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여행 4박5일(제4일) - 2. 민족교육기관의 원조, 명동학교(明東學校)..
본문 바로가기
해외여행/중국

중국 여행 4박5일(제4일) - 2. 민족교육기관의 원조, 명동학교(明東學校)..

by 정산 돌구름 2019. 10. 3.

중국 여행 4박5일(제4일) - 2. 민족교육기관의 원조, 명동학교(明東學校)..


 

중국여행 4박5일 넷째날,

이도백하 천정호텔에서 2일 밤을 보내고 이른 아침, 6시에 어침식사를 한다.

7시에 호텔을 출발하여 1시간20분을 달려 중간휴게소에서 잠시 쉬어간다.

휴게소에는 장뇌산 농장이 있어 잠시 휴게소 뒤편의 농장을 둘러본다.

다시 차를 달려 용정으로 가는 길목에 차창으로 일송정을 바라본다.

9시50분, 용정에 도착하여 쇼핑센터(라텍스)를 둘러보고 11시20분 점심식사를 한다. 

12시30분, 용정 명동학교를 둘러본다.

12시50분, 인근의 윤동주 생가에 잠시 머무른다.

 

[ 제4일차 - 2019년 10월 1일 ]

06:00 호텔 조식 ⇨ 07:00 호텔 출발 09:50 용정 도착(쇼핑센터) ⇨ 11:20 점심식사 ⇨ 12:30 용정 명동학교 ⇨ 12:50 윤동주생가 ⇨ 14:00 용정지명기원우물  15:10 쇼핑센터(죽제품) ⇨ 16:40 진달래광장 ⇨ 17:15 저녁식⇨ 18:50 동북아호텔 도착

 

항일 독립운동의 본거지, 룽징(龍井)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 중부에 위치하며, 주도()인 엔지(吉)에서 남서쪽으로 20km 떨어져 있는 상공업도시이다.

1913년에 옌볜현이 설치되었다가 1983년에 룽징현으로 개칭하였고, 1988년 7월에 시()로 승격하였다.
시내 한복판에 있는 3·13만세운동의 현장(용정중앙소학교)을 비롯하여 1880년경 한국인이 우물을 처음 발견하였다는 용정 기원

() 우물이 있다.

삼림 및 광산자원이 풍부하여 동, 은, 납, 아연 등이 채굴되며, 공업으로는 기계·화학·제지·야금·피혁 등이 생산된다.

두만강의 지류인 해란강()이 시내를 가로질러 흐르며, 주변의 비옥한 농경지에서는 쌀·콩·수수·옥수수·아마()·사과·배

등 농산물을 산출한다.

장춘(長春)과 도문(們)간의 창투철도(가 시내로 지나며, 교육기관은 3개의 대학원과 146개의 소·중·고등학교가 있다.
문화유적으로는 비암산의 일송정(), 3·13반일의사의 묘지, 시인 윤동주의 묘지, 한왕산고성() 유적 등이 있다.

시내는 현대적 도시로 급성장하고 있으며, 백두산 관광기지로도 큰 몫을 한다.

만주벌판에 있었던 용정촌()은 일제시대에 한민족이 거주하며, 독립운동의 본거지가 되었던 곳이다.

나라 잃은 한민족에 의해서 황무지에 건설된 마을이 집단화되었으므로 용정은 한민족의 결집력을 강화한 최초의 공동시설이다.

그리고 민족 번영과 항일독립을 위한 교육시설로서 1906년에 이상설()에 의해 세워진 서전사숙(瑞甸書塾)이 있던 곳이다.

 

민족교육기관의 원조, 명동학교(明東學校)

1906년에 설립되었다가 1년 만에 폐교된 서전서숙()의 민족교육정신을 계승하여 김약연()의 주도로 서전서숙을

나온 김학연() 등 애국지사들이 1908년 4월 27일 화룡현 명동촌( )에 설립하였다.

1908년 4월명동촌()에 있던 사숙을 통합하여 명동서숙()을 세웠다.

숙장()에 박무림(), 숙감()에 김약연, 재정에 문치정(), 교사에 김학연·남위언() 등이 취임하였다.

1909년 명동서숙은 이름을 명동학교로 바꾸고 김약연이 교장에 취임하였다.

1910년 3월 명동중학교()를 병설하고 교장에 김약연이 취임하였으며, 교사는 국사에 황의돈(), 윤리에 박태환

(), 한글에 장지영() 등이 초빙되었다.

그밖에 박태식·최기학·송창희·박경철·김성환·김승근 등의 교사가 있었다.

그 뒤 김철·박일·박상환·김치관 등이 교사로 부임하면서 간도·함경도 일대 및 연해주에서까지 입학생이 찾아왔다.

이로써 학교의 발전은 물론 교육내용도 더욱 충실해져 갔다.

1911년에는 이동휘()가 명동에 와서 여성교육 필요성을 역설하여 명동학교에 여학교를 병설하고, 교사에 정신태()

·이의순()·우봉운() 등이 취임하였다.

명동학교 교과목은 역사·지지()·법학·지문()·박물()·이화()·생리()·수신·수공()·신한독립사·위생·식물

·사범교육학·농림학·광물학·외교·통역·대한문전·신약전서·중국어·작문·습자·산술·체조·창가 등이었다.

교육목표는 항일독립정신에 두었는데 한 예로 입학시험 및 작문시험에 반드시 애국과 독립의 내용을 포함시켰다.

매주 토요일에는 토론회를 열어 민족독립사상을 고취시키는 교육을 실시하였다.

3·1운동 때에는 주민과 더불어 대대적으로 독립운동을 하여 많은 희생자를 내었다.

이와 같은 항일교육에 대해서 일제는 명동학교를 조선인 독립운동의 소굴이라 하여 1920년 10월 에 훈춘사건()을 조작,

학교를 소각시키고 교장을 구속하였다. 그 뒤 학교를 재건하였으나 일제의 탄압과 재정난으로 1925년에 폐교되었다.

개교 이래 17년 동안 1,000여 명의 애국청년들이 명동학교를 졸업하였다.

명동학교는 서전서숙과 함께 재만한국인을 위한 민족교육의 주류였으며 민족교육기관의 원조로서, 인재를 양성하여 독립운동가

및 민족교육자로 배출, 재만한국인사회에서 자주독립을 위해 투쟁하게 한 요람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