍾星) 종권(鍾權) |
|
|
|
|
|
|
|
|
운규(雲奎) |
종연(鍾連) |
- 20세 장남 승조(承祚)의 집안
응발(應鉢)의 장남 20세 승조(承祚)는 경신생(1680년)3월3일생으로 초명은 승원(承元), 자는 원백(元伯), 호는 덕산(德山)이다.
신창표(表)씨 천안(天安)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종후(宗厚)를 두었으며, 경오(1750년)10월15일 71세로 사망하였다.
21세 종후(宗厚)는 신사년(1701년)4월8일생으로 초명은 후빈(厚彬), 자는 문겸(文兼), 호는 죽절(竹節)이다.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효도(孝道), 효율(孝率), 효동(孝東) 3형제를 두었으며, 경오년(1750)6월16일 사망하였다.
정부인(貞夫人) 김해김씨는 경진(1700년)4월7일생이며, 경진(1760년)3월17일 사망하였다.
호참(戶參)에 증직(贈職)되었으며, 묘역은 무안 해제면 면치(免峙) 자좌(子坐)에 합폄(合窆)되었다.
< 22세 장남 효도(孝道)의 집안 >
22세 장남 효도(孝道)는 임인(1722년)생으로 초명은 도수(道修), 자는 성리(性理)이다.
김해김(金)씨 용규(瑢圭)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호여(瑚汝)를 두었으며, 병신(1776년)10월16일 사망하였다.
숙부인(淑夫人) 김해김씨는 신축(1721년)3월3일생이며, 신축(1781년)4월4일 사망하였다.
묘역은 해제면 면치(免峙) 고묘하(考墓下) 자좌(子坐) 쌍분(雙墳)이다.
23세 호여(瑚汝)는 갑자(1744년) 1월5일생으로 자는 병구(秉九)이다.
영광정(丁)씨 정국(正國)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상동(相東)을 두었으며, 을해(1815년)10월10일 사망하였다.
영광정씨는 을축생(1745년)이며, 경신(1800년)10월10일 사망하였다.
묘역은 해제면 금성치(金城峙)에 있다.
24세 상동(相東)은 을미(1775년)7월25일생으로 자는 맹호(孟浩)이다.
제주양(梁)씨 석규(錫圭)의 딸과 혼인하여 주철(柱澈), 조철 형제를 두었다.
계유(1813년)10월20일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해제면 금성치에 있다.
제주양씨는 갑오생(1774년)이며, 갑오(1834년) 8월13일 사망하였다.
25세 장남 주철(柱澈)은 무오(1798년)8월3일생으로 초명은 학주(鶴柱), 자는 성보(聖甫)이다.
하동정(鄭)씨 상열(相烈)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철식(喆植)을 낳았다.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추증되었으며, 을묘(1855년)11월22일 사망, 묘역은 묘역은 해제면 양간교(兩間橋) 남록(南麓)에 있다.
하동정씨는 기미생(1799년)이며, 갑술(1874년)12월19일 사망, 묘역은 금성치에 있다.
26세 철식(喆植)은 을유(1825년)9월5일생으로 자는 신행(信行), 호는 노주(蘆洲)이다.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였으나 손이 없어 중식(仲植)의 자 병칠(炳七)을 자계(子繼)하였다.
계해(1863년)7월27일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해제면 구여고묘하(九汝考墓下) 자좌(子坐) 쌍분(雙墳)이다.
김해김씨는 을유생(1825년)이며, 경오(1870년)9월9일 사망하였다.
27세 병칠(炳七)은 생부가 중식(仲植)으로 자는 성태(成泰)이며, 계미(1883년)10월4일생이다.
밀양박(朴)씨, 금성오(吳)씨와 사이에서 생규(生奎), 차규(借奎), 방규(芳奎) 3형제를 두었다.
임자(1972년)12월20일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토치(土峙)촌전에 있다.
밀양박씨는 정해생(1887년)이며, 경신(1920년)1월15일 사망, 묘역은 해제면 구여고묘(九汝考墓)좌편이다.
금성오씨는 정유생(1897년)이며, 정미(1967년)3월20일 사망, 묘역은 토치(土峙)촌전에 있다.
28세 장남 생규는 경술(1910년)11월29일생으로 자는 천봉(千奉), 호는 남강(南江)이다.
영양천(千)씨와 혼인하여 종인(鍾仁), 종민(鍾敏), 종연(鍾連) 3형제를 두었다.
정사(1977년)1월26일 사망, 묘역은 토치(土峙)촌전에 있다.
29세 종인(鍾仁)은 경오(1930년)생으로 전주이(李)씨, 김해김씨와 혼인 용락(龍洛, 용수 1952년), 창락(昌洛, 창수 1956년),
덕락(德洛, 준혁 1976년)을 두었다.
28세 2남 차규(借奎)는 병인(1926년)생으로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종수(鍾洙), 종찬(鍾贊), 종선(鍾善), 종열(鍾烈), 종철
(鍾哲), 종구(鍾九) 6형제를 두었다.
28세 3남 방규(芳奎)는 계유(1933년)생으로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종복(鍾福), 종지(鍾只) 형제를 두었다.
25세 조철은 24세 상동(相東)의 차남으로 자는 대여(大汝)이며, 경신(1800년)10월1일생이다.
죽산안(安)씨와 혼인 중식(仲植), 녹식(綠植) 형제를 두었고 경신(1860)10월1일 사망, 묘역은 토치(土峙)주점(酒店)뒤이다.
26세 중식(仲植)은 병신(1836년)10월15일생으로 초명은 중각(仲珏), 자는 윤길(允吉)이다.
통정대부(通政大夫)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냈다. 숙부인 김해김(金)씨와 혼인 병칠(炳七), 병순(炳順) 형제를 두어,
병칠은 생계(生系) 철식으로 양자하였으며, 을미(1895년)10월27일 사망하였다.
27세 장남 병칠은 생계(生系) 철식(喆植)하고 차남 병순(炳順)은 병술(1886년)생으로 자는 성경(成京)이다.
김해김(金)씨(戊子生)와 혼인하여 연규(連奎), 사규(四奎) 형제를 두었으며, 무신(1968년)12월16일 사망하였다.
28세 장남 연규(連奎)는 신해(1911년)으로 자는 문규(文奎)이며 인동장(張)씨와 혼인하여 종만(鍾萬 1937년), 종천(鍾千
1946년), 종남(鍾南), 종현(鍾鉉) 4형제를 두었다.
28세 차남 사규(四奎)는 갑자(1924년)3월22일생으로 자는 문순(文順), 나주오(吳)씨와 혼인하여 종원(鍾遠 1955년), 종관
(鍾寬 금성), 종삼(鍾三 성옥) 3형제를 두었다.
26세 차남 녹식(綠植)은 기유(1849년)4월6일생으로 자는 윤행(允行)이다.
선산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병춘(炳春)을 두었으며, 정묘(1927년)6월4일 사망하였다.
27세 병춘(炳春)의 이후에 대한 기록은 없다.
< 22세 차남 효율(孝率)의 집안 >
22세 효율(孝率)은 21세 종후(宗厚)의 차남으로 초명은 율수(率修), 자는 성교(性敎), 호는 납당(納堂)이다.
을사(1725년)2월10일생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 인풍참판(仁豊參判)을 지냈으며, 병진(1796년)5월5일 사망하였다.
고성황(黃)씨 태구(泰九)의 딸과 혼인하여 인여(仁汝), 의여(義汝), 예여(禮汝), 지여(智汝) 4형제를 두었다.
정부인 황씨는 병오생(1726년)이며, 정미(1787년)8월8일 사망, 묘역은 지도읍 춘교(春橋) 후록(後麓) 합폄(合窆)이다.
자손들이 가장 많이 번창하여 적거리 최씨의 근간을 이루었다.
○ 23세 장남 인여(仁汝)의 자손
23세 장남 인여(仁汝)는 갑자(1744년)10월20일생으로 자는 여진(汝眞)이다. 장수황(黃)씨와 혼인 독자 한남(漢南)을 두었다.
신유(1801년)3월16일 사망, 묘역은 지도읍 연화동(蓮花洞) 후록(后麓) 간좌(艮坐)이다.
장수황씨는 진화(振化)의 딸로 기일은 2월25일이며, 묘역은 적거리 동백곡(東栢谷)이다.
24세 한남(漢南)은 정유(1777년)5월5일생으로 초명은 상남(相南), 자는 재호(在昊)이다.
인동장(張)씨 철수(鐵洙)의 딸과 혼인하여 독자 성철(聲澈)을 두었다.
갑자(1864년)4월21일 사망, 묘역은 연화동 후고묘하(後考墓下) 간좌(艮坐)이다.
인동장씨는 정유생(1777년)이며, 을미(1835년)10월10일 사망, 묘역은 수박치(首泊峙) 기좌(巳座)이다.
25세 성철(聲澈)은 병인(1806년)2월10일생으로 자는 종래(鍾萊)이다.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문식(文植)을 두었으며 을유(1885년)4월10일 사망, 묘역은 수박치(首泊峙) 기좌(巳座)이다.
김해김씨는 병인생(1806년)이며, 을해(1875년)1월16일 사망하였다.
26세 문식(文植)은 임진(1832년)1월15일생으로 자는 덕문(德文),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병우(炳祐)를 두었으며,
병자(1876년)11월25일 사망하였다. 김해김씨는 계사(1833년)생이며, 을묘(1915년)2월15일 사망하였다.
묘역은 적거리 동백곡(東栢谷) 쌍분(雙墳)이다.
27세 병우(炳祐)는 기유(1849년)2월4일생으로 자는 성순(成順)이며, 진원박(朴)씨(임자생)와 혼인하여 독자 형규(亨奎)를
두고 계묘(1903년)12월25일 사망하였다. 묘역은 적거리 동백곡(東栢谷)에 있다.
28세 형규(亨奎)는 정해(1887년)4월9일생으로 김해김(金)씨(1891생)와 혼인하여 종필(鍾弼 1941년)을 두었다.
계미(1943년)10월20일 사망하였다.
○ 23세 차남 의여(義汝)의 자손
23세 차남 의여(義汝)는 병인(1746년)10월5일생으로 호는 오산(梧山)이다.
은진송(宋)씨와 혼인 독자 한익(漢翼)을 두었으며, 경신(1800년)10월25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 수박치(首泊峙) 합폄(合窆)
되었다. 은진송씨는 병인(1746년)생이며, 을축(1805년)1월22일 사망하였다.
24세 한익(漢翼)은 기사(1809년)11월3일생으로 초명은 상요(相耀), 자는 영창(永昌)이다.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근철(根澈)을 두었다.
갑신(1884년)6월3일 78세로 사망, 묘역은 해제면 봉대산(峰臺山)남록(南麓)에 합폄(合窆)되었다.
25세 근철(根澈)은 임진(1832년)12월13일생으로 자는 진명(振明)이다.
선략장군(宣畧將軍)행룡호위부사과(行龍護衛副司果)를 지냈으며, 한양조(趙)씨와 혼인하여 독자 윤식(允植)을 두었다.
무술(1898년)3월9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 수박치(首泊峙)에 합폄(合窆)하였다.
함양조씨는 무자(1828년)생이며, 임인(1902년)2월27일 사망하였다.
26세 윤식(允植)은 기유(1849년)9월11일생으로 자는 경삼(景三), 호는 양당(養堂)이다.
장수황(黃)씨와 혼인하여 병열(炳烈), 병연(炳連) 형제를 두었으며, 영희전참봉(永禧殿參奉)을 지냈다.
계축(1913년)7월14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 수박치(首泊峙) 선영하에 합폄(合窆)하였다.
장수황씨는 기유(1849년)생이며, 신유(1921년)10월3일 사망하였다.
27세 병열(炳烈)은 정해(1887년)12월17일생으로 자는 순의(舜儀), 호는 영암(永菴)이다.
인동장(張)씨와 혼인하여 원규(元奎), 찬규(璨奎), 민규(珉奎) 3형제를 두었다.
갑진(1964년)8월23일 사망하였으며, 묘역은 적거리 수박치(首泊峙)에 합폄(合窆)하였다.
28세 원규(元奎)는 갑진(1904년)10월27일생으로 자는 석순(碩順)이다.
밀양박(朴)씨와 혼인하여 종일(鍾逸 1930년), 종화(鍾華 1938년), 종우(鍾佑 1941년) 3형제를 두었다.
갑인(1974년)4월16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 수박치(首泊峙)에 있다.
28세 차남 찬규(璨奎) 정미(1907년)8월30일생으로 자는 석빈(碩彬)이다.
밀양박(朴)씨와 혼인하여 종택(鍾澤 1935년), 종헌(鍾憲 1941년)을 두었다.
28세 3남 민규(珉奎)는 병진(1916년)생으로 자는 석홍(碩洪)이다.
김해김씨와 혼인하여 종록(鍾錄 1935년), 종백(鍾伯 1949년), 종서(鍾瑞 1954년), 종현(鍾賢 1958년)을 두었다.
27세 차남 병연(炳連)은 신묘(1891년)9월8일생으로 자는 봉진(鳳振)이다.
신안주(朱)씨와 혼인하여 덕규(德奎), 용규(龍奎) 형제를 두었다.
28세 덕규(德奎)는 신해(1911년)8월30일생으로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였으나 자손이 없었다.
차남 용규(龍圭)의 장남 종천(鍾天 흥식)을 자계(子繼)하였다.
28세 차남 용규(龍奎)는 임술(1922년)8월3일생으로 진주강(姜)씨와 혼인하여 종천(鍾天 1958년), 종성(鍾聲 1960년),
종옥(鍾玉 1963년) 3형제를 두어 종천을 장님 덕규(德奎)에 출계(出系)하였다.
○ 23세 3남 예여(禮汝)의 자손
23세 3남 예여(禮汝)는 임신(1752년)10월17일생으로 자는 운호(雲浩), 호는 죽사(竹史)이다.
이천서(徐)씨와 혼인하여 상원(相源), 한진(漢軫), 상열(相烈)을 두었다. 예여의 훈손이 가장 많이 번창하였다.
24세 장남 상원(相源)은 을미(1775년)12월19일생으로 자는 찬일(贊一)이다.
제주양(梁)씨와 혼인하여 천철(天澈),표철(標澈) 형제를 두었으며, 정유(1837년)11월16일 사망하였다.
25세 천철(天澈)은 계해(1803년)1월1일생으로 자는 군중(君仲)이다.
창녕조(曺)씨(乙丑생)와 혼인하여 지식(智植), 중식(仲植) 형제를 두었다.
계해(1863년)5월4일 사망, 묘역은 효지리 선황산(仙皇山) 간좌(艮坐) 합폄(合窆)되어있다.
26세 지식(智植)은 갑신(1824년)4월8일생으로 자는 달삼(達三)이며, 강릉진(陣)씨와 혼인하여 독자 병태(炳泰)를 두었다.
정해(1887년)1월20일 사망하였다. 묘역은 효지리 서당동(書堂洞) 경좌(庚坐) 합폄(合窆)이다.
27세 병태(炳泰)는 무오(1858년)8월9일생으로 자는 성숙(成淑)이다.
신안주(朱)씨와 혼인하여 창규(昌奎), 양규(亮奎) 형제를 두었으며, 정묘(1927년)6월15일 사망, 묘역은 춘교 뒤에 있다.
28세 창규(昌奎)는 무자(1888년)9월23일생으로 자는 창호(昌浩)이다.
풍천임(任)씨(丁巳생)와 혼인하여 종림(鍾林 1910년), 종환(鍾煥 1918년) 형제를 두었다.
28세 차남 양규(亮奎)는 신묘(1891년)1월16일생으로 자는 사민(仕珉)이다.
밀양박씨(庚寅생)와 혼인하여 독자 종열(鍾烈 1932년)을 두었다.
26세 차남 중식(仲植)은 경인(1830년)3월3일생으로 자는 도삼(道三)이다.
밀양박씨(庚戌생)와 혼인 병수(炳洙), 병용(炳龍) 형제를 두었고, 정축(1877년)1월6일 사망, 묘역은 점암(点岩)리에 있다.
27세 병수(炳洙)는 계축(1853년)2월3일생으로 자는 성표(成表)이다.
김해김씨(壬申생)와 혼인 복규(卜奎), 영규(永奎) 형제를 두었으며, 병술(1946년)6월6일 사망, 묘역은 춘교(春橋)에 있다.
28세 복규(卜奎)는 병신(1896년)3월3일생으로 반남박씨(甲申생)와 혼인하여 종남(鍾男, 1940년)을 두었다.
경자(1960년)3월9일 사망하였다.
28세 차남 영규(永奎)는 계축(1913년)8월28일생으로 제주양씨와 혼인하여 독자 종봉(鍾奉)을 두었다.
신묘(1951년)5월24일 사망하였다.
27세 차남 병용(炳龍)은 경오(1870년)7월15일생으로 자는 성근(成根)이다.
김해김씨(丙子생)와 혼인하여 동규(東奎), 남규(南奎) 형제를 두었으며 경신(1920년)3월11일 사망하였다.
25세 차남 표철(標澈)은 병인(1806년)8월16일생으로 자는 군일(君逸)이다.
반남박(朴)씨(癸亥생)와 혼인하여 독자 익식(益植)을 두었으며, 사복사정(司僕司正)을 지냈다.
정사(1857년)1월3일 사망, 묘역은 춘교촌전 상하분(上下墳)이다.
26세 익식(益植)은 경인(1830년)5월9일생으로 자는 운삼(云三)이다. 장수황(黃)씨(甲午)와 혼인 독자 병조(炳朝)를 두었다.
임술(1862년)3월27일 사망, 묘역은 춘교후(春橋后) 간좌(艮坐) 합폄(合窆)이다.
27세 병조(炳朝)는 갑인(1864년)7월5일생으로 자는 성빈(成彬)이다.
풍천임(任)씨(庚申생)와 혼인 백규(白奎), 징규(徵奎) 형제를 두었고, 병진(1916년)2월1일 사망, 묘역은 춘교 합폄(合窆)이다.
28세 백규(白奎)는 병술(1886년)10월4일생으로 자는 필중(必仲)이다.
광산김씨와 혼인하여 종구(鍾九 1917년), 종팔(鍾八 1919년), 종문(鍾文 1934년), 종후(鍾厚 1937년) 4형제를 두었다.
기묘(1939년)9월26일 사망, 묘역은 선황산(仙皇山)에 있다.
28세 징규(徵奎)는 경인(1890년)5월12일생으로 김해김씨와 혼인하여 독자 종열(鍾烈 1917년)을 두었다.
경신(1980년)9월1일 사망, 묘역은 태천(台川)석정(石亭)에 있다.
24세 한진(漢軫)은 예여(禮汝)의 차남으로 초명은 상진(相軫), 자는 찬보(贊甫)이다.
庚子(1780년)2월20일생으로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광산김씨(己亥생, 壬子4월5일卒)와 혼인하여 노철(老澈), 선철(仙澈),
일철(日澈), 문철(文澈), 민철(旻澈) 5형제를 두었다.
癸酉(1813년)6월11일 사망, 묘역은 석정(石亭) 선영하에 합폄(合窆)되었다.
25세 장남 노철(老澈)은 갑자(1804년)5월6일생으로 자는 군오(君五)이다.
광산김씨(1803~1883년)와 혼인하여 인식(潾植)을 두었고, 함풍이씨(1822~1901년)와 혼인하여 명식(明植), 유식(裕植)
형제를 두었다. 정축(1877년)5월7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 내기동에 있다.
26세 장남 인식(潾植)은 기유(1849년)4월8일생으로 자는 신재(信才)이다. 진주강씨(己巳生)와 혼인 병윤(炳尹), 병익(炳翊)
형제를 두었다. 정사(1917년)6월4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 조산(釣山)에 합폄(合窆)되었다.
27세 병윤(炳尹)은 무진(1868년)1월7일생으로 자는 성기(成基)이다. 제주양씨(1866년~1933년)와 혼인하여 녹규(祿奎),
헌규(憲奎 1888년), 용규(龍奎 1891년), 호규(浩奎 1903년), 인규(仁奎 1911년) 5형제를 두었다.
계유(1933년)3월6일 사망, 묘역은 남산(南山)에 있다.
28세 녹규(祿奎)는 갑신(1884년)9월22일생으로 영양천씨(1891~1950년)와 혼인하여 종순(鍾順 1941생)을 두었으며,
경인(1950년)9월20일 사망하였다.
27세 병익(炳翊)은 인식(潾植)의 차남으로 임신(1872년)5월5일생이며, 자는 함청(咸淸), 호는 화남(華南)이다.
장몽교관 가선대부(章蒙敎官 嘉善大夫)를 지냈으며, 신안주씨(1874~1944년)와 혼인하여 독자 일규(一奎)를 두었다.
경진(1940년)1월18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 남산에 있다.
28세 일규(一奎)는 갑인(1914년)7월6일생으로 자는 석필(碩弼), 호는 죽헌(竹軒)이다.
장수황씨와 혼인하여 종신(鍾信 1937생, 초명 창악(昌岳)), 종술(鍾述 1942생, 초명 영일(榮一)) 형제를 두었다.
26세 차남 명식(明植)은 25세 3남 일철(日澈)에 자계(子繼)되었다.
26세 3남 유식(裕植)은 병진(1856년)12월10일생으로 자는 만언(万彦)이다. 광산김씨(1903년7월7일卒)와 혼인 독자 병한
(炳翰)을 두었다. 임자(1912년)8월15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 뒷산에 합폄(合窆)되었다.
27세 병한(炳翰)은 갑신(1884년)10월10일생으로 김해김씨(1885~1950년)와 혼인 부규(富奎), 장규(長奎) 형제를 두었고,
경인(1950년)9월6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에 있다.
28세 장남 부규(富奎)는 신해(1911년)10월19일생으로 제주양씨(1924생)와 혼인 종국(鍾局 1951생, 鍾基)를 두었으며,
경인(1950년)9월14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에 있다.
28세 차남 장규(長奎)는 임신(1932년)3월15일생으로 남평문씨(1935생)와 혼인 종준(鍾俊 1964년), 종선(鍾善 1970년)
형제를 두었다.
25세 선철(仙澈)은 24세 한진(漢軫)의 차남이며 정묘(1807년)2월2일생으로 파평윤씨(1807~1877년)와 혼인하여 손이 없어
4남 문철(文澈)의 3남 욱각(旭珏)을 자계(子繼)하였다.
26세 욱각(旭珏)은 생부가 문철(文澈)로써 초명은 욱식(旭植), 자는 경언(景彦)이다.
갑진(1844년)9월18일생으로 파평윤씨(1845~1913년)와 혼인하여 병관(炳寬), 병래(炳來) 형제를 두었다.
무신(1908년)10월13일 사망, 묘역은 봉리 솔풍고지(率風庫地)에 합폄(合窆)되었다.
27세 병관(炳寬)은 기묘(1879년)10월2일생으로 순흥안씨(1881~1925년)와 혼인하여 만규(萬奎), 천규(千奎), 운규(云奎)
3형제를 두었으며, 병신(1956년)9월30일 사망, 묘역은 봉리 솔풍고지(率風庫地)에 합폄(合窆)되었다.
28세 만규(萬奎)는 을사(1905년)1월22일생으로 김해김씨(1910생)와 혼인하여 종주(鍾柱 1929년), 종인(鍾仁 1935생),
종진(鍾津 1943생), 종희(鍾熙 1952생)을 두었다.
28세 차남 천규(千奎, 자 碩浩)는 기미(1919년)7월6일생으로 연일정씨와 혼인하였다.
28세 3남 운규(云奎, 자 碩奎)는 계해(1923년)1월14일 생으로 한양조씨와 혼인 종열(鍾烈 1945생), 종원(鍾元 1953생),
종출(鍾出 1956생)을 두었다.
27세 차남 병래(炳來, 자 南杓)는 임오(1882년)1월10일생으로 밀양박씨(1881~1962년)와 혼인 독자 윤규(允奎)를 두었고,
갑신(1944년)12월4일 사망, 묘역은 전북 군산 명월산(明月山)에 있다. 밀양박씨의 묘역은 임자면 전장포에 있다.
28세 윤규(允奎, 자 碩允)는 경술(1910년)1월3일생으로 김해김씨(1921생)와 혼인 종숙(鍾淑 1935생), 종근(鍾根 1943생),
종문(鍾文 1951생)을 두었으며, 병오(1966년)8월17일 사망하였다.
25세 일철(日澈)은 24세 한진(漢軫)의 3남으로 경오(1810년)7월6일생이며, 자는 중거(仲擧)이다.
반남박씨(己巳生, 乙丑4월18일卒)와 혼인하였으나 자손이 없어 장남 노철(老澈)의 차남 명식(明植)을 자계(子繼)하였다.
병자(1876년)10월17일 사망하여 묘역은 백양동(白楊洞)에 합폄(合窆)되었다.
26세 명식(明植)은 신해(1851년)8얼15일생으로 25세 장남 노철(老澈)이 생부(生父)이며, 자는 흥재(興才)이다.
김해김씨(1853~1920년)와 혼인하여 병직(炳直), 병동(炳東) 형제를 두었다.
임신(1932년)12월1일 사망, 묘역은 진산 매당리(珍山 梅堂里)에 있다.
27세 병직(炳直, 자 成直)은 신묘(1891년)10월9일생으로 반남박씨(1891생)와 혼인하여 독자 석규(碩奎)를 두었다.
무오(1978년)10월29일 사망, 묘역은 세기도(世記島)에 있다.
28세 석규(碩奎, 자 碩鐵)는 임자(1912년)8월12일생으로 김해김씨(1912생)와 혼인 종현(鍾鉉, 1940생 鉉燮), 종섭(鍾燮
1948생 龍燮) 형제를 두었다.
27세 차남 병동(炳東, 자 鳳珍)은 계사(1893년)10월10일생으로 광산김씨와 혼인하여 독자 은규(銀奎)를 두었으며,
병신(1956년)2월26일 사망, 묘역은 대곡(大谷)에 있다.
28세 은규(銀奎)는 신미(1931년)1월28일생으로 밀양박씨와 혼인하여 종백(鍾伯 1956생), 종환(鍾煥 1958생), 종기(鍾基
1970생) 3형제를 두었다.
□ 18세 차남 영후(榮候)의 집안
18세 영후(榮候)는 17세 대인(大仁)의 차남이며, 병자(1636년)9월16일생으로 자는 언유(彦有)이다.
인동정(鄭)씨(1634~1695년)와 혼인하여 시홍(時泓), 직홍(直泓) 형제를 두었다.
병술(1706년)10월13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 중산촌(中山村)에 쌍분으로 되어있다.
(1) 19세 장남 시홍(時泓)의 집안
19세 장남 시홍(時泓)은 기해(1659년)생으로 자는 시남(時 南)이다.
제주고(高)씨(1660~1744년)와 혼인 독자 신조(信祚)를 두었으며, 기묘(1699년)7월22일 사망, 묘역은 백양동에 있다.
20세 신조(信祚)는 초명은 훈(勳), 자는 신희(信希)로 을묘(1675년)생이며, 영광정(丁)씨와 혼인, 종경(宗庚), 태서(泰瑞)
형제를 두었으며, 병오(1726년)10월15일 사망, 묘역은 백양동(白楊洞)에 있다.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신조(信祚) |
종경(宗庚) |
효태(孝泰) |
광현(光鉉) |
병직(秉稷) |
홍철(烘澈) |
원식(元植) |
병인(炳寅) |
일흥(日興) |
종선(鍾善) |
|
|
|
|
|
|
|
|
흥규(興奎) |
鍾烈 鍾淑 鍾文 鍾奇 鍾尙 |
|
|
|
|
|
|
|
병하(炳夏) |
대규(大奎) |
종주(鍾柱) 鍾淵 鍾阡 |
|
|
|
|
|
|
|
병재(炳在) |
학규(學奎) |
종암(鍾岩) 鍾石 |
|
|
|
|
|
|
|
병엽(炳燁) |
만규(萬奎) |
종영(鍾英) |
|
|
|
|
|
|
|
병익(炳益) |
대규(大奎) |
出系 炳夏 |
|
|
|
|
|
|
|
|
득규(得奎) |
종석(鍾錫) 鍾敏 鍾相 |
|
|
|
|
|
|
|
|
창규(昶奎) |
종현(鍾賢) 종명(鍾明) |
|
|
|
|
|
|
|
|
현규(賢奎) |
종기(鍾基) 종만(鍾萬) |
|
|
|
|
|
|
|
|
장규(壯奎) |
종섭(鍾燮) 종균(鍾均) |
|
|
|
|
|
|
|
병길(炳吉) |
부규(富奎) |
종환(鍾桓) 종선(鍾善) |
|
|
|
|
|
|
|
|
광규(廣奎) |
종윤(鍾允) 鍾南 鍾基 鍾林 |
|
|
|
|
|
|
|
|
태규(泰奎) |
종중(鍾仲) 종광(鍾光) |
|
|
|
|
|
|
묵식(黙植) |
병승(炳承) |
도규(道奎) |
종구(鍾九) |
|
|
|
|
|
성철(晟澈) |
윤식(潤植) |
병호(炳浩) |
봉규(奉奎) |
종보(鍾甫) 鍾珉 鍾義 |
|
|
|
|
|
|
|
|
석규(碩奎) |
종원(鍾元) 종만(鍾萬) |
|
|
|
|
|
|
|
|
영규(永奎) |
종선(鍾先) 鍾寬 鍾白 鍾甲 |
|
|
|
|
|
|
|
병환(炳煥) |
용규(庸奎) |
종화(鍾化) |
|
|
|
|
|
|
|
|
민규(敏奎) |
종명(鍾明) |
|
|
|
|
|
환철(煥澈) |
장식(長植) |
|
|
|
|
|
효달(孝達) |
성현(成鉉) |
조혁(祚爀) |
운철(雲澈) |
희식(喜植) |
병도(炳道) |
선규(先圭) |
종봉(鍾奉) 종윤(鍾允) |
|
|
|
|
|
|
|
|
성규(成奎) |
종태(鍾太) |
|
|
|
|
|
|
인식(仁植) |
병일(炳一) |
우규(于奎) |
종득(鍾得) 鍾必 鍾烈 |
|
|
|
|
|
|
|
|
금규(金奎) |
|
|
태서(泰瑞) |
광언(光彦) |
순민(順敏) |
상천(相千) |
흥조(興祚) |
계후(啓厚) |
병양(炳良) |
영규(英圭) |
종담(鍾淡) 厚祥 厚福 元五 |
|
|
|
|
|
|
계춘(啓春) |
병문(炳文) |
철규(鐵奎) |
종길(鍾吉) 종석(鍾碩) |
|
|
|
|
|
|
|
|
상규(相奎) |
종승(鍾承) 鍾匡 鍾光 鍾永 |
|
|
|
|
|
|
|
|
갑규(甲奎) |
|
|
|
|
수현(修鉉) |
한용(漢龍) |
춘철(春澈) |
운식(雲植) |
병담(炳淡) |
정규(正奎) |
종찬(鍾贊) 鍾在 鍾碩 鍾虎 |
|
|
|
|
|
|
재식(齊植) |
병창(炳昌) |
래규(來奎) |
종대(鍾大) |
|
|
|
|
|
|
|
|
상규(祥奎) |
|
|
|
|
|
|
|
승식(承植) |
병섭(炳燮) |
문규(文奎) |
|
|
|
|
|
|
|
|
|
택규(澤奎) |
종옥(鍾玉) 鍾業 鍾萬 鍾男 |
|
|
|
|
|
|
|
|
현규(玄奎) |
종호(鍾鎬) |
|
|
|
|
|
|
경식(敬植) |
병수(炳秀) |
원규(元奎) |
|
|
|
|
|
|
|
|
병조(炳祚) |
봉규(奉奎) |
종열(鍾烈) |
|
|
|
|
|
|
|
|
갑규(甲奎) |
종복(鍾福) |
|
|
|
|
|
수철(秀澈) |
양식(良植) |
병오(炳五) |
영규(英奎) |
종문(鍾文) |
(2) 19세 차남 직홍(直泓)의 집안
19세 차남 직홍(直泓)은 임인(1662년)생으로 자는 문포(文布)이다.
연일정(鄭)씨(1655~1743년)와 혼인하여 공조(恭祚), 중현(重炫) 형제를 두었다.
경자(1720년)7월11일 사망, 묘역은 적거리 중산촌이다.
20세 장손 공조(恭祚)는 병진(1676년)생으로 자는 상좌(相佐)이며, 통정대부(通訓大夫)에 추증되었다.
금성나(羅)씨와 혼인 독자 종극(宗極)을 두었으며 병진(1736년)5월16일 사망, 묘역은 효지리 오송곡로에 쌍분으로 있다.
20세 차남 중현(重炫)은 무오(1678년)생으로 자는 득운(得云), 호는 송계(松溪)로써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추증되었다.
김해김(金씨)와 혼인하여 독자 종상(宗相)을 두었으며, 무오(1738년)10월18일 사망하였다.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공조(恭祚) |
종극(宗極) |
효여(孝汝) |
낙중(樂重) |
한규(漢圭) |
욱철(旭澈) |
성식(盛植) |
병춘(炳春) |
봉규(奉奎) |
종주(鍾柱) 종태(鍾太) |
|
|
|
|
|
|
|
병문(炳文) |
윤규(潤奎) |
종필(鍾必) 鍾仁 鍾究 鍾憲 |
|
|
|
|
|
|
|
|
연규(連奎) |
종용(鍾用) 종문(鍾文) |
|
|
|
|
|
|
|
|
일규(逸奎) |
종신(鍾信) 종희(鍾熙) |
|
|
|
|
|
|
|
병옥(炳玉) |
환규(環奎) |
종복(鍾福) |
|
|
|
|
|
|
|
|
우규(禹奎) |
종석(鍾錫) |
|
|
|
|
|
|
|
|
순규(舜奎) |
종관(鍾寬) |
중현(重炫) |
종상(宗彬) |
효수(孝秀) |
황필(璜必) |
한진(漢進) |
창철(昌澈) |
군식(君植) |
병선(炳先) |
주규(周奎) |
종재(鍾在) 鍾春 鍾香 |
|
|
|
|
|
|
|
병갑(炳甲) |
주규(周奎) |
出系 炳先 |
|
|
|
|
|
|
|
|
상규(相奎) |
종천(鍾千) 鍾宇 鍾昌 |
|
|
|
|
|
|
|
|
남규(南奎) |
鍾成 鍾天 鍾寬 鍾哲 鍾熙 |
|
|
|
|
|
|
|
병영(炳永) |
술규(述奎) |
종오(鍾午) 鍾吉 鍾銀 |
|
|
|
|
|
|
|
병응(炳應) |
양규(良奎) |
종인(鍾寅) |
|
|
|
|
|
|
|
|
윤규(允奎) |
종남(鍾男) 종열(鍾烈) |
|
|
|
|
|
|
|
|
완규(完奎) |
鍾成 鍾貴 鍾九 鍾元 鍾五 |
※ 전주최씨 문열공 최순작계 항렬(行列)
24세-진(鎭), 25세-철(澈), 26세-식(植), 27세-병(炳), 28세-규(奎), 29세-종(鍾), 30세-락(洛), 31세-동(東), 32세-섭(燮),
33세-원(遠), 34세-호(鎬), 35세-승(承), 36세-근(根), 37세-용(容), 38세-교(敎), 39세-선(善), 40세-수(洙), 41세-상(相),
42세-양(陽), 43세-용(用)...
'길따라 트레킹 > 역사, 문화, 그리고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양기행] 정송강유적 송강정(松江亭)의 겨울 풍경.. (0) | 2017.01.21 |
---|---|
[영광기행] 수은(睡隱) 강항(姜沆)의 사당, 영광 내산서원(內山書院) (0) | 2017.01.08 |
[나주기행]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1호, 보산정사(寶山精舍) (0) | 2016.12.18 |
[나주기행] 임진왜란 의병, 이지득을 기리는 나주 포충각(褒忠閣) (0) | 2016.12.18 |
[나주기행] 사적 제404호, 나주 복암리 고분군(伏岩里 古墳群) (0) | 2016.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