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의 무대, 사적 제308호 완도 청해진유적과 장보고공원..
2019년 2월 16일(토), 완도와 강진으로 떠난 2박3일 캠핑여행, 둘째낭 찬바람과 속에 찾은 완도 청해진유적과 장보고공원..
사적 제308호, 완도 청해진유적(淸海鎭遺蹟)
청해진유적은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장도에 있는 신라 하대의 군진 유적으로 사적 제308호(1984년9월1일)로 지정되었다.
신라 후기 장보고가 서남해안 해적을 소탕하고, 중국 산동지방과 일본을 연결한 해상교역로의 본거지로서 중요한 역사적유적이다.
청해진은 신라 흥덕왕 3년(828년) 장보고가 설치한 해군기지이자 무역기지로 완도 앞바다 작은 섬인 장도(將島)에 위치하고 있다.
당시 청해진은 신라와 당, 일본을 잇는 해상무역의 중요한 길목이었다.
장보고(張保皐?∼846)는 평민 출신으로 당나라에 건너가 장군이 되었으나 해적들이 신라인을 노예로 삼는 것에 분개하여 신라로
돌아와 왕의 허락을 받고 828년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청해진은 국제무역의 중심지로 동아시아 무역을 독점하여 번영을 누리며 큰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장보고는 이후 왕위계승과 관련된 권력다툼에 휘말려 자객인 염장에 의해 846년 암살 당하였고, 문성왕 13년(851년)에
청해진은 폐쇄되었으며, 장도는 섬 전체가 계단식 성의 흔적만 남게 되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연차적인 발굴을 진행한 결과, 청해진유적 성(城)의 총 길이는 890m로 축성방법이 고대 판축기법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섬 입구 방어용 목책으로 추정되는 원목렬은 총 길이 331m로 대부분 참나무 기둥을 사용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건물지 내에 지하 매납(埋納) 원형 구덩이 속에서 출토된 토기편병, 철제솥, 청동병 등은 인위적으로 매장한 것으로 대부분
제사용기로 판단되는 귀중한 유물이다.
이것들은 『삼국사기』의 “청해진 조음도에서 중사(中祀)를 거행하였다.”는 기록을 뒷받침하는 획기적인 자료로 평가된다.
한편, 출토유물인 연화문 암·숫막새기와 토기편병, 해무리굽청자편 등과 섬 입구 원목렬 시료를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에 의한
분석 결과, 9세기 중반경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이 유적이 통일신라시대 장보고 대사가 활동한 9세기경에 축성·사용된 것이 과학적인 근거에 의해 밝혀지게 되었다.
또한 이 성곽이 종래 내외 이중성으로 알려졌던 것과는 달리, 단일 성곽으로 축조되었음이 새로이 밝혀졌다.
다만 섬 입구쪽인 서남부부분에만 이중의 성벽을 둘러서 출입구를 보강하고 있다.
성벽은 1단 또는 2단의 돌을 폭 5∼6m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열한 뒤 그 안쪽을 주변의 흙으로 겹겹히 다져 단단하게 쌓아올린
판축(版築)성벽이었다. 지금까지 최고 2.5m의 성벽이 최다 18겹의 판축으로 형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성벽 축조시 석렬(石列)과 나무기둥으로 작업구간을 나누었던 흔적이 14∼16m 간격으로 남아 있어 고대 성벽 축조기법을 밝혀
내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성곽 관련시설로는 출입시설[門址] 1개소, 관측시설인 치(雉) 2개소, 고대(高臺)시설 1개소 등이 발견되었다.
성터 안에는 토기와 기와조각이 발견되고 있고, 인근에 장보고가 지었다는 법화사터가 남아있다.
청해진유적 입구에 위치한 장보고공원은 4,500여 평에 완도군의 201개 섬에서 채집된 기묘한 수석 200여 점이 상록활엽수와
어우러져 전시되어 있다.
공원 내에는 수석 이외에 장보고 기념관, 관광정보센터, 장보고대사 흉상, 와이즈맨기념탑, 소나무·동백나무 군락지, 잔디광장, 화장실 등 관광·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연중 수만명의 관광객이 찾는 관광명소이다.
'길따라 트레킹 > 발길 머무는 곳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 속으로의 시간 여행, 군산 경암동 철길마을.. (0) | 2019.02.27 |
---|---|
아름다운 강진 마량항과 까막섬 상록수림, 그리고 마도진 만호성지.. (0) | 2019.02.18 |
완도의 상징, 해상왕 장보고 동상.. (0) | 2019.02.18 |
완도해변공원 해조류센터를 찾아서.. (0) | 2019.02.18 |
일출과 일몰, 환상적인 야경을 볼 수 있는 곳, 완도의 상징인 완도타워.. (0) | 2019.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