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으로 떠난 4박5일 캠핑여행 둘째날 - 김천 직지사와 문경새재, 그리고 조령산..
본문 바로가기
길따라 트레킹/캠핑카

경북으로 떠난 4박5일 캠핑여행 둘째날 - 김천 직지사와 문경새재, 그리고 조령산..

by 정산 돌구름 2018. 11. 26.


경북으로 떠난 4박5일 캠핑여행 둘째날 - 김천 직지사와 문경새재, 그리고 조령산..



2018년 11월 23일(금), 4박5일 일정 둘째날은 이른 아침 김천 직지사를 둘러보고 문경으로 떠난다.


김천 황학산 직지사(直指寺)는 신라 눌지왕 2년(418년) 아도()화상이 창건했다고 전한다.

직지사라고 한 데는 세가지 설이 있다.

아도화상이 선산 도리사()를 창건하고 황악산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저쪽에 큰 절이 설 자리가 있다.’고 하여 직지사로

불렸다는 설과 고려 초기에 능여()스님이 절을 중창할 때 절터를 측량하기 위해 자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손으로 측량하여

지었기 때문에 직지사라고 하였다는 설이다.

그리고 선종의 가르침을 단적으로 표현하는 ‘직지인심 견성성불()’에서 유래된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창건 이후 선덕여왕 14년(645년)에 자장()이 중창하고 경순왕 4년(930년)에 천묵()이 중수하였다.

고려 태조 19년(936년)에 능여가 태조의 도움을 받아 크게 중창하였다.

당시의 중요 건물로는 대웅대광명전(殿), 대비로금당(), 극락전, 원통전(殿), 지장시왕전(殿),

응진전(殿), 설법전(殿), 선등각(), 대장전(殿) 등이 있었다.

현재 금석문으로 남아 있는 대장전비에 의하면 이 절의 대장전에 금자사경() 593함()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정종 1년(1399년)의 중건과 성종 19년(1488년) 학조()의 중수가 있었으며, 임진왜란 때인 1596년(선조 29년) 왜병들이

불을 질러 43동의 건물 가운데 천불전(殿), 천왕문(), 자하문()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불타 버렸다.

이때 법당 앞에 있던 대형 5층목탑도 함께 소실되었다.

그 뒤 1602년부터 70여 년에 걸쳐 절을 중건하였는데 1681년(숙종 7년)에 조종저()가 쓴 사적기에 의하면,

당시의 규모가 8전(殿)·3각()·12당()·3장()·4문()에 정실()만 352칸에 달했으며, 부속 암자는 26개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1805년(순조 5년) 이후부터 사세()가 차츰 기울기 시작하여 퇴락을 거듭하게 되었다.

이후 대대적인 중건에 착수하여 1966년부터 1981년 10월까지 10동의 건물을 중건하고 10동을 이건했으며, 9동을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보물 제1576호)을 비롯하여 비로전, 극락전, 응진전, 관음전, 남월료(), 명부전, 약사전, 설법전,

만덕전, 조사전, 제하당(), 명월료, 청풍료(), 사명각(), 범종각, 일주문, 금강문(), 사천왕문 등이 있다.

이 가운데 1735년(영조 11년) 태감()이 중건한 대웅전은 앞 뜰에 2개의 삼층탑이 놓여 있는 2탑식 중정형 가람배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가구의 구성 및 부재의 표현기법은 조선후기의 건축적 특징을 잘 드러낸 것이라고 한다.

대웅전의 내·외부에는 아름답고 뛰어난 기법을 보여주는 많은 벽화와 불단이 남아 있다.

내부 중앙에는 석가모니불, 좌우에 약사여래와 아미타불이 봉안되어 있다.

후불탱화로는 영조 20년에 조성된 삼존불탱화(보물 670호)가 있다.

비로전은 천불전이라고도 하는데, 조선시대에 경잠()이 경주의 옥석()으로 만든 천불상과 1852년(철종 3년)에 조성한

석가모니불·비로자나불·약사여래, 1886년(고종 23년)에 조성한 신중탱화()가 모셔져 있다.

이들 천불상 가운데에는 나아상()이 있는데, 첫 눈에 이 나아상을 보면 아들을 낳는다고 한다.

극락전은 서전(西殿)이라고도 하며, 1986년 주지 혜창 화상에 의하여 중창되었다.

정면7칸, 측면4칸의 팔작지붕이며 총 59.64평으로 비교적 큰 건물로 1999년 새롭게 개원을 하여 현재는 선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응진전은 931년(태조 14년) 능여대사가 창건하였으나 임진왜란에 모두 불탄 후 1656년(효종 7년) 관음전으로 중건되었다가 뒤에

응진전으로 바뀌었다. 지금의 건물은 1970년 주지 녹원에 의하여 중수 되었다.

남월료는 사중의 강당으로서 현재 직지사 승가대학(강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청풍료는 1971년 주지 녹원에 의하여 신축되었는데, 형태는 팔작지붕이면서 귀틀을 낸 ㄱ자형이다.

본래는 7칸이었으나 현재는 정면 9칸, 측면 5칸의 금단청 건물로서 크기는 총 92.76평이다.

이 건물은 현재 성보유물전시관인 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사명각은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 사명당의 영정을 모신 곳으로 이 절에서 출가한 그의 뜻을 되새기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또 범종각에는 1981년에 만든 1,600관의 범종과 법고·운판()·목어() 등이 있다.

만덕전은 일명 불교연수회관이며, 주지 녹원에 의하여 1991년부터 1994년에 걸쳐 건립된 직지사 최대의 건물이다.

넓이는 총 361.54평으로서 외부는 완전 목조건물이지만 내부 중량의 일부는 철근 콘크리트로 들보가 구성되어 있으며 기와는

동기와로 제작되었다.

설법전은 불법의 선양과 불자들의 수련을 위해 마련한 건물로서 주지 녹원에 의하여 1987년 3월부터 1992년 6월 20일에 걸쳐

3층으로 신축된 건물이다. 총 294.51평 넓이의 거대한 복합 건물로서 1층에는 식당이 있고, 2층에는 손님접대를 겸한 11개의

방이 있으며, 3층은 설법전이 있다. 만덕전과 설법전은 주로 직지사의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위해 활용되는 공간이다.


직지사를 떠나 문경으로 향한다.

먼저 백두대간 이화령에 올라 100대 명산인 조령산 산행을 한다.

문경새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조령산(鳥嶺山)은 해발 1,017m로 경북 문경과 충북 괴산을 나누는 백두대간 마루능선을 이룬다.

전체적으로는 산림이 울창하며 대암벽지대가 많고 기암·괴봉이 노송과 어울려 마치 그림 같다.

조령산은 충북 쪽으로 암벽이 발달하였고, 경북쪽은 주흘산과 마주하며 그 사이에 문경 제1, 2, 3관문을 만들어 놓았다.

이화령(3번 국도)에서 제3관문까지 능선길은 암벽이 있어 등산의 묘미를 더하고 있다.

3관문이 위치한 곳은 해발 642m로서 예로부터 문경새재라 일컬어지고 있다.

또한 주위에는 신선봉과 마패봉이 있어 비경을 이루며 조령산자연휴양림도 조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산림이 울창하며 대암벽지대가 많고 기암·괴봉이 노송과 어울려 마치 그림 같다.

능선 남쪽 백화산과의 경계에는 이화령이 있고 능선 북쪽 마역봉과의 경계가 되는 구새재에는 조령 제3관문이 있다.


조령산 산행을 마치고 조령관문이 있는 문경새재 주차장으로 향한다.

주차료 2,000원을 지불하고 한가로운 주차장에 자리를 잡는다.

오늘밤은 여기에서 정박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