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오신 날, 덕숭총림 천년고찰 수덕사의 풍경..
본문 바로가기
길따라 트레킹/역사, 문화, 그리고 여행

부처님 오신 날, 덕숭총림 천년고찰 수덕사의 풍경..

by 정산 돌구름 2019. 5. 16.

부처님 오신 날, 덕숭총림 천년고찰 수덕사의 풍경..



충남으로 떠난 4박5일 캠핑여행길에 덕숭산 수덕사를 찾았다.


덕숭총림(崇叢林) 천년고찰 수덕사(修德寺)..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에 있는 수덕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로 충남 일원 36개 말사를 관장하고 있다.

해인총림 합천 해인사, 영축총림 양산 통도사, 조계총림 순천 송광사와 함께 조계종 4대 총림의 하나인 덕숭총림이 있다. 

총림(叢林)은 선원, 강원, 율원을 모두 갖춘 사찰로써 대한불교조계종에는 8개의 총림(종합수행도량)이 있다.

이 밖에 고불총림 백양사, 금정총림 범어사, 팔공총림 동화사, 쌍계총림 쌍계사 등이 있다.

창건에 대한 뚜렷한 기록이 없어 창건설화가 분분하다.

사기()에는 백제 말 숭제법사()에 의하여 창건되었다고 하며 무왕 때 혜현()이 『법화경』을 강론하였고,

공민왕 때 나옹()이 중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일설에는 599년(법왕 1년)에 지명법사()가 창건하였고 원효()가 중수하였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상세한 역사는 전하지 않지만, 한말에 경허()가 이곳에 머물면서 선풍()을 크게 일으켰고, 1898년(광무 2)에

경허의 제자 만공(滿)이 중창한 뒤 이 절에 머물면서 많은 후학들을 배출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국보 제49호)을 중심으로 명부전(殿)을 비롯한 백련당()‧청련당()‧염화실()‧

조인정사()‧무이당()‧심우당()‧황하정루()‧천왕문‧금강문‧일주문()‧범종각() 등이 있다.

대웅전은 1308년(충렬왕 34년)에 건립된 건물로서 건축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국내에 현존하는 목조건물 가운데 봉정사 극락전(殿 국보 제15호)과 부석사 무량수전(殿 국보 제18호)에

이어 오래된 건축물이며, 대웅전 안에는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약사불, 아미타불의 삼세불이 모셔져 있다.

이 목조삼세불좌상(보물 제1381호)은 만공이 남원에 있는 만행산 ‘귀정사()’로부터 옮겨온 것이라고 한다.

대웅전 앞마당에는 여래탑이라고도 불리는 삼층석탑(충남 유형문화재 제103호)이 있으며, 1936년 대웅전 중수 때 발견된 벽화는

건립 당시의 것으로서 주악공양비천도()‧수화도()‧야화도()‧금룡도()‧오선도()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서까래에 희미하게 금룡도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일주문은 도톰하게 깎은 돌기둥 두 개에 기와지붕을 얹고 있다.

‘덕숭산수덕사()’라고 쓴 현판은 손재형()의 글씨이며, 지의 처마에는 붉은 여의주를 문 용이 조각되어 있다.

범종각에는 1973년에 조성된 무게 6,500근의 종이 봉안되어 있다.

이 절의 산내암자로는 정혜사()를 비롯하여 견성암()‧금선대()‧환희대() 등이 있다.

현재 이 절의 말사는 66개이다.

이 가운데 정혜사에는 비구 선원인 능인선원()이 있으며, 견성암에는 비구니 선원인 제일선원()이 있다.

또 금선대에는 진영각()이 있으며, 진영각 안에는 만공의 영정과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

환희대는 『청춘을 불사르고』를 지은 김일엽()이 기거하다가 죽은 곳이며, 견성암 또한 김일엽이 기거하던 곳이다.

이밖에 이 절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화재로는 노사나불괘불탱(, 보물 제1263호), 만공탑(滿, 충남 문화재자료

제181호), 칠층석탑(예산군문화재자료 제181호), 근역성보관(槿)에 소장된 거문고(예산군문화재자료 제192호) 등이 있다.

노사나불괘불탱은 1673년(현종 14년)에 제작된 괘불로서 노사나불을 단독으로 나타낸 독특한 형식의 그림이다.

적색과 녹색을 주로 사용하고 공간을 오색의 광선으로 처리하여 화려하고 환상적인 느낌을 준다.

만공탑은 만공을 추모하기 위하여 제자들이 세운 탑으로서 구형()의 둥근 돌이 올려져 있는 특이한 부도이다.

조인정사 앞에 세워진 칠층석탑은 화강암으로 만든 탑으로서 지대석 위에 기단 면석 외부로 두드러지게 우주를 표현하고 있는데

면석에는 두께 10㎝ 정도의 사각 테두리가 돌려져 있다. 기단 위에 탑신부의 옥신은 없는데, 그 대신 4개의 정사면체 석재를

주춧돌처럼 놓아 1층 옥개석을 받치도록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근역성보관(槿)에 소장되어 있는 거문고는 만공이 고종의 둘째 아들 의친왕 이강으로부터 받은 것으로서 이 거문고에는

이조묵()이 새긴 공민왕금() 이라는 글씨와 함께 만공의 시가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