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따라 트레킹/역사, 문화, 그리고 여행'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길따라 트레킹/역사, 문화, 그리고 여행726

천년고찰, 대구 비슬산 유가사(瑜伽寺).. 천년고찰, 대구 비슬산 유가사(瑜伽寺)2025년 4월 23일, 천년고찰, 대구 비슬산 유가사(瑜伽寺)를 찾아서~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로 신라 흥덕왕 2년(827년) 도성(道成)이 창건하였다. 진성여왕 3년(889년) 원잠(垣岑)이 중창하였으며, 고려 문종 1년(1047년) 학변(學卞)이, 조선 문종 2년(1452년) 일행(逸行)이 각각 중수하였다. 전성기에는 3천 명의 승려가 머물렀다고 하나 1592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탔다. 숙종 8년(1682년) 도경(道瓊)이 대웅전을 보수하였고, 영조 5년(1729년) 취화(就和)와 파봉(巴峰), 1760년 보월(寶月), 1776년 밀암(密庵), 1797년 낙암(洛巖)이 각각 중수 또는 중창한 바 있다. 1976년부터 대대적인 불사를 일으켜 오.. 2025. 4. 24.
낙동강 물줄기를 품고 있는 함안 용화산 능가사 낙동강 물줄기를 품고 있는 함안 용화산 능가사2025년 4월 18일, 낙동강 물줄기를 품고 있는 함안 용화산 능가사를 찾아서..용화산 기슭에 낙동강을 바라보며 자리하고 있는 능가사(楞伽寺)는 1900년대 초에 한국불교 태고종 용주사로 창건되었다.1973년에 능가사로 개칭되었고,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가 되었다. 이천복(李千福)이 2013년에 지은 용화산 능가사사적비에 따르면, 1984년부터 1986년까지 대웅전(大雄殿)과 관음전(觀音殿)을 증축하였으며, 1995년에 요사채를 준공하였다고 한다. 입구의 석조 약사여래 입상은 1999년에 봉안한 것이다. 능가사 칠성탱은 2006년 4월 6일에 경남도 문화재자료 제396호로 지정되었다. 치성광여래를 위시한 칠성여래와 일광보살·월광보살.. 2025. 4. 18.
성벽과 유채꽃이 아름다운 성읍민속마을 성벽과 유채꽃이 아름다운 성읍민속마을2025년 3월 23일, 성벽과 유채꽃이 아름다운 성읍민속마을 ~제주올레길 3코스를 마치고 유채꽃을 보기 위해 성읍민속마을로 향한다.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에 위치한 성읍마을은 옛 제주 마을의 모습이 그대로 유지되어 있는 곳이다. 중산간 도로인 1163호선과 번영로가 마을 안을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로 방문하기 편리하며, 다른 민속촌들과 다르게 마을 내에 사람들이 실제 거주하고 있다. 이곳은 조선 태종 16년 성산읍 고성리에 설치된 정의현청이 세종 5년 이곳으로 옮겨진 후 500여년간 현청 소재지였던 유서 깊은 마을이다. 정의현성 안에는 110호에 달하는 가옥이 있고 성 밖으로도 많은 가옥들이 존재한다. 수백 년 동안 도읍지였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유산들이 있다. 정의향.. 2025. 3. 24.
탐라시조 삼신인 혼례 전설, 제주 혼인지 탐라시조 삼신인 혼례 전설, 제주 혼인지(婚姻池)2025년 3월 22일, 탐라시조 삼신인 혼례 전설, 제주 혼인지에서~혼인지(婚姻池)는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마을 서쪽 숲에 자연적으로 생성된 약 500평 정도의 큰 연못이다.이 연못에는 제주의 삼성신화에 등장하는 3신인(神人)과 3공주(公主)가 혼인하였다는 전설이 있다.설화에 따르면, 아득한 옛날 모흥(毛興)이라는 곳에서 고을나(高乙那), 양을나(梁乙那), 부을나(夫乙那)라는 3신인(神人)이 솟아 나왔다.이들은 수렵과 어로를 하며 생활 하였다.하루는 이들이한라산에 올라가 멀리 바라보니 동쪽 바다 위에서 오색찬란한 나무상자가 떠내려와 해안에 머물러 있는 것이 보였다.3신인이 내려가서 목함을 열어 보았더니 그 안에는 알 모양으로 된 둥근 옥함(玉函)이 있고 .. 2025. 3. 23.
두마리의 물고기 전설, 김해 신어산 은하사의 풍경 두마리의 물고기 전설, 김해 신어산 은하사의 풍경2025년 2월 10일, 신어산 산행 후 찾은 은하사에서..신어산 중턱에 자리한 은하사는 가락국 시조 수로왕의 왕후 허황옥의 오빠인 장유화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산행 후 아담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보며 잠시 머무렀다가 떠난다. 경남 김해시 신어산에 있는 은하사(銀河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의 말사로 서림사(西林寺)라고도 한다.가락국 김수로왕 때 인도에서 온 승려 장유(長遊)화상이 창건하였다고 하나 이 시기는 아직 우리 나라에 불교가 전래되기 전이라 확실한 고증은 할 수 없다. 전하는 설에 따르면 신어산 서쪽에 인도불교가 들어온 것을 기념하여 이 절을 지었으며, 동쪽에 동림사(東林寺)를 지어 가락국의 번영을 기원했다고 한다. 이후 조선 .. 2025. 2. 10.
전주 남고산성과 관성묘(關聖廟).. 전주 남고산성과 관성묘(關聖廟)..2025년 2월 6일, 전주 남고산성과 관성묘(關聖廟)를 찾아서..전주 남고산과 고덕산 산행길에 남고산성과 관성묘를 찾았다.남고산성(南固山城)은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의 해발 274m 남고산 정상부와 그 남쪽의 계곡부를 에워싼 포곡식 석성으로 1981년12월10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언제, 어떤 목적으로 축조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다. 산성의 정비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발굴조사를 벌인 결과 축성시기를 통일신라 때까지 소급할 수 있게 되었다.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전주에 완산주를 설치할 때 혹은 완산주가 전주로 바뀔 때 남고산성도 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세종실록지리지』에 고덕산(高德山) 석성으로 등장하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고덕산성이 고적(古跡)조에.. 2025. 2. 7.
산사의 겨울 풍경, 무등산 증심사(證心寺) 산사의 겨울 풍경, 무등산 증심사(證心寺) 2025년 1월 31일, 산사의 겨울 풍경, 무등산 증심사를 찾아서~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호로 지정된 증심사(證心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松廣寺)의 말사이다.신라 헌안왕 4년(860년) 철감선사(澈鑒禪師) 도윤(道允)이 개창(開創)하고, 고려 선종11년(1094년)에 혜조국사(慧照國師)가 중수하였다.세종 25년(1443년)에 전라도관찰사 김방(金倣)이 자신의 녹봉으로 다시 중수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광해군1년(1609년)에 석경(釋經)·수장(修裝)·도광(道光)의 3대 선사가 4창(四創)했다고 한다.그 후 신도들의 정성으로 몇 차례 보수가 이루어졌으나 6·25전쟁 때 많은 부분이 소실되었다가 1970년에야 대웅전을 비롯한 .. 2025. 1. 31.
남해대교가 한눈에 보이는 남해 충렬사 남해대교가 한눈에 보이는 남해 충렬사2025년 1월 22일, 남해대교가 한눈에 보이는 충렬사에서~ 금강산도 식후경, 남해대교 아래 맛집에서 생선구이로 점심식사를 하고 충렬사를 둘러본다.남해 충렬사는 임진왜란 때 관음포에서 순국한 이순신장군의 영을 기리기 위하여 지은 사당이다.남해대교가 한눈에 들어오는 충렬사는 삭막하지만 아름다운 풍경이다.충렬사를 끝으로 남해를 떠난다.남해 충렬사(忠烈祠)는 임진왜란 때 관음포에서 순국한 이순신장군의 영(靈)을 기리기 위하여 지은 사당이다. 당시 노량은 여수를 떠나 충무로 가려면 거쳐야 하는 연안수로의 요충지였다.선조 31년(1598년) 이순신장군이 관음포 앞바다에서 순국하자 처음에는 이곳에 유구(遺軀)를 안치하였다.유구는이 곳에 가장(假葬)되었다가 이듬해인 1599년2월.. 2025. 1. 22.
만뢰산을 품은 진천 보련산 보탑사(寶塔寺) 만뢰산을 품은 진천 보련산 보탑사(寶塔寺)2025년 1월 16일, 만뢰산 산행길에 찾은 보탑사를 둘러보며..충북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에 자리한 만뢰산(보련산) 보탑사(寶塔寺)는 1996년 고려시대 절터로 전해지는 곳에 비구니 승려인 지광·묘순·능현이 창건하였다.1992년 대목수 신영훈을 비롯한 여러 장인들이 참여한 불사를 시작, 1996년8월, 3층 목탑을 완공하였고, 그후 지장전·영산전·산신각 등을 건립하고 2003년 불사를 마쳤다.황룡사 9층목탑을 모델로 만든 3층목탑의 높이는 42.71m로 상륜부(9.99m)까지 더하면 총 높이가 52.7m에 이른다.목탑을 떠받치고 있는 기둥은 모두 29개로 강원도산 소나무를 자재로 하여 단 한 개의 못도 사용하지 않고 전통방식을 고수하여 지어졌다 한다.1층은 대웅.. 2025. 1. 16.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胎室)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胎室)2025년 1월 16일,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胎室)을 찾아서..충북 진천군 진천읍에 있는 신라의 장수 김유신의 탄생지와 태실은 1999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길상사(吉祥祠), 사곡리장수굴, 화랑벌, 병무관, 쏠고개, 당고개, 말탄터 등 김유신과 관련된 사적이 많이 남아 있다. 김유신장군탄생지는 ‘김유신장군유허지’라는 명칭으로 1988년 9월 30일에 충북도기념물로, 김유신장군태실은 ‘김유신태실 및 돌담’이라는 명칭으로 1997년 6월 27일에 충북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1999년 6월 11일에 이 둘이 합해져 사적으로 지정되었다.김유신장군 탄생지는 진천읍 상계리 계양(桂陽)마을이다. 이곳은 김유신의 아버지 김서현(金舒鉉)이 만노군(萬弩郡) 태수로 있을 때 치소(治.. 2025. 1. 16.
시간이 멈추는 마을, 순천 낙안읍성 시간이 멈추는 마을, 순천 낙안읍성2024년 12월 26일, 시간이 멈추는 마을, 순천 낙안읍성에서~순천 낙안읍성(樂安邑城)은 낙안의 진산인 금전산, 오봉산, 개운산, 제석산, 백이산이 외곽을 두른 평지인 낙안들에 있는 연해읍성이다. 낙안은 백제시대에 분차군이라 하였고, 파지성이 있었다고 한다. 757년 경덕왕 때 분령군으로 개명되었고, 분령군은 고려시대에 들어와 낙안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조선시대에는 종4품 군수가 통치하던 지방관아였으며, 낙안군은 1908년 폐지되어 순천과 보성에 나누어 이속되었다.『세종실록』에 의하면 1424년(세종 6) 9월 전라도 낙안군의 토성이 낮고 작아서 왜변이 있으면 지키기 어려우니, 돌을 섞어서 토성 옛터를 좀 넓혀 성을 쌓았다고 한다. 낙안 출신의 절제사 김윤길이 13.. 2024. 12. 26.
가을의 정취가 남아있는 사천 봉명산 다솔사와 보안암 가을의 정취가 남아있는 사천 봉명산 다솔사와 보안암..2024년 12월 19일, 가을의 정취가 남아있는 사천 봉명산 다솔사에서.. 사찰 주변은 소나무숲이 둘러싸고 있으며, 아직도 울긋불긋한 단풍이 가득하여 가을의 정취를 느끼게 한다.다솔사(多率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梵魚寺)의 말사이다. 신라 지증왕 4년(503년)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창건하여 ‘영악사(靈嶽寺)’라 하였다.선덕여왕 5년(636년) 건물 2동을 신축하고 다솔사로 개칭하였다.문무왕 16년(676년) 의상(義湘)대사가 다시 ‘영봉사(靈鳳寺)’라 부른 뒤, 신라 말 도선(道詵)국사가 중건하고 다솔사라 하였다.임진왜란의 병화로 소실되어 폐허가 되었던 것을 1686년(숙종 12년) 복원하였다.1748년(영조 24년) 당우 대.. 2024.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