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박9일 여행 - 6. 울산 주전봉수대&봉호사, 정자항, 경주 하서항, 읍천항, 봉길대왕암
본문 바로가기
길따라 트레킹/캠핑카

8박9일 여행 - 6. 울산 주전봉수대&봉호사, 정자항, 경주 하서항, 읍천항, 봉길대왕암

by 정산 돌구름 2025. 2. 17.

8박9일 여행 - 6. 울산 주전봉수대&봉호사, 정자항, 경주 하서항, 읍천항, 봉길대왕암 일출


8박9일 영남 캠핑여행(2월 9일 ~ 17일 - 경남 김해, 부산, 울산, 경북 경주)

○ 1일차(2월 9일, 일) : 광주 - 김해 용당나루 매화공원

○ 2일차(2월 10일, 월) : 김해 용당나루 - 신어산 - 은하사 - 부산 흰여울길 - 송도용궁구름다리 - 암남공원

○ 3일차(2월 11일, 화) :  암남공원 - 승학산 - 오륙도스카이워크 - 해운대해수욕장 - 수영만요트경기장

○ 4일차(2월 12일, 수) : 수영만요트경기장 - 광안해수월드 - 광안리해수욕장 - 민락루체페스타 - 수영만

○ 5일차(2월 13일, 목) : 수영만 - 장산 - 기장 서암,동암,대변, 월전항 - 죽성드림세트장 - 임랑해수욕장

○ 6일차(2월 14일, 금) : 임항해변 - 울산 간절곶 - 진하해변&명선도 - 장생포고래문화마을 - 주전몽돌해변

○ 7일차(2월 15일, 토) :  주전몽돌해변 - 봉호사,주전봉수대 - 정자항, 하서항, 읍천항 - 경주 봉길대왕암해변

○ 8일차(2월 16일, 일) : 봉길해변 - 전촌용굴(사룡굴,단룡굴) - 감포 송대말등대 - 무일선원 - 전촌해변

○ 9일차(2월 17일, 월) : 전촌해변 - 단석산 - 광주

~^^~

 

2월 15일, 울산 남목마성 역사누리길 따라 봉대산 봉호사와 주전봉수대 풍경릏 찾아서~

울산 남목역사누리길과 해파랑길9코스가 지나는 봉호사와 주전봉수대는 울산 바다 풍경이 아름답게 바라보인다.

남목마성 역사누리길은 울산시 동구 봉대산(189.8m) 일대에 조선시대 군사용 말을 육성했던 남목마성의 흔적을 따라 쇠평마을부터 남목마성까지 약 2.2km 구간에 조성된 길이다.

주전봉수대는 1997년 울산기념물로 지정된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봉수대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보면, 울산군에는 봉화가 임을랑포·아이포·이길·하산·가리·천내·남목·유등포 등 여덟 곳에 있었다.

이 봉화가 있는 곳이 남목천과 인접해 있으므로 이 봉화가 남목봉화라고 추측된다.

남목봉화는 북쪽으로 유등포봉화와 연락한다고 하였다.

『대동지지』에 보면 남목천봉수는 울산부의 동쪽 30리에 있다고 하였다.

지름 5m, 높이 6m의 원통형 석축으로 된 구조로 봉수대에는 3칸의 봉대사(烽臺舍)가 있었다.

이 봉수터에 있는 봉화사 건물이 봉대사였을 것이라고 짐작된다.

조선 말기 전기통신법이 도입되고 봉수제가 폐지되자 봉수군들이 모두 산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 남목천봉수의 봉군 박경원은 그대로 봉대사에서 살면서 내려오지 않았다.

그래서 그 봉대사에 절을 지은 것이 지금의 봉호사이며, 손자 박동수가 이 절을 맡아 오다가 지금은 다른 사람이 절을 유지하고 있다.

봉호사에는 전망이 좋은 곳에 해수관음이 바다를 향해 서있다.
상큼한 공기를 마시며 잠시 산길을 따라 걸으면 마음까지 힐링되는 느낌이다.

 

2월 15일, 전국 최대 참가자미 집산지, 울산 정자항을 지나며~

해파랑길 10코스(정자항-강동화암주상절리-관성해변-읍천항벽화마을-나아해변)가 시작되는 정자항, 방파제에는 천연기념물 제126호인 귀신고래를 형상화한 등대가 있다.

북방파제에는 2010년 건립된 붉은귀신고래가 있고 건너편에는 흰귀신고래가 있다.

정자항을 끝으로 울산여행을 마치고 떠나 경주로 들어선다.

울산 북구 정자동에 위치한 정자항(亭子港)은 옛날 포구에 24그루의 정자나무(느티나무)가 있어서 얻어진 이름이다.

『호구총수』에는 유포면 정자말리(亭子末里)로, 『영남읍지』에는 강동면 정자리로 각각 기록하고 있다.

1971년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어 현재는 북방파제, 남방파제 및 파제제가 축조되어 있고, 물양장, 선양장, 호안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이곳은 대각미역과 정자대게, 참가자미로 유명하다.

특히 전국 유통 참가자미의 대부분이 어획되는 곳으로 참가자미회는 찰진 데다 기름기가 많고 비린 맛이 없어 사람들이 쉽게 적응하는 횟감이다.

정자·당사마을은 2006년 해양수산부의 '아름다운 어촌 100선'에 선정되었다.

고래모양 정자항북방파제등대는 일면 귀신고래등대라고 불린다.

해안에 나타났다가 사람이 보이면 귀신처럼 사라진다고 귀신고래라고 하며, 천연기념물 제126호로 지정되었다.

정자항 등대는 1991년8월7일 빨간 원통형으로 세워졌는데, 2010년 10월에 귀신고래 모양으로 재 건립 후 꾸준히 울산의 대표 관광지로 인기를 끌고 있다.

귀신고래는 우리나라에서 1978년에 마지막으로 관찰된 후 사라졌으나 러시아 사할린 연안에서 100여 마리가 관찰된 바 있다.

여름에는 먹이가 풍부한 오호츠크 연안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온대 해역 연안에서 번식을 하는 회유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1~12월경에 울산 앞바다를 지나 남해, 서해 및 동중국해에서 번식을 하고 다시 3~5월경에 울산 앞바다를 지나 북상 회유한다.

몸 길이는 출생 시 약 4.5m, 다 자랐을 때 16m 정도이며, 체중은 약 35톤 정도이다.

몸 전체는 회색, 암회색을 띠며, 흰색의 상처 모양이 있고, 몸 표피(피부)에는 따개비, 굴 껍데기 등이 부착되어 있다.

 

2월 15일, 경주 하서항과 양남주상절리 파도소리길~

경주 하서항에는 아름다운 사랑의 조형물이 방파제를 따라 설치되어 있고 끝에는 붉고 커다란 사랑의 열쇠가 바다와 어우러져 아름다움을 더한다.

파도소리길은 읍천항에서 하서항까지 1.7km 구간으로 데크 로드, 정자, 벤치, 구름다리 등 해안 길이 잘 정비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무난하게 걸을 수 있다.

'파도소리길'이라는 이름답게 시원한 바다를 곁을 따라 걸으며 바닥으로 넓게 퍼진 특이한 주상절리를 감상할 수 있다.

2012년 9월 천연기념물 제536호로 지정된 양남주상절리는 위로 솟은 주상절리뿐만 아니라, 부채꼴 주상절리, 기울어진 주상절리, 누워있는 주상절리 등 다양한 형태의 주상절리가 있다.

군사지역으로 묶여 있어 그동안 개방되지 않다가 지난 2012년 6월 파도소리길 개장으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 길은 해파랑길 10코스(정자항~강동몽돌해변~관성솔밭해변~하서항~읍천항~나아해변)기 지난다.

 

2월 15일, 동해바다 풍경이 아름다운 경주 읍천항에서~
경주 읍천항에서 하서항까지 이어지는 파도소리길은 해파랑길 10코스가 지난다.
읍천항에서 해파랑길을 따라 전망대로 향하면 에메랄드빛 동해바다와 수평선, 등대, 펜션들이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낸다.
하얀 포말을 일으키며 부서지는 파도와 검은 부채꼴 주상절리가 어우러진 풍경도 아름답다.

울산과 감포 사이에 있는 읍천항(邑川港)은 낚시터와 관광지로 관심이 주목되는 항이다.

동해 근해에서 가장 높은 해수온도를 보이는 읍천 앞바다는 사철 감성돔, 돌돔, 벵에돔 입질을 받을 수 있다.

바닥 지형이 잘 발달된 단층형으로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는데 특히 5월이면 벵에돔 입질이 절정이다.

바람이 부는 차가운 날씨였지만 아름다운 풍경을 보며 잠시 머무렀다가 떠난다.

 

2월 15일, 갈매기가 춤을 추는 경주 봉길대왕암 해변의 풍경..

문무대왕의 해중릉이 있는 봉길대왕암 해변에 도착하니 한겨울의 바닷가이지만 주말을 맞아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와 붐빈다.

새우깡을 받아먹는 갈매기의 춤추는 풍경을 보며 잠시 해변을 거닌다.

2월 15일, 고요한 봉길대왕암 해변에 머물다.
문무대왕의 해중릉이 있는 봉길대왕암 해변, 한겨울의 바닷가이지만 주말을 맞아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와 붐빈다.
검푸른 동해바다와 물보라를 일으키며 부서지는 파도와 수많은 갈매기가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경이다.
어둠이 내리니 모두들 떠나고 갈매기도 잠이 들었는지 고요함이 감돈다.
캠핑여행 7일차, 오늘밤은 파도소리 들으며 여기에 머문다.

대종천 하구에 자리한 봉길해수욕장은 백사장 길이 500m, 폭 40m로 앞에는 신라 문무대왕의 해중릉인 사적 제158호 대왕암이 있다.

문무대왕릉은 경주시 문무대왕면 봉길리 앞바다에 있는 신라 문무왕의 해중릉으로 1967년7월24일 사적 제158호로 지정되었다.

대왕암(大王岩)이라고도 하며, 삼국통일을 완수한 문무왕은 통일 후 불안정한 국가의 안위를 위해 죽어서도 국가를 지킬 뜻을 가졌다.

그리하여 지의법사(智義法師)에게 유언으로 자신의 시신을 불교식에 따라 고문(庫門) 밖에서 화장하여 유골을 동해에 묻으면 용이 되어 국가를 평안하게 지키도록 하겠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유해를 육지에서 화장하여 동해의 대왕암 일대에 뿌리고 대석(大石)에 장례를 치렀다.

육지에서 200여m 떨어진 바다에 있으며, 사람들은 왕의 유언을 믿어 그 대석을 대왕암이라고 불렀다.

큰 바위가 주변을 둘러싸고 있고, 중앙에 약간의 넓은 공간이 있는데 이 공간에 대석을 이동하여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의 대왕암 주변을 화강암의 큰 바위가 둘러싸고 있는데 네 방향으로 물길이 나 있어 주변 바위는 네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자연적으로 물길이 나 있는 상태이나 약간의 인공을 가하여 튀어나온 부분을 떼어내어 물길이난 가운데 공간을 약간 가다듬은 흔적이 발견되었다.

바닷물은 파도와 함께 동쪽 물길을 따라 중앙 공간으로 흘러들어와 서쪽 물길을 통해 빠져 나간다.

바닷물이 물길을 따라 중앙으로 진입할 때 파도가 소멸되기 때문에 중앙의 물은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잔잔하며 물 높이는 중앙의 큰 바위를 살짝 덮을 정도를 항상 유지한다.

대왕암에서 멀지 않은 육지에 '낭산'이라고 하는 신성시되는 언덕이 있는데 이곳에 '능지탑'이라고 불리는 탑이 있다.

연구 결과 문무왕의 시신은 이 능지탑에서 화장되어 대왕암 주변에 산골하고, 대왕암 주변 바위에서 절리된 큰 바위를 중앙의 빈 공터에 남북으로 안치시켜 장례를 지낸 형식적 절차를 가짐으로써 무덤(왕릉)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왕암의 네 방향으로 수로를 낸 것은 석가의 사리를 안치한 탑의 형식을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라의 한 설화에 의하면, 문무왕이 그 아들 신문왕에게 만파식적(万波息笛)이라는 피리를 주어 문무왕이 죽은 후 바다의 용이 되었다가 만파식적을 불면 용이 나타나 국가의 안위를 지키도록 하겠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한다.

아들 신문왕은 바다에서 1.5km 떨어진 동해변에 부왕을 기리는 감은사(感恩寺)를 지어 절의 금당 밑까지 바닷물이 들어오도록 설계하였다.

이는 용이 쉽게 접근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감은사의 동쪽에 약간 높은 언덕이 있는데, 이곳은 대왕암을 정면으로 바라다 볼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에 이견대(利見臺)를 짓고 신문왕은 이곳에 수시로 와서 대왕암을 망배(望拜)하였다고 한다.

 

2월 16일, 아름다운 일출 풍경, 경주 문무대왕릉의 아침~

문무대왕의 해중릉이 있는 봉길대왕암 해변에서 밤을 보내고 아침을 맞는다. 

고요한 아침, 동해바다를 붉게 물들이며 문무대왕릉으로 떠오르는 찬란한 태양이 아름답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