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박3일 신안여행 - 1. 신안 천사대교, 무한의 다리, 해넘이길, 안좌 퍼플섬
본문 바로가기
길따라 트레킹/캠핑카

2박3일 신안여행 - 1. 신안 천사대교, 무한의 다리, 해넘이길, 안좌 퍼플섬

by 정산 돌구름 2025. 1. 2.

2박3일 신안여행 - 1. 신안 천사대교, 무한의 다리, 해넘이길, 안좌 퍼플섬


2박3일 경남 캠핑여행(2024년 12월 31일 ~ 2024년 1월 2일 - 전남 신안, 함평)

○ 1일차(12월 31일, 화) : 광주 - 신안 천사대교 - 자은도 무한의 다리 - 둔장해변

○ 2일차(1월 1일, 수) : 자은도 둔장해변 - 해넘이길 - 안좌도 퍼플섬 - 팔금 철쭉공원 - 암태 오도선착장

○ 3일차(1월 2일, 목) : 오도선착장 - 압해 1004섬 분재공원 - 무안 옛날돈까스 -함평 돌머리해변 - 광주

~^^~

 

한해가 저물어가는 12월31일, 신안으로 떠난 캠핑여행 첫번째 코스는 천사대교를 건너면서 시작된다.
천사대교 입구 공원에는 활짝 핀 동백이 대교와 어우러져 아름다운풍경이다.

세찬 바람의 차가운 날씨였지만 동백꽃과 천사대교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경을 보며 잠시 머무렀다가 자은도로 떠난다.

2019년 4월 4일 개통된 천사대교는 전남 신안군 압해읍 송공리와 암태면 신석리를 잇는 교량이다.

섬과 섬을 연결하는 연도교로 천사대교라는 명칭은 1004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신안군의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2010년 7월 공사를 시작하여 9년 여의 공사기간이 소요되었으며, 5,814억원의 공사비가 투입되었다.

교량 위의 도로는 국도 2호선에 속하는 도로로 주행차선은 왕복 2차선 도로로 건설되었으며 일부구간 왕복 3차선로로 조성되어 가변차선제를 실시하고 있다.

총연장 10.8km,  교량 구간이 7.22km, 폭(너비)은 11.5m로  인천대교(21.4km), 광안대교(7.42km), 서해대교(7.31km)에 이어 국내에서 네번째로 긴 다리이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하나의 교량에 사장교와 현수교가 동시에 배치되어 있는 혼합된 형태이다.

교량의 암태도쪽은 사장교 형식의 교량으로 높이 95m, 135m의 2개의 주탑이 세워졌으며 주경간의 길이를 1004m로 건설하여 1004개의 신안군 섬들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135m의 주탑 정면에는 마름모꼴 형태(가로보)를 새겨 넣어 '신안 다이아몬드 제도'를 형상화하고 있다.

교량의 압해도쪽은 현수교 형식으로 세워졌으며, 교량의 길이 1,750m, 주탑의 갯수 3개인 다경간의 교량으로 케이블의 옆면이 W자 모양을 그리고 있다.

천사대교의 개통으로 암태도, 자은도, 안좌도, 팔금도, 자라도, 추포도 6개 섬은 육지와 연결될 수 있게 되었다.

1월 1일, 바다 위를 걷는 보랏빛 향연, 안좌 퍼플섬 박지도와 반월도를 가다..
신안 여행 2일차, 자은도 해넘이길을 걷고 오후에 안좌도 퍼플교에 이른다.
한 번에 섬 3곳을 걸어서 여행할 수 있는 이색적인 명소 퍼플섬은 신안 안좌도 부속섬인 반월도와 박지도를 부르는 명칭이다.
마을지붕부터 도로, 휴지통, 식당 그릇까지 보랏빛 일색인 퍼플섬이다.
입장료는 5,000원이지만 보라색 옷이나 신발, 모자 등을 착용하면 면제된다.

새해 첫날, 맑은 날씨에 새롭게 단장한 퍼플섬 퍼블교를 둘러보고 떠난다.

보라빛 가득한 가고싶은 섬, 안좌 박지도와 반월도..

신안군 안좌면 두리항에서 나무다리로 두리-박지도(547m), 박지도-반월도(915m)를 연결하여 사람만 다닐 수 있도록 하여 목교를 걸으면 물위를 걷는 기분이다.

이 다리는 반월도와 박지도가 보라색 꽃과 농작물이 풍성한 사계절 꽃피는 1004섬의 의미로 퍼플교로 불리고 있다.

또한, 걸어서 섬을 건너고 싶은 소망을 담아 만든 다리라 하여 소망의 다리로도 불린다.

신안군 안좌면에 있는 반월도(半月島)는 면적 2.05㎢, 해안선길이 6.7km로 목포항에서 서쪽으로 32㎞ 지점에 있다.

섬의 지형이 반달 모양과 같다고 하여 반월도라고 했으며, 300여 년 전 이씨가 처음으로 들어와 살았다고 한다.

최고점은 견산(어깨산 202m)이며, 경사가 완만하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나 농업에 더 많이 종사한다.

주요농산물은 보리이고, 쌀·콩·마늘·참깨·고추 등이 소량 생산된다.

취락은 남쪽 해안가 반월마을과 북쪽 해안가 토촌마을에 분포한다.

마을 앞에 펼쳐진 바다의 물이 빠지면 드러나는 갯벌 위에 대량으로 지주식 김 양식을 한다. 

지주식은 재래식 양식방법이라 친환경 김을 얻을 수 있다.

박지도(朴只島)는 면적 1.75㎢, 해안선길이 4.6㎞로 반월도와는 다리 하나로 이어져있다.

약 250년 전 박씨가 처음 들어와 살았다고 하여 박지도라 부르게 되었으며, 섬의 지형이 박 모양이라 하여 바기섬 또는 배기섬이라고도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무안군 기좌면에 속하였다가 1917년에는 안좌면에, 1969년에는 신안군으로 편입되어 현재에 이른다. 

최고점은 130m로 기복이 심한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안은 대부분 암석해안이고, 간석지가 넓게 발달해 있다.

썰물 때는 기좌도·안좌도·반월도 등의 섬과 연결되며, 남쪽 해안 일부는 방조제를 축조해 경작지로 이용한다.

취락은 남동쪽 해안가 반포마을과 북쪽 해안의 문서구지에 주로 분포한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농산물로는 보리·쌀·고구마·콩·마늘 등이 생산된다. 

근해에서는 멸치·참조기·가자미·갈치·낙지·해삼 등이 잡히고, 김 양식도 활발하다.

자연산 굴이 많이 나며 굴양식장을 마을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