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따라 트레킹/역사, 문화, 그리고 여행

충남유형문화재 제60호, 논산 탑정리 석탑..

정산 돌구름 2023. 7. 11. 06:44

충남유형문화재 제60호, 논산 탑정리 석탑..


2023년 7월 9일, 충남유형문화재 제60호, 논산 탑정리 석탑..

충남 논산시 부적면 탑정리에 있는 고려시대 부도탑인 탑정리석탑은 1976년1월8일 충남유형문화재 제60호로 지정되었다.

총 높이 약 283㎝, 기단부 184㎝, 탑신 54㎝로 탑정저수지 제방 끝쪽에 있는 석등 양식의 부도(浮屠)로서 흑운모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대석(下臺石)과 간석(竿石), 중대석(中臺石), 탑신부(塔身部)와 옥개석(屋蓋石) 등으로 되어 있다.

일부가 땅에 묻힌 하대석은 8개의 연꽃잎을 양각으로 표현하였으며, 간석은 돌로 된 8각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대석도 같은 연꽃잎 무늬를 양각하고 기단부는 석등 양식, 탑신부는 4매의 판석을 돌렸다.

옥개석은 3단의 옥개석받침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현재는 1층만 남아 있으며 원래 몇 층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고려 태조는 후백제 견훤과 싸울 때 이곳에 사령부를 두었다.

934년 후백제를 정벌한 후 이곳 전승지에 개태사(開泰寺)를 건립하였는데 개태사에 속한 암자 중의 하나인 적사암의 승려 대명이 입적(入寂)하자 그 사리를 봉안한 부도라고 전한다.

형식상 이형적(異形的)인 석탑으로서 탑 양식의 변천사를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탑의 상태는 전체적으로 암녹색의 풍화면(風化面)을 보이며 약간의 박리현상이 보인다.

~^^~