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박12일 여행 - 2. 포항 내연산 & 계곡, 영덕 장사해변, 강구항해파랑공원
본문 바로가기
길따라 트레킹/캠핑카

11박12일 여행 - 2. 포항 내연산 & 계곡, 영덕 장사해변, 강구항해파랑공원

by 정산 돌구름 2024. 11. 7.

11박12일 여행 - 2. 포항 내연산 & 계곡, 영덕 장사해변, 강구항해파랑공원


11박12일 경북, 강원여행(10월 27일 ~ 11월 7일  경북 포항,  영덕, 울진, 봉화, 청송, 칠곡, 창녕, 강원 삼척, 동해, 태백)

○ 1일차(10월 27일, 일) : 광주 - 포항 구룡포 주상절리해변

○ 2일차(10월 28일, 월) : 포항 구룡포 - 호미곶해맞이광장 - 연오랑세오녀공원 - 호미반도 선바우길 - 오어사 - 영덕 장사해수욕장

○ 3일차(10월 29일, 화) : 영덕 장사해변 - 포항 내연산 - 영덕 강구항 해파랑공원

○ 4일차(10월 30일, 수) : 영덕 해파랑공원 - 창포말등대 & 해맞이광장 - 죽도산 - 대진항 스카이워크 - 고래불해수욕장 - 울진 등기산스카이워크 & 등대공원 - 염전해변

○ 5일차(10월 31일, 목) : 울진 염전해변 - 금산(검산) - 불영사 - 성류굴 - 폭풍속으로 드라마 촬영장 - 봉평해변

○ 6일차(11월 1일, 금) : 울진 봉평해변 - 삼척 초곡용굴 촛대바위길 - 원평해변 - 덕봉산해안둘레길 - 삼척해변 - 이사부사자공원 - 추암촛대바위 - 동해 묵호항수변공원

○ 7일차(11월 2일, 토) : 묵호항수변공원 - 두타산 베틀바위산성길 - 묵호 논골담길 - 묵호항수변공원

○ 8일차(11월 3일, 일) : 묵호항수변공원 - 한섬길 - 태백 철암탄광역사촌 - 구문소 - 봉화 분천산타마을

○ 9일차(11월 4일, 월) : 봉화 분천산타마을 - 청량산 - 청송 청운교노지캠핑장

○ 10일차(11월 5일, 화) : 청송 청운교 - 주왕산 & 주왕산계곡 - 의성 빙계계곡  

○ 11일차(11월 6일, 수) : 의성 빙계계곡 - 칠곡 유학산 - 창녕 영산만년교 - 남지억새전망대 - 창원 북면수변생태공원

○ 12일차(11월 7일, 목) : 창원 북면수변생태공원 - 진주 영남캠핑카 - 광주

~^^~

 

10월 28일, 파도소리 들으며 장사해수욕장에 머물다.

빗줄기 속에 포항 칠포변과 월포해변을 거쳐 하얀 파도가 넘실대는 영덕 장사해수욕장에 자리를 잡는다.

길이 900m, 폭 80m의 장사해수욕장은 바닷물이 깨끗하고 경사가 완만하며 백사장에 울창한 송림이 있다.

바로 옆에는 국내 최초이자 유일하게 바다 위에 건립한 호국전시관인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이 있다.

또, 장사해변은 '쪽빛 파도의 길'이라 부르는 영덕 블루로드 D코스가 지나며, 해파랑길 19코스가 지난다.

캠핑의 명소답게 주말을 맞아 제법 많은 사람들이 해변에서 캠핑을 즐기고 있다.

여행 2일차, 오늘밤은 세찬 파도소리 들으며 여기에 머문다. 

 

10월 29일, 영덕 장사해수욕장의 동해 일출 풍경~

영덕 장사해수욕장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아침을 맞는다.
구름 사이로 동녘 하늘을 붉게 물들이며 떠오르는 찬란한 태양,

아름다운 동해 일출 풍경을 바라보며 하루를 시작한다.
오늘도 화이팅  ~~~~

 

10월 29일, 100대 명산, 포항 내연산(문수봉-삼지봉-12폭포계곡) 산행 ~

내연산 산행을 위해 아침에 장사해수욕장에서 내연산 주차장으로 이동한다.

8시50분, 내연산주차장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상가지대를 지나 보경사에 도착한다.

보경사 경내를 둘러보고 계곡을 따라 오르다가 문수암 갈림길에서 가파르게 문수암에 올라선다.

문수암을 지나 문수봉에 이르면 경사가 완만해지며 부드러운 산길이 이어지고 울긋불긋 물들어가는 단풍이 아름답다.

문수봉에서 삼지봉에 올라 100대 명산 인증을 하고 잠시 쉬었다가 능선을 따라 가다가 향로봉 갈림길에서 미결등으로 내려서 계곡에 이른다.

계곡물이 많아 신발을 벗고 세찬 물길을 건너 반대편 데크로 올라선다.

출렁다리를 건너 내려가다가 은폭포, 관음폭포를 보고 계곡을 따라 보경사를 지나 주차장으로 돌아와 산행을 마무리한다.

가파른 오르내리막의 15km, 7시간이 넘는 기나긴 산행에 힘들었지만 3년 만에 부부가 함께 다시 찾은 내연산의 울긋불긋 단풍이 물들어가는 아름다운 풍경을 보며 걷는 기분좋은 산행길이었다.

○ 산행코스 : 주차장~보경사~문수봉~삼지봉~미결등~은폭포~관음폭포~연산폭포~상생폭포~보경사~주차장(경북 포항, 영덕)

○ 거리 및 소요시간 : 15.7km(트랭글GPS), 7시간 10분 소요

○ 산행지 소개

경북 포항과 영덕의 경계에 있는 내연산(內延山 711.3m)은 원래 종남산(終南山)이라 불리다가 신라 진성여왕이 이 산에서 견훤의 난을 피한 뒤에 내연산이라 불렸다.

낙동정맥이 울진 통고산(1,066.5m), 영덕 백암산, 청송의 왕거암을 거쳐 내려오다가 잠시 동쪽으로 가지 뻗어나간 산줄기가 동해안 옆에서 솟구친 산이다.

북쪽에는 동대산(792.4m)과 바데산(645.8m)이, 서쪽에는 6·25 격전지인 향로봉(932.3m)이 있으며, 동쪽과 남쪽 사면은 급경사이나 북서쪽은 완사면을 이루고 있다.

문수봉(622m), 삼지봉, 향로봉 산줄기를 지나 매봉(833.2m), 삿갓봉(715.6m), 천령산(774.8m)까지 찌그러진 타원형을 이루며 그 안에 길고 깊은 여러 골짜기를 빚어놓고 있다.

산줄기 사이로 흘러내리는 주계곡은 12개의 폭포가 이어져 12폭포골, 또는 물이 맑아 청하골, 혹은 골 입구 보경사에서 비롯된 보경사계곡 외에도 연산골, 내연골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이 산에 대·중·소 세 개의 바위가 솥발처럼 벌어져 있는데, 사람들이 삼동석(三動石)이라고 한다. 손가락으로 건드리면 조금 움직이지만 두 손으로 흔들면 움직이지 않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보경사 일대는 경북 3경(三景)의 하나로 꼽히는 경승지를 이루어 좋은 관광지가 되고 있다.

경북의 금강산이라고 일컬어지는 갑천계곡은 상생폭(相生瀑)·관음폭(觀音瀑)·연산폭(燕山瀑) 등 높이 7∼30m의 12개의 폭포,

그리고 신선대·학소대(鶴巢臺) 등 높이 50∼100m의 암벽, 깊이 수십척의 용담(龍潭) 등 심연(深淵) 및 암굴(岩窟)·기암괴석 등이 장관을 이루는 경승지이다.

또한 내연산은 동해를 바라보고 보경사의 운치를 감상하며, 내연산 기슭의 10km에 달하는 계곡속에 12폭포가 이어져 한여름에는 피서객들로 골짜기부터 붐빈다.

내연산은 육산이고 주능선은 장쾌하게 벋어가며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진 계곡미가 빼어나다.

제1폭포 쌍생폭(상생폭), 제2폭포 보현폭, 제3폭포 삼보폭, 제4폭포 잠룡폭, 제5폭포 무풍폭을 거쳐 제6폭인 관음폭과 제7폭포 연산폭 일대가 이 계곡의 절경이다.

쌍폭인 관음폭은 쌍굴인 관음굴, 폭포 위로 걸린 연산적교(구름다리), 층암절벽과 어우러져 환상적이다.

연산적교를 건너면 높이 20m의 연산폭이 학소대 암벽을 타고 힘찬 물줄기를 쏟아 내린다.

보경사(寶鏡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불국사의 말사로 신라 진평왕25년(602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대덕(大德) 지명(智明)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비로자나불과 문수보살·보현보살을 모신 대적광전, 석가모니불을 모신 대웅전,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와 보현보살, 16나한 등을 배열한 영산전, 석가모니의 팔상시현(八相示顯)을 나타낸 팔상전이 중심 당우로 자리잡고 있다.

이 밖에도 명부전·산신각·원진각·일로향각·동로각·누각·수월당·천왕문·일주문·원진국사비각·설산당비각·창고 등이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52호로 지정된 보경사원진국사비와 보물 제430호로 지정된 보경사부도가 있으며, 숙종이 이곳의 12폭포를 유람하고 그 풍경의 아름다움에 시를 지어 남겼다는 어필의 각판이 있다.

그밖에 경북유형문화재 제203호로 지정된 오층석탑, 경북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된 탱자나무가 있다.

내연산 12폭포라 하여 경북 8경의 하나로 청하골계곡 등 경관이 수려하고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산림청 100대 명산’에 선정되어 있다.

또, 폭포가 많아 12폭포골이라고 하는 보경사계곡의 풍광이 수려하여 계곡산행으로 여름에 인기가 높아 ‘한국의 산하 인기명산 100산’중 23위에 랭크되어 있다.


10월 29일, 가을로 물들어가는 아름다운 포항 내연산 계곡에서 ~

경북 8경 중 하나인 내연산의 10km에 달하는 보경사 계곡에 열두폭포가 이어져 있다.
12폭포는 세계에서도 드문 곳으로 제1폭 쌍생폭이 있으며, 가장 유명한 제6폭인 관음폭과 제7폭인 연산폭이다.
관음폭은 높이 72m의 두줄기 폭포로 바위벽에는 넓이 10평 가량의 관음굴이 있으며, 연산폭은 높이 30m로 바위벽을 학소대라 한다.
병풍처럼 웅장한 기암괴석과 폭포가 많아 계곡미가 수려하다.
계곡을 따라 울긋불긋 물들어가는 단풍 물결, 눈물겹도록 아름다운 가을 풍경에 흠뻑 젖어본다.

내연산 산줄기 사이로 흘러내리는 주계곡은 12개의 폭포가 이어져 12폭포골, 또는 물이 맑아 청하골, 혹은 골 입구 보경사에서 비롯된 보경사계곡 외에도 연산골, 내연골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이 산에 대·중·소 세 개의 바위가 솥발처럼 벌어져 있는데 사람들이 삼동석(三動石)이라고 한다. 손가락으로 건드리면 조금 움직이지만 두 손으로 흔들면 움직이지 않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보경사 일대는 경북 3경(三景)의 하나로 꼽히는 경승지를 이루어 좋은 관광지가 되고 있다.

경북의 금강산이라고 일컬어지는 갑천계곡은 상생폭(相生瀑)·관음폭(觀音瀑)·연산폭(燕山瀑) 등 높이 7∼30m의 12개의 폭포,

그리고 신선대·학소대(鶴巢臺) 등 높이 50∼100m의 암벽, 깊이 수십척의 용담(龍潭) 등 심연(深淵) 및 암굴(岩窟)·기암괴석 등이 장관을 이루는 경승지이다.

내연산 기슭의 10km에 달하는 계곡속에 12폭포가 이어져 한여름에는 피서객들로 골짜기부터 붐빈다.

제1폭포 쌍생폭(상생폭), 제2폭포 보현폭, 제3폭포 삼보폭, 제4폭포 잠룡폭, 제5폭포 무풍폭을 거쳐 제6폭인 관음폭과 제7폭포 연산폭 일대가 이 계곡의 절경이다.

쌍폭인 관음폭은 쌍굴인 관음굴, 폭포 위로 걸린 연산적교(구름다리), 층암절벽과 어우러져 환상적이다.

연산적교를 건너면 높이 20m의 연산폭이 학소대 암벽을 타고 힘찬 물줄기를 쏟아 내린다.

 


10월 29일, 포항 내연산 산행길에 찾은 보경사, 그리고 산내암자 문수암과 보현암 ~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불국사 말사인 보경사(寶鏡寺)는 신라 진평왕 24년(602년)에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대덕(大德) 지명(智明)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지명법사가 진평왕에게 '동해안 명산에서 명당을 찾아 자신이 진나라의 도인에게 받은 팔명보경(八面寶鏡)을 묻고 그 위에 불당을 세우면 왜구의 침입을 막고, 이웃 나라의 침입도 받지 않으며 삼국통일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진평왕이 기뻐하며 그와 함께 동해안 북쪽 해안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해아현(海阿縣) 내연산 아래 있는 큰 못 속에 팔면경을 묻고 못을 메워 금당(金堂)을 건립한 뒤 보경사라 하였다.

성덕왕 22년(723년)에는 각인(覺仁)과 문원(文遠)이 “절이 있으니 탑이 없을 수 없다.” 하고 시주를 얻어 금당 앞에 오층석탑을 조성하였다.

경덕왕 4년(745년) 철민(哲敏)이 중창하였고, 고려 고종 1년(1214년) 주지 원진국사(圓眞國師) 승형(承逈)이 승방 4동과 정문 등을 중수하고 종·경(磬)·법고(法鼓) 등도 완비하였다.

숙종 3년(1677년)에는 도인(道仁) 등이 중창불사를 시작하여 1695년 가을에 준공하였으며, 삼존불상과 영산전(靈山殿)의 후불탱화도 조성하였다.

그때 초한(草閑)이 시주를 얻어 금당을 중건하였고 관음전은 도의(道儀)가, 명부전은 석일(釋一)이, 응향전(凝香殿)은 국헌(國軒)이, 향적전(香積殿)과 국사전(國師殿)은 학열(學悅)이, 열반당은 신특(信特)이, 국사전 정문과 사천왕각 및 식당은 비구니 총지(摠持)와 신원(信遠)이, 팔상전은 지총(志聰)이, 종각은 영원(靈遠)이 각기 분담하여 중건, 중수하였다.

또한, 그와 동시에 도인은 청련암(靑蓮庵)을 창건하고 탁근(卓根)은 서운암(瑞雲庵)을 창건하였다.

영조 1년(1725년) 성희(性熙)와 관신(寬信)이 명부전을 이건하고 단청하였으며, 성희는 괘불을 중수하였는데 이때의 사세가 가장 컸다고 전한다.

1916년부터 1922년까지는 장욱(壯旭)이 많은 사재를 내어 전당(殿堂)과 탑을 중수하였고 홍수로 파손된 제방을 쌓았으며, 교량을 시설하고 전답을 사찰에 헌납하였다.

1917년 10월에는 태인(泰仁)이 명부전을 중수하였고, 1932년에는 대웅전과 상지전(上持殿)을 중수하였으며, 1975년 이후 약간의 단청불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비로자나불과 문수보살·보현보살을 모신 대적광전, 석가모니불을 모신 대웅전,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사자를 탄 문수와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 16나한 등을 배열한 영산전, 석가모니의 팔상시현(八相示顯)을 나타낸 팔상전이 중심 당우로 자리잡고 있다.

이밖에도 명부전·산신각·원진각(圓眞閣)·일로향각(一爐香閣)·동로각(東爐閣)·누각·수월당(水月堂)·천왕문·일주문·원진국사비각·설산당비각(雪山堂碑閣)·창고 등이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52호로 지정된 보경사 원진국사비와 보물 제430호로 지정된 보경사 부도가 있다.

조선 숙종이 이곳의 12폭포를 유람하고 그 풍경의 아름다움에 시를 지어 남겼다는 어필의 각판이 있다.

그밖에 경북 유형문화재 제203호로 지정되었다가 보물로 승격된 오층석탑, 경북 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된 탱자나무가 있다.

부도로는 동봉(東峯)·청심당(淸心堂)·심진당(心眞堂) 등 11기가 있다.

보경사 오층석탑은 적광전 앞에 위치한 높이 약 4.6m 규모의 석탑이다.

1985년10월15일 경북 유형문화재(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2024년10월16일 보물로 승격되었다.

이 석탑은 고려 현종 14년(1023년)에 건립된 5층석탑으로 일명 금당탑(金堂塔)이라고도 한다.

《보경사금당탑기》에 의하면 1023년 3월에 도인(道人)과 각인(覺仁), 문원(文遠)이 절이 있는데 탑이 없을 수 없다 하여 서로 의논하고 발원하여 시주를 얻어서 세운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단층 기단(基壇) 위에 세워진 5층석탑으로 기단과 옥신(屋身)에는 목조 건축의 기둥을 모방한 귀기둥이 있다.

옥신과 옥개(屋蓋)는 각 1매석(枚石)으로 만들어져 있다.

처마끝은 수평을 이루고, 처마선은 끝에서 약간 들려 경쾌한 곡선을 이룬다.

옥개석의 상부에는 2단의 탑신받침이 있지만 상륜부는는 노반(露盤)과 복발(覆鉢)만이 남아 있다.

기단의 크기는 가로·세로 각 1.5m 이고, 탑의 높이는 5m로, 탑신의 체감률이 낮아 전체적으로 고준(高峻)한 느낌을 준다.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을 계승한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1963년 보물로 지정된 보경사 원진국사비는 비신 높이 183㎝, 너비 104㎝, 두께 17㎝로 이수가 없는 형식으로 비신 상단 양 끝을 귀접이 한 규수형(圭首形)이다.

귀부의 머리는 용머리와 한 형태이고, 6각형의 귀갑(龜甲) 안에는 ‘王(왕)’자가 정연하게 새겨져 있다.

비신 상단에는 해서(楷書)로 된 제액(題額)이 있고, 비신 둘레에는 당초문이 새겨져 있다.

당초문과 비신 상단의 귀접이는 고려 중기 이후부터 나타나는 형식의 하나이다.

원진국사 승형(承逈)이 51세로 입적하자 고종은 국사로 추증하고 ‘원진(圓眞)’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비는 입적 3년 뒤인 1224년(고종 11년)에 세워졌는데 비문은 당대의 문신 이공로(李公老)가 지었고 김효인(金孝印)이 썼다.

김효인은 충렬왕 때의 명장 김방경(金方慶)의 아버지로 글씨에 뛰어났다.

이 비문은 구양순체의 글씨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활달함을 잘 살렸다.

1965년 보물로 지정된 보경사 승탑(부도)는 높이 4.5m로 단면 8각을 기본으로 삼은 전형적인 8각원당형 부도이다.

크고 긴 돌을 놓아 만든 넓고 네모난 탑구의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다.

아래받침돌은 3단으로 구성되었는데, 맨 아래의 2단은 아무런 조각이 없지만 맨 위의 1단에는 연꽃 무늬가 새겨져 있다.

이 승탑은 몸돌이 지나치게 길고 커서 높다란 느낌을 받으며, 폭이 좁아서 안정감도 적어 보인다.

또한 간략화 경향이 뚜렷하여 각 세부의 조각이 가늘고 약한 편이다.

보경사 경내에 있는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의 비명에 의하면 건립 시기는 1224년(고종 11년)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산내암자로는 동쪽 50m 지점의 청련암과 서쪽 100여m 지점의 서운암, 보경사 창건과 동시에 건립되었다는 문수암(文殊庵)과 보현암(普賢庵) 등이 있다.

 

문수암

 

 

보현암

10월 29일, 빛과 바람의 길, 영덕 강구항 해파랑공원~

영덕 해파랑공원은 강구항 연안을 매립하여 만든 공원으로 동해안 트레킹코스인 해파랑길의 중간지역에 자리하고 있다.

'해파랑'은 동해의 상징인 '떠오르는 해'와 푸르른 바다색인 '파랑', '~와 함께'라는 조사 '랑'을 조합한 합성어로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이라는 뜻이다.

영덕 대게축제 등 다양한 행사를 하는 곳이며, 바로 옆에 대게거리가 있고 공원에서 바닷길을 따라 영덕 블루로드길을 걸을 수 있는 산책로가 있다.

'빛과 바람의 길'이라 부르는 블루로드 A코스, 해파랑길 22구간이 지난다.

강구항은 영덕군에서 가장 큰 항구이자 대게로 유명한 곳이다.
'그대 그리고 나' 드라마가 촬영되었던 촬영지로 유명해지면서부터 사시사철 관광객들로 북적이는 관광명소가 되었다.

10월 29일, 고요한 영덕 강구항 해파랑공원에 머물다.
해질녘 해파랑공원에 자리를 잡고 강구항 어시장에서 알방어와 쥐치회를 포장하여 돌아온다.

싱싱한 회에 소맥 한잔으로 오늘 하루의 피로를 달랜다.

어둠이 내린 해파랑공원, 낮과는 또다른 아름다움이 있다. 
캠핑여행 3일차, 오늘밤은 고요한 강구항 해파랑공원에 머문다.

10월 30일, 영덕 해파랑공원의 동해 일출 풍경 ~

해파랑공원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맞이하는 아침,
동해바다가 한눈에 바라보이는 영덕 강구항 해파랑공원에서 바라보는 일출 풍경은 참으로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