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기행] 천년고찰, 적멸보궁 운악산 현등사(懸燈寺)..
본문 바로가기
길따라 트레킹/역사, 문화, 그리고 여행

[가평기행] 천년고찰, 적멸보궁 운악산 현등사(懸燈寺)..

by 정산 돌구름 2020. 6. 17.

천년고찰, 적멸보궁 가평 운악산 현등사(懸燈寺)..


2020년 6월 16일, 운악산 산행길에 찾은 현등사..

운악산 현등사(懸燈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신라 법흥왕 때 인도승 마라가미(摩羅訶彌)가 포교차 신라에 왔으므로 왕이 그를 위해 절을 창건하고 산 이름을 운악산이라 하였으나 창건 당시의 사찰명은 전하지 않는다. 그 뒤 수백 년 동안 폐사가 되었다.

898년(효공왕 2년)에 고려가 개경(開京)에 도읍을 정할 것을 미리 안 도선(道詵)이 송악산(松嶽山) 아래 약사도량(藥師道場)으로 세 사찰을 창건하였으나 완공 뒤 지세를 살펴보니 동쪽이 허(虛)하였다. 이를 보진할 땅을 찾아 동쪽으로 여행하다가 운악산의 옛 절터에 이를 중창하였다.

고려 희종 6년(1210년)에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주춧돌만 남은 절터의 석등에서 불이 꺼지지 않고 있음을 보고 중창하여 현등사라 했다고 한다. 일설에는 보조국사가 도봉산 원통암에 있을 때 동방에서 3주야간이나 빛을 발하고 있었으므로 이곳까지 찾아왔더니 잡초 우거진 곳에 관음당(觀音堂)이 있었고, 그 곁의 석등에서 빛이 발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 뒤 조선 태종 11년(1411년)에 함허화상(涵虛和尙)이 삼각산에서 오신산(五神山)으로 가다가 이 부근에서 길을 잃었는데 홀연 흰 사슴 한마리가 나타나 길을 인도하므로 따라가 보았더니 흰 사슴은 온데간데 없고 그곳에 옛 전각지(殿閣址)가 있었으므로 크게 중건하였다. 그 때 3대군(大君)의 원당(願堂)을 삼고 위패를 봉안하였다.

순조 11년(1811년)에 화재로 승당(僧堂)과 관음전이 소실되고, 불상·위실(位室)·청심당(淸心堂)·양로방(養老房)만이 남았는데 이듬해 구암(龜巖), 취윤(就允), 원빈(圓彬)이 요사채와 동서 누각·극락보전·삼보방(三寶房) 등을 지었다. 1825년에는 삼보방을 중건하였고, 1826년에는 위실각을 새로 지었다.

1891년 상궁 하씨가 중수하였고, 1893년에는 호운(浩雲)과 우화(雨華) 두사람이 석축을 보수하였다. 1916년에는 금명(錦明)이 중수하였으나 6·25전쟁으로 대부분의 당우가 소실되었다.

1961년에 성암(省庵)이 다시 중수하였고, 1984년에 극락전을 중수하였다. 1987년에는 보광전·지장전·삼성각 건립이 마무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극락전과 정면 5칸, 측면 3칸의 보광전(普光殿), 요사채 등이 있다. 극락전 내에 봉안된 아미타불은 1759년(영조 35년)에 조성된 높이 108㎝의 좌상이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1793호 동종이 대표적이며, 경기도 유형문화재로는 제63호 삼층석탑, 제183호 목조아미타좌상, 제184호 청동지장보살좌상, 제185호 아미타회상도, 제193호 신중도(神衆圖), 제198호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제199호 현등사함허당득통탑(涵虛堂得通塔) 및 석등이 있고, 경기도 문화재자료로는 제124호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 제125호 칠성탱화도(七星幀畵圖), 제126호 독성도(獨聖圖), 제173호 지장시왕도 등이 있으며, 현등사 언덕 아래에 문화재자료 제17호 가평하판리지진탑 (加平下板里地鎭塔)이 있다.

이 중 삼층석탑은 신라 말 도선이 창건주 마라가미를 위해 조성한 탑이라고 전해 오는데, 양식상으로는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높이 3.7m의 탑이다. 또한, 함허화상부도 앞에는 장명등(長明燈)이 있으며, 지진탑은 보조국사의 사리탑이라고 전하나 신빙성은 없다. 이 밖에도 조선 중기의 뛰어난 도학자인 서경덕(徐敬德)의 부도가 있고, 임진왜란 전에 도요토미(豊臣秀吉)가 국교 교섭에 대한 선물로 보낸 금병풍(金屛風) 1점이 보관되어 있었다고 하나 6·25전쟁 때 분실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