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무등산 증심사(證心寺)..
2023년 7월 19일, 무등산 증심사를 찾아서..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호로 지정된 증심사(證心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松廣寺)의 말사이다.
신라 헌안왕 4년(860년) 철감선사(澈鑒禪師) 도윤(道允)이 개창(開創)하고, 고려 선종11년(1094년)에 혜조국사(慧照國師)가 중수했다.
세종 25년(1443년)에 전라도관찰사 김방(金倣)이 자신의 녹봉으로 다시 중수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광해군1년(1609년)에 석경(釋經)·수장(修裝)·도광(道光)의 3대 선사가 4창(四創)했다고 한다.
그 후 신도들의 정성으로 몇 차례 보수가 이루어졌으나 6·25전쟁 때 많은 부분이 소실되었다가 1970년에야 대웅전을 비롯한 건물들이 복구되었다.
경내에는 오백전(五百殿), 3층석탑, 5층석탑, 7층석탑, 오백나한 및 철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131호), 석조보살입상 등이 보존되어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광주 유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된 오백전(五百殿)과 대웅전, 지장전(地藏殿), 비로전(毘盧殿), 적묵당(寂默堂), 종각, 일주문, 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오백전을 제외한 건물들은 최근에 지어진 것이다.
오백전은 대웅전 뒤에 있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조선 초기에 지어진 강진 무위사(無爲寺)의 극락전과 같은 계통의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전내의 오백나한상은 1443년 중창 때 김방이 조성한 것이라고 전해 오는데 전국적으로 보기 드문 불상이다.
오백전 옆 높이 205㎝의 석불은 고려시대(10세기경) 작품으로 추정되는 석조보살입상으로 광주 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어 있다.
비로전 안에 안치된 높이 90㎝ 정도의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통일신라시대 작품으로 보물 제13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철불은 본래 광산군 서방면 동계리에 있던 것을 1934년에 옮겨온 것이다.
이밖에도 문화재로는 증심사 창건 때 만들었다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인 삼층석탑, 고려 초기의 석탑으로 1933년의 보수 때 탑내에서 금동석가여래입상과 금동보살 입상 등이 나왔던 오층석탑, 조선 중기의 것으로 보이는 칠층석탑 등이 있다.
특히, 오층석탑에서 발견된 금동석가여래입상과 석조보살입상은 국보로 지정되었으나 한국전쟁 때 분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절 입구의 왼쪽 산록에는 약 3만여 평의 차밭이 있다.
원래 증심사에서 공양을 위하여 가꾸어왔던 것이나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이 경영하였고 광복후에 허백련(許百鍊)이 인수하여 고유의 차를 재배하였다.
절 주변이 광주 문화재자료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